• 제목/요약/키워드: density growing stock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9초

Assessment of Above Ground Carbon Stock in Trees of Ponda Watershed, Rajouri (J&K)

  • Ahmed, Junaid;Sharma, Sanjay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20-128
    • /
    • 2016
  • Forest sequesters large terrestrial carbon which is stored in the biomass of tree and plays a key role in reducing atmospheric carbon. Thu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assess the growing stock, above ground biomass and carbon in trees of Ponda watershed of Rajouri district (J&K). IRS-P6 LISS-III satellite data of October 2010 was used for preparation of land use/land cover map and forest density map of the study area by visual interpretation. The growing stock estimation was done for the study area as well as for the sample plots laid in forest and agriculture fields. The growing stock and biomass of trees were estimated using species specific volume equations and using specific gravity of wood, respectively. The total growing stock in the study area was estimated to be $0.25million\;m^3$ which varied between $85.94m^3/ha$ in open pine to $11.58m^3/ha$ in degraded pine forest. However in agriculture area, growing stock volume density of $14.85m^3/ha$ was recorded. Similarly, out of the total biomass (0.012 million tons) and carbon (0.056 million tons) in the study area, open pine forest accounted for the highest values of 43.74 t/ha and 19.68 t/ha and lowest values of 5.68 t/ha and 2.55 t/ha, respectively for the degraded pine forest. The biomass and carbon density in agriculture area obtained was 5.49 t/ha and 2.47 t/ha, respectively. In all the three forest classes Pinus roxburghii showed highest average values of growing stock volume density, biomass and carbon.

임상도 특성에 따른 임목축적 및 탄소저장량 추정: 강원도를 중심으로 (Estimation of Growing Stock and Carbon Stock based on Components of Forest Type Map: The case of Kangwon Province)

  • 김소원;손영모;김은숙;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46-452
    • /
    • 2014
  • 본 연구는 임상도 상의 특성인 영급, 경급 및 수관밀도를 이용하여 임목의 축적 및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가산림조사(강원도 중심)를 바탕으로 한 임목축적 자료를 임상도 제작 당시의 축적으로 전환하였으며, 이 자료와 임상도 특성과의 관계를 수량화I방법을 통하여 임목축적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임상도 특성이 임목축적 추정에 기여하는 바를 알 수 있는 제곱 편상관계수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영급이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었으며, 다음이 수관밀도, 임상, 경급의 순이었다. 임목축적 추정치 중 최소치는 활엽수림의 영급 II, 경급 '소', 수관밀도 '소'인 분류기준에서 ha당 $20.0m^3$이고, 최대치는 침엽수림의 영급 VI, 경급 '대', 수관밀도 '밀'인 분류기준에서 ha당 305.0이었다. 임상별로 침엽수림은 ha당 $30.5{\sim}305.0m^3$, 활엽수림은 ha당 $20.0{\sim}200.4m^3$, 혼효림은 ha당 $23.8{\sim}238.1m^3$로 추정되었다. 임상별 탄소저장량을 비교해 보면, 임상에 무관하게 경급 '대', 수관밀도 '밀'인 분류기준에서 임목축적에 따른 영급별 탄소저장량이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임상도 특성을 이용한 임목축적 추정은 산지 전용 또는 산지 재해에 의한 임목축적의 감소 및 탄소저장량 변화를 충분히 추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일선 산림관계자 또는 정책입안자의 산림경영 의사결정에도 유효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Chittagong University Campus: Rich in Forest Growing Stock of Valuable Timber Tree Species in Bangladesh

  • Akter, Salena;Rahman, Md. Siddiqur;Al-Amin, 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157-164
    • /
    • 2013
  • The campus of Chittagong University in Bangladesh is rich in forest ecosystem. The campus has large area with vast tract of land planted with valuable timber tree species.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and discovers the potential growing stock of the plantations in the campus area. This Growing stock was measured in three parameters viz. volume, biomass and organic carbon stock. Study identified thirty three economically valuable forest tree species in the plantations of Chittagong University. Out of three growing stock parameters, volume of timber was found to be low in indigenous tree species in the plantation sites other than exotic species. This might be due to their slow growth rate and low density in the plantation sites. However, biomass and organic carbon stock of trees per hactre area showed that indigenous species gather and sequester more timber and carbon respectively than introduced species. Plantations of Chittagong University campus can acquire $25.51m^3/ha$ volume of economically important tree species, where biomass and organic carbon stock is 222.33 tonne/ha and 107.48 tonne/ha respectively. This result shows a positive impression on the plantation site to be considered as good forest reserve.

Relationship between Tree Species Diversity and Carbon Stock Density in Moist Deciduous Forest of Western Himalayas, India

  • Shahid, Mohommad;Joshi, Shambhu Prasad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1호
    • /
    • pp.39-48
    • /
    • 2017
  • With the growing global concern about climate change, relationship between carbon stock density and tree species has become important for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mitigation programmes. In this study, 150 Quadrats were laid down to assess the diversity, biomass and carbon stocks in each of the forest ranges (Barkot Range, Lachchiwala Range and Thano Range) of Dehra Dun Forest Division in Doon Valley, Western Himalaya, India. Community level carbon stock density was analyzed using Two 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Species Richness and Shannon Weiner index was correlated with the carbon stocks of Doon Valley. Positive and weak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carbon stock density and Shannon Weiner Index, and between carbon stock density and Species Richness.

Status of Agroforestry Outside in Forest Area of Bilaspur (Chhattisgarh) and Constraints for Non Adoption

  • Chandra, Krishna Kum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5호
    • /
    • pp.412-417
    • /
    • 2018
  • Agroforestry is emerged as climate smart agriculture system and known to help in maintaining soil nutrient sustainability but its rate of expansion is still not appreciable. The present paper incorporates the different species under various agroforestry practices its density, growth and growing stock. The most dominated agroforestry practices in Bilaspur district identified as boundary tree based agri- silviculture (32%) followed with inside field tree based agri-silviculture (21%). Agri-horti-silvicultural system found merely in 5% farmer's field while silvo-pastoral practice in 8% fields. The result depicts that the most prevailing agroforestry tree species in non-forest area of Bilaspur comprises Acacia nilotica 36%, Butea monosperma 22%, Albizia spp 16%, Terminalia arjuna 7%, Azadirachta indica 3.5% and other species 15.5%. More than 90% farmer allows tree species growing naturally in their fields mainly for fuel wood, timber and as source of additional income as these species need not require special attention and care, while only 5% farmer's has adopted Tectona grandis, Dalbergia sissoo etc commercially for higher future return. The paper also discusses the constraints on agroforestry for enabling development of agroforestry in future.

국내 양돈장의 사육 온도와 밀사율이 구강액 채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breeding density of piggery on the collection of oral fluid in Korea)

  • 변현섭;김미화;권성애;한미나;한성태;장래훈;정윤수;김석현;전보영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17-225
    • /
    • 2021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stock density on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oral fluid in the pig farm in Korea. Three pig farms with similar bree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elected and four pens of each farm (total 12 pens) were tested for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oral fluid from pigs. Collection rate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when oral fluid was collected from 70% of pigs within a pen. In the case of growing pigs, when internal temperature of pig barn increased by one designated degree (5℃), the oral fluid collection rate significantly decreased by 24.7% (P<0.05). The collection rate of oral fluid also decreased by 7.1% (P<0.05) as the density rate increase by one designated degree (12.5%). It was estimated that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oral fluid decrease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pig barn was 30℃ or higher, or barn density is higher 25% or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tall-housing sows, unlike growing pig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o oral fluid collection was considered to be efficient even in hot season.

숲 가꾸기 실행 및 미 실행지의 임분특성에 따른 산불위험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the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 이시영;이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2-58
    • /
    • 2007
  • 본 연구는 숲 가꾸기 실행지와 미실행지의 임분 특성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조사지역은 강원도 양양군, 인제군 그리고 경기도 가평군 등 3개 군에서 14개소를 선정하였으며, 이중 숲 가꾸기 실행지 9개소, 미실행지의 5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임목의 수고, 흉고직경, 지하고, 죽은 가지 고사율, 임목밀도, 울폐도, 관목층 및 초본층 피도를 조사하였으며 이 자료를 통해 숲 가꾸기 실행 및 미실행지의 임내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임내특성 분석으로부터 산불발생 및 확산 위험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숲 가꾸기 실행지역과 미실행지역의 임분 특성조사 결과 숲 가꾸기 실행지역이 미실행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균 지하고는 높았고, 임목본수는 적었으며, 죽은 가지 고사율은 적었고, 초본층 피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어 숲 가꾸기 실행지역의 산불위험도는 미실행지역보다 낮아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 해안별 해안방재림의 유형특성 비교 (A Comparison on the Forest Type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 Between the Coastal Areas in Korea)

  • 김찬범;박기형;이창우;윤호중;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64-573
    • /
    • 2014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안, 남해안, 동해안의 주요 해안방재림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각 해안별 해안방재림의 특징과 각 해안을 대표할 수 있는 해안방재림 선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안방재림 방재효과에 영향을 주는 임분밀도와 수고, DBH, 해안방재림 폭을 기준으로 하여 각 군집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안별 각각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서해안은 임분밀도가 높고 DBH가 작은 특징을 갖는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황촌리 구례포해수욕장 해안방재림과 수고가 높은 특징을 보이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고사포해수욕장 해안방재림이 각 군집을 대표하는 해안방재림이었다. 남해안은 수고가 낮은 특징을 보이는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남양리 해안방재림과 DBH가 큰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동고리해수욕장 해안방재림으로 나타났다. 동해안은 임분밀도가 낮은 경상남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해안방재림과 수고가 낮고 DBH가 작은 강원도 강릉시 견소동 안목해수욕장 해안방재림이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앞으로 각 해안별 가장 적합한 해안방재림을 설정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산림자원조사 고정표본점 자료를 활용한 산림자원변화 평가에 관한 고찰 (Assessment on Forest Resources Change using Permanent Plot Data in National Forest Inventory)

  • 임종수;김은숙;김철민;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39-247
    • /
    • 2015
  • 국가산림자원조사는 고정표본점의 설치 및 재조사하여 산림자원의 현황 파악 및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체계로 개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최근 3년간 재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산림자원 변화 탐지를 위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평가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사시점에 따른 고정표본점의 토지이용변화는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중요한 활동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초지를 포함한 6개 토지이용범주의 명확한 정의에 따른 고정표본점의 구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및 대표수종 변화의 경우, 조사차수별 매트릭스 구축에 의해 임상 및 대표수종의 변화 평가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청북도의 경우 임목지로 유지된 624개 표본점 중에서 92개소(15%)에서 대표수종이 변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5개 임분변수 (임목본수, 흉고단면적, 임분재적, 평균 흉고직경, 그리고 평균수고)에 대한 생장율과 변화량을 추정한 결과 임분밀도와 관련된 임목본수와 흉고단면적은 감소하였으며, 임분재적의 생장율은 약 3.7%로 분석되었다. 임분변수 변화량의 불확실성을 평가한 결과, 임목본수를 제외한 임분변수는 5% 이내로 정확도가 높지만, ha당 임목본수는 상대적으로 변화량이 크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54.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육밀도와 사료 단백질 수준이 저속 성장 육계(한협 3호)의 성장, 육질, 혈청 Corticosteron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cking Density and Dietary Protein Level on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Serum Corticosterone of Slow-Growing Korean Meat-Type Chicken (Hanhyop 3))

  • 이준엽;이정헌;이명호;송영한;이종인;오상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19-228
    • /
    • 2016
  • 세 수준(6.3, 9.5, 12.6 수/$m^2$)의 사육밀도와 사료 단백질 수준(19%, 18%)이 저속성장 육계(한협 3호)의 육성성적, 영양소 이용률, 닭고기 저장성, 육색, 계육 성분 및 뼈의 광물질 조성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육 밀도는 한협 3호 육성성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체량은 저 밀도인 6.3 수/$m^2$ 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밀도(12.6 수/$m^2$) 구에서 가장 낮았다. 특히 고사육 밀도에서는 사료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낮은 사료섭취량으로 인하여 고사육 밀도 계군의 사료요구율이 타 사육 밀도 계군의 사료요구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밀도 계군에서의 사료 섭취량 저하와 낮은 사료요구율은 41~60일 구간보다는 61~75일 구간에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그 영향으로 전 사육기간의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료 단백질 1% 차이는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만 41~75일 구간 사료섭취량은 단백질 19% 구에 비하여 오히려 18% 구에서 낮았다. 저장 중 계육의 TBARS 값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계육의 적색도와 명도는 사료 단백질 수준에 따라, 황색도는 사육 밀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가슴육의 단백질 함량과 다리육의 Ca과 P의 함량은 각각 사료 단백질 수준과 사육밀도에 영향을 받았다. 사료의 단백질 수준과 사육밀도는 뼈의 회분함량 및 회분 중 Ca과 P의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은 사육밀도가 낮을수록 낮게 나타났으나, 사료 단백질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저속성장 육계 한협 3호 사육후기 단계에 고사육 밀도(12.6 수/$m^2$)로 사육하는 것은 생산성을 하락시킬 뿐 아니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도 높이므로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협 3호 육계의 후기 사료 단백질을 18% 수준으로 설계하더라도 생산성에 차이가 없음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