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ersal fish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5초

고흥 연안 저서 어족자원의 어획실태 (Catch state of demersal fish resources at the coastal waters off Goheung)

  • 황인호;김대안;장덕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4호
    • /
    • pp.248-26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e of demersal fish resource catch by small trawlers, which live in the southern waters off Goheung. W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catch of sample fishing vessels, and performed fishing experiments using the actual fishing operation vessels from early November in 2002 till end of October in 2003. The daily amount of catch per vessel of the 35 small trawlers selected as sample vessels was the highest in summer seasons(June and July) as 70kg and the lowest in winter seasons(January and February) as 45kg and Octopus minor occupied as 17 to 30kg nearly 30% of the total catch. Additionally the catch of Octopus minor per vessel, per dragging hour ranges 3 to 6kg, which is the highest in March and June and the low in January to February, April to May and September. In the fishing experiments using small trawler,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75 fish species were collected. The number of individuals by species consisted 58.2% in Shrimps, 17.8% in Fish, 2.3% in Cephalopod. Of these, Parapenaeopsis tenella was the highest in 29.2%, Squilla oratoria and Crangon hakodatel was 14.6% respectively and Octopus minor was 0.2%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s far as the appearance number of individuals by month was concerned, February was the highest and then May, April and June followed in order, and October showed the lowest. Additionally the monthly catch per dragging was the lowest in December to January as 20kg and the highest in July as 160kg. Specially, Octopus minor was caught throughout the year regardless of season and the catch was the highest at the period from March to June. When looking into the body mean length of dominant fishes caught, we could observe the followings; Trachurus japonicus 8.9cm, Cynoglossus robustus 10.8cm, Muraenesox cinereus 15.3cm, Setipinna taty 10.3cm, Amblchaeturichfhys hexanema 9.3 cm and Collichthys niveatus 8.9cm, most of which were in their immaturity when they were caught.

저서어자원량의 음향추정에 있어서 해저 데드존의 보정에 관한 연구 (Dead Zone Correction for Abundance Estimation of Demersal Fish by Acoustic Method)

  • 황두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3호
    • /
    • pp.202-209
    • /
    • 2000
  • 저서어의 음향자원조사에 있어서 해저 데드존에 의한 어군량의 추정오차에 관하여 고찰하기 위하여, 북해도 분화만과 동중국해 에 서 행 한 음향자원조사의 에코적분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해저상의 에코파형의 형상으로부터, 어군분포 패턴을 고려하여 데드존 내에 어군이 존재할 경우 그 에코파형을 발산형, 평행형, 수렴형으로 정의한 데드존 보정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보정을 행하였다. 북해도 분화만 내에 회유하는 명태어군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재평가한 결과 해저 직상의 1∼2m내의 SV가 2∼3dB, 자원량으로 약 2배 증가하였으며, 동중국해의 경우에 있어서는 해저 직상 1∼2m에 어군이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는 경우 SV가 최대 17dB까지 증가하였으며, 이는 자원량으로 약 50배 증가한 것 과 같았다. 끝으로, 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저서어의 자원량을 추정할 경우에는 해저기준의 최적화와 정확한 해저기준을 이용한 적분구간 오프셋 설정의 최소화를 달성한 후에 해저의 에코에 마스크되어 있는 어군의 에코를 어떠한 방법을 통하여 보정하여, 지금까지 기술적 곤란으로 제약을 점차 줄여 나감으로서 저서어를 대상으로 한 음향자원 조사 방법이 좀 더 고도화하여, 실용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서식지에 따른 다소비 어류의 총수은 오염 및 위해 평가 (Mercury Contamination and Risk Evaluation in Commonly Consumed Fishes as Affected by Habitat)

  • 조미라;김기현;조문래;권지영;손광태;이희정;김지회;이태식;강상인;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21-63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 of total mercury in 17 species of commonly consumed fishes and assessed the risk to human health from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PTWI% as affected by migratory characterization, such as migration and vagility. The measured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mercury in these 17 species of commonly consumed fishes suggest that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mercury in 10 species of migratory fishes (largehead hairtail, chub mackerel, Pacific saury, skipjack tuna, Pacific cod, anchovy, Alaska pollack, brown croaker, Japanese Spanish mackerel, yellow croaker and Pacific herring) were low compared to those in 7 species of demersal fishes (red stingray, brown sole, bastard halibut, conger eel, blackmouth angler, rockfish and filefish). Based on the mean concentrations, the PTWI% of total mercury among commonly consumed migratory fishes was 3.39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ommonly consumed demersal fishes (2.710%).

서해 영광 연안 수산자원 II. Otter Trawl 어획자원의 종조성 (Fishery Resources off Youngkwang II. Species Composition of Catch by a Otter Trawl)

  • 황선도;임양재;송홍인;최용석;문형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39-748
    • /
    • 1998
  • 1995년 5월, 9월, 11월에 영광군 연안에서 오터트롤로 채집한 수산생물의 종조성을 파악하고, 같은 시기에 주목망에서 채집된 부영생물과 비교하여 영광 근해 수산자원의 특성을 구명하였다. 영광군 연안에서 조사기간 동안 총 73종의 수산생물이 출현하였으며, 이중어류 $63\%$, 두족류 $5\%$, 복족류 $3\%$, 게류 $14\%$, 새우류 $14\%$이었다. 개체수에서 민태 (Johnius grypotus), 그라비새우(Palaemon gravieri),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 눈강달이 (Collichthys niveatus)가 전체의 $64.4\%$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같은 시기에 같은 정점에서 채집한 주목망에 의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주목망에는 부영생물이, 오터트롤에는 저서수산생물이 우세하여 채집방법에 따른 종조성의 차이를 보였다.

  • PDF

하천 연속성 단절이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밀양 단장천을 중심으로 (The Impact on Fish Assemblage by the River Connectivity Fragmentation: Case Study of the Danjang Stream, South Korea)

  • 허승빈;김강희;홍동현;이현식;김구연;주기재;조현빈
    • 생태와환경
    • /
    • 제55권3호
    • /
    • pp.231-243
    • /
    • 2022
  • 인위적 교란은 담수 생태계에서 어류 군집의 생물다양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건설이 어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단장천과 동천 내 총 8개 지점에서 2021년 6월부터 11월까지 어류조사를 총 5회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총 10과 23종 782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참갈겨니 (Zacco Koreanus)로 상대풍부도(Relative Abundance)는 50.89%로 나타났다. 유사도 지수와 UPGMA 결과, St. 3은 공사로 인해 정수역이 형성되고 하류 지점과 하상이 유사해졌음을 유추할 수 있다. 생활상에 따라 어류를 저서성(demersal)과 중층성(benthopelagic)으로 나누었을 때, 중층성 어류인 참갈겨니의 건강도가 공사지점 기준 상류지점보다 하류지점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저서성 어류의 상대밀도는 과거에 비해 상류지점, 하류지점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량 건설이 어류의 서식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저서성 어류의 서식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사에 의한 서식지 단편화, 미소서식처 파괴와 같은 교란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저질상태, 유속 등을 고려한 오탁방지막과 침사지 설치와 같은 보전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1999-2001년 오터트롤에 채집된 황해 동부해역의 어류상 (Fish Fauna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Eastern Yellow Sea over the Period 1999-2001)

  • 임양재;황학진;이재봉;손명호;연인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9-306
    • /
    • 2009
  • Fish fauna in the eastern Yellow Sea was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from September 1999 to November 2001. The fish consisted of 97 species belonging to 80 genera and 50 families. The major taxa were the Perciformes (40 spp.), Pleuronectiformes (17 spp.), Scorpaeniformes (11 spp.) and Clupeiformes (10 spp.). Larimichthys polyactis, Engraulis japonicus, Liparis tanakai, Pampus echinogaster, Lophius lituron and Collichthys niveatus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in the study area. The composition of the fish fauna has changed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저서어자원량의 음향추정에 있어서 해저검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in Bottom Detection for Hydroacoustic Assessment of Demersal Fish)

  • 황두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3호
    • /
    • pp.186-194
    • /
    • 2000
  • 계획어군심지기를 이용하여 자원량을 추정할 경우 해저검출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어군이 해저에 가까이 분포하면 할수록, 해저와 어군을 분리하여 책분하는 것은 자원량의 추정정도의 신뢰도를 좌우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해저검출법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해저검출법을 개발하여, 그 유효성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에코레벨의 최대변화점을 이용하여 해저검출을 행한 경우 고정도로, 나아가 레벨 변동과 무관하여 안정한 해저검출법으로서 유효하다. 2) 전압최대변화율법에 의하면, 해저 오프셋는 해저검출위치로부터 0.45m이내에서 설정가능하고, 펄스파형, 해저지형과 음향 빔 등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 PDF

Biolog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Habitats of an abalone Haliotis diversicolor in the eastern coast of jeju-do, Korea

  • Yoo, Joon-Taek;Choi, Young-Min;Yang, Moon-Ho;Im, Yang-Jae;Ko, Joon-Chul;Chang, Dae-Soo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1-236
    • /
    • 2009
  • This study describes biolog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natural habitats of Haliotis diversicolor in the coastal area of Sungsanpo located in the eastern coast of Jeju-do, Korea. The field survey was monthly conducted from May 2006 to February 2007. H. diversicolor, sea urchin, turban shell and marine algae were collected by two divers using SCUBA. The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es were seasonally investigated by fish traps in 2007. During the study period, more than 67% of H. diversicolor and sea urchin were found in the depth shallower than 5 m, and more than 64% of turban shell were found in the depth deeper than 3 m. The dominant algal species in May were generally Undaria pinnatifida, Ecklonia cava, Sargassum. spp. and coralline algae. Most of demersal fishes collected by the fish traps were wrasses which have been reported as a major predator of young abalone.

  • PDF

저서어자원량의 음향추정에 있어서 해저기준과 해저 오프셋의 최소화 (Stable Bottom Detection and Optimum Bottom Offset for Echo Integration of Demersal Fish)

  • 황두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3호
    • /
    • pp.195-201
    • /
    • 2000
  • 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저서어를 대상으로 에코적분을 행하는 경우, 적분범위의 하한을 결정하기 위해 설정하는 해저기준이나 해저오프셋은, 저서어 자원량추정의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해저부근의 어군에코의 해석으로부터 해저기준의 결정방법과 최적 오프셋에 관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1) 적분층의 폭을 5m로 하여, 적분범위를 1샘플링씩 해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저부근의 S$\sub$a5m/의 변화를 본 결과, 해저부근의 어군에코를 적분하기 위해서는, 적분범위의 하한을 가능한 해저까지 접근시켜야 한다. 2) 에코레벨의 역치로서 해저검출을 행한 경우, 역치가 클수록 해저 검출 불능횟수가 증가하고, 작을수록 해저 오검출 횟수가 늘어 났다. 3) 에코레벨의 최대변화점을 해저기준으로 한 해저검출법은, 그 정도가 매우 높았으며, 나아가 에코레벨의 변동에 대해 아주 안정한 해저기준 알고리 즘으로 적합하였다. 4) 이 해저검출 알고리즘에 의하면, 최적해저오프셋은 해저 기준으로부터 0.4ms이내였고, 이것은 펄스파형과 해저지형에 대한 음향빔에 의존한다.

  • PDF

유속에 따른 아르헨티나 저층트롤어구 혼획저감장치의 형상변화 모형실험 (Model test to understand shape change of BRD (Bycatch Reduction Device) for demersal trawl of Argentina)

  • 차봉진;로쓰 리카르도;조삼광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3호
    • /
    • pp.312-320
    • /
    • 2015
  • The 1/5 scale-down model of the Bycatch Reduction Device (BRD) from an Argentinean demersal trawl was tested in a circulating water channel. The BRD is designed to help small Hake (merluza, merluccius hubbsi) to escape from a trawl. It is settled in front of a trawl codend, and is equipped with selection grids that help small fish to escape from the gear and guiding panels that help fish to meet with the grids. Bars of the grids are wires covered by the PVC and other parts of the BRD are made of net. When the velocity was less than 0.65 m/sec (2.81 Kont when translated to real towing speed) which is slow speed compared with real towing speed, position between an upper guiding panel and an upper selection grid were good to help small fish to escape. When the velocity was more than 0.8 m/sec (3.41 Knot when translated to real towing speed) which is similar to and faster than real towing speed, it was considered that small fish may have difficulties in escaping because the gap was not enough between an upper guiding panel and an upper selection grid. The lower selection grid was sat on the bottom of the tank without an angle due to the weight that it carries. Improvements were proposed to position the panels and the grids b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