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and-driven model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5초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추계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stimating the Market Size of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and Analyzing Their Economic Effects)

  • 진세준;박세헌;유승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36-54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4년(2010-2013) 동안의 산업연관표로부터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을 추계하여 국민경제적 지위를 따져보고,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해양환경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를 추계한 결과, 총 산출액은 2010년 1조 3,406억원에서 2013년 1조 9,723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총 산출액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0.04%에서 0.05%로 증가하였다. 부가가치액은 2010년 6,185억원에서 2013년 8,415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국내총생산에서 해양환경산업의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0.05%에서 0.06%로 증가하였다. 또한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원 생산 또는 투자가 국민경제 전체에 야기하는 생산유발효과는 2010년 1.8845원에서 2013년 1.8115원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원 생산 또는 투자로 발생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010년 0.7680원에서 2013년 0.7063원으로 감소하였다.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0억원 생산 또는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2010년 10.17명에서 2013년 9.18명으로 감소하였다. 요컨대, 해양환경산업의 산출액 및 부가가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제적 파급효과의 원단위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SRF 제조·활용 시설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Effects of the Expanding Manufacture and Utilization of Solid Refuse Fuel (SRF) Facilities in Korea : An Input-output Analysis)

  • 조용철;박소연;유승훈
    • 에너지공학
    • /
    • 제25권3호
    • /
    • pp.95-103
    • /
    • 2016
  •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면서 친환경적으로 폐기물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폐기물을 고형연료(SRF, solid refuse fuel)로 제조 및 활용하는 시설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에서 가장 최근에 발표한 2014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한편, SRF 제조 활용 시설 부문이 산업연관표에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시도하여 SRF 제조 활용 시설 부문을 중심에 두고 외생화를 하였다. 분석결과,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를 위한 1원 투자의 생산유발효과는 1.9993원이었으며,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0.6747원이었다. 아울러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를 위한 10억원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11.1982명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략적인 정보는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Spillover Effect of Firm's R&D Investment)

  • 정군오;임응순;김명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698-705
    • /
    • 2014
  • 본 전 세계적으로 연구개발투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는 43.8조로 GDP 대비 3.74%에 해당하고, 이는 세계 3위권의 수준이다. 기업에 있어서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은 기술 진보나 기술혁신으로 생산성제고 효과가 발생하고 이것은 기업에 있어서는 미래의 수익률 상승과 시장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한 나라에 있어서는 GDP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들을 다년도에 걸쳐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은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를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1995년과 2000년도의 분석결과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가 1995년에 비해 소폭 하락하다가 2000년부터 2009년도 기간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해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비중이 작아졌음에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외환위기는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에 의한 산업별 파급효과에도 변화를 야기했는데 이는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구조적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사료된다.

회생 차량의 전압 상승 한도를 고려한 AT 급전시스템 정태해석 (Static Analysis of AT Feeding Systems considering the Limited Rise of Regenerative Voltage)

  • 김백;문영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22-1327
    • /
    • 2004
  • There are some previous studies that utilize constant impedance models or constant current models for electric trains to perform the static analysis of AT feeding systems. These mentioned models have some merits of linear systems but yield erroneous results because of the innate restraints of the models since linear models cannot represent the features of constant power in inverter-driven trains. From these reasons, it is suitable that the train be considered as a constant load model when it drives or as a constant source model when it applies regenerative brake. However, excessive rise of regenerative voltage during the braking may damage the vehicle itself and the feeding systems so the voltage must be restricted below a certain value. Keeping these facts in minds, we suggest new methods of analyzing AT feeding systems using the constant power models with the conditions of voltage constraints. The simulation results from a sample system using the proposed method illustrate both the states of system variables and the supply-demand relation of power among the trains and the systems very clearly, so it is believed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more accurate results than conventional methods do.

  • PDF

Research on Developing a Conversational AI Callbot Solution for Medical Counselling

  • Won Ro LEE;Jeong Hyon CHOI;Min Soo KANG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9-13
    • /
    • 2023
  •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potential of integrating interactive AI callbot technology into the medical consultation domain as part of a broader service development initiative. Aimed at enhancing patient satisfaction, the AI callbot was designed to efficiently address queries from hospitals' primary users, especially the elderly and those using phone services. By incorporating an AI-driven callbot into the hospital's customer service center, routine tasks such as appointment modifications and cancellations were efficiently managed by the AI Callbot Agent. On the other hand, tasks requiring more detailed attention or specialization were addressed by Human Agents, ensuring a balanced and collaborative approach. The deep learning model for voice recognition for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ransformer model and fine-tuned to fit the medical field using a pre-trained model. Existing recording files were converted into learning data to perform SSL(self-supervised learning) Model was implemented. The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neural network model was used to analyze voice signals and interpret them as text, and after actual application, the intent was enriched through reinforcement learning to continuously improve accuracy. In the case of TTS(Text To Speech), the Transformer model was applied to Text Analysis, Acoustic model, and Vocoder, and Google's Natural Language API was applied to recognize intent. As the research progresses, there are challenges to solve, such as interconnection issues between various EMR providers, problems with doctor's time slots, problems with two or more hospital appointments, and problems with patient use. However, there are specialized problems that are easy to make reservations. Implementation of the callbot service in hospitals appears to be applicable immediately.

개인의 계획된 행위와 국가경제환경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분석: OECD국가를 대상으로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nvironment on Entrepreneurship)

  • 한상연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149-165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관련하여 개인이 갖는 창업 의지와 실제 창업 행위의 흐름을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s, TPB)'에 기반하여 설정하였다. 그간의 연구들이 거시적 측면의 국가경제환경 변수를 단순히 통제변수나 창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만 활용하여온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속한 국가 경제환경 변수를 개인 특성변수와 동시에 고려하여 창업의도와 창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5년에서 2014년 사이 10년 간 31개국 OECD국가들을 대상으로 국가별 GEM(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data와 OECD 통계자료를 결합한 불균형 패널을 구축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개인이 발현하는 기업가정신의 최종 모습인 창업활동을 그간의 연구와는 차별적으로 창업활동의 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초기창업활동을 생계형 창업활동과 개선 및 기회추구 창업활동으로 구분 확장하여 각각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특성변수 중 주관적 규범이 개인의 창업의도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활동에 대한 분석에서는 개인특성 변수 중 인지된 기회가 초기창업활동(TEA)과 개선 및 기회추구 창업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계형 창업활동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가별 경제환경 변수 중에서는 수요측면의 실질 GDP경제성장률은 생계형 창업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공급측면의 실업률은 초기창업활동(TEA)과 개선 및 기회추구 창업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소득 수준(국민 1인당 GDP)은 초기창업활동(TEA)과 개선 및 기회추구 창업활동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계형 창업활동에 대해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창업의 질적 수준에 따라 개인특성과 국가 경제환경변수가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업가정신의 고취와 실제 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측면에서 개인의 특성과 경제환경적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종합적 수준의 정책이 기획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교육중심의 산학협동 모델 : LG전자와 한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n Education-Oriented Industry and University Collaboration Model : A Case Study of LG Electronics and Handong University)

  • 이동하;강득철;이강;정경훈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3호
    • /
    • pp.32-3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한동대학교 전산전자공학부와 LG전자의 산학협동 사례를 통해 기존의 연구중심의 산학협동 모델에서 탈피한 교육중심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이 교육중심 산학협동 모델에서는 전통적인 관심이었던 연구 프로젝트의 성공이나 새로운 공학기술의 개발 대신에 현장에서 경쟁력 있는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우수한 인력을 기업에 공급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모델을 통해 기업과 학교 그리고 수요자인 학생 등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으며, 이 모델에서의 핵심 프로그램인 수요자 중심의 공동교과과정에 대해서 개발과정 및 운영내용을 살펴보고 현재 상황에서의 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효율적 공간 형상화 및 건물성능분석을 위한 스케치 정보 기반 BIM 모델 자동생성 프레임워크 개발 (A Framework Development for Sketched Data-Driven Building Information Model Creation to Support Efficient Space Configuration and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 공병찬;정운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50-61
    • /
    • 2024
  • 사용자의 공간 요구사항 중심의 평면계획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 주택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건축주는 공간 구성이나 비용 견적과 같은 근거를 기반으로 평면요구사항을 개진하는데 매우 제한적인 수단을 활용하고 있어 건축가와 같은 전문가들과의 소통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케치 정보 기반의 공간 요구사항을 BIM 모델의 3D 건물구성요소로 자동 변환하여 사용자의 공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초기 설계단계에서 예산 산정을 지원하기 위한 건물성능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프로세스 모델 개발, 프레임워크 구현 및 검증단계로 구성되었다. 프로세스 모델 개발은 프레임워크의 데이터 흐름을 묘사하고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기능을 정의하는 단계이며, 프레임워크 구현은 프로세스 모델을 기반으로 시스템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이종 시스템 간의 연동 방식을 정의하는 단계이다. 검증단계는 개발된 프레임워크가 스케치 정보로 표현된 공간 요구사항을 BIM 모델의 벽, 바닥, 지붕과 같은 건물 구성요소 객체들로 자동 변환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또한 프레임워크가 BIM 모델을 기반으로 재료 및 에너지 비용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프레임워크를 통해 사용자는 스케치 정보를 기반으로 3D 건물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BIM 모델을 통해 공간을 이해하고 건물성능분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K-Trade : 데이터 주도형 디지털 무역 프레임워크 (K-Trade : Data-driven Digital Trade Framework)

  • 김채미;노웅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77-189
    • /
    • 2020
  • The OECD has assessed Korea as the third highest in trade facilitation worldwide. The paperless trade of Korea is world class based on uTradeHub : national e-trade service's infrastructure for trade community. Over 800 trade-related document standards provide interoperability of message exchange and trade process automation among exporters, importers, banks, customs, airlines, shippers, forwarders and trade authorities. Most one-to-one unit processes are perfectly paperless & online;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process flow, there is a lack of streamlining end-to-end trade processes spread over many different parties. This situation causes the trade community to endure repetitive-redundant load for handling trade documents. The trade community has a strong demand for seamless trade flow. For streamlining the trade process, processes with data should flow seamlessly to multilateral parties. Flowing data with an optimized process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to accomplish seamless trade. This study proposes four critical digital trade infrastructures as a platform service : (1) data-centric Intelligent Document Recognition(IDR), (2) data-driven Digital Document Flow (DDF), (3) platform based Digital Collaboration & Communication(DCC), and (4) new digital Trade Facilitation Index (dTFI) for precise assessment of K-Trade Digital Trade Framework. The results of new dTFI analyses showed that redundant reentry load was reduced significantly over the whole trade and logistics process. This study leads to the belief that if put into real-world application can provide huge economic gains by building a new global value chain of the K-trade eco network. A new digital trade framework will be invaluable in promoting national soft power for enhancing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trade community. It could become the advanced reference model of next trade facilitation infrastructure for developing countries.

The Analysis on the Recyclability of Shenlong Automobile Company in China using SWOT Technique

  • Zhao, Wei;Jung, Heon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46-15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yclability of Shenlong in China using SWOT.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vided that the company's current capacity utilization rate is seriously insufficient, reducing staff is one among the effective ways. Second, Shenlong should open a web store to cater to young people's online shopping behavior, and further expand the brand visibility using national mainstream media and online shopping platforms like Taobao and JingDong to market Dongfeng Peugeot and Dongfeng Citroen on the whole network. Third, under the premise of maintaining the present best-selling models, Shenlong should appropriately reduce the amount of models, adjust the assembly capacity ratio of every model and every displacement in real time per the newest market trends, increase the agility of auto companies' production, and timely meet the wants of domestic consumers. Fourth, dual-brand coordination and channel integration are very necessary, and also the profitability and profitability of dealers are going to be further improved, thereby increasing sales. Fifth, target building new energy leading products of Shenlong, strive to attain the forefront of the industry within the sales of recent energy vehicles within 5 years, and gradually expand new energy vehicle products from passenger vehicles to passenger vehicles and commercial vehicles. Finally, the marketing field of Shenlong Automobile should achieve "three major changes", that is, change from a goal-driven type to a demand-driven type, cancel the bundling of outlet invoicing goals and delivery incentive tiers; start from basic capabilities, and set pragmatic and challenging goals; focus Channels, to realize following the activation of outlets, and single store sales incr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