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mand-based method

검색결과 1,698건 처리시간 0.042초

SPD를 이용한 리튬이온전지용 전기저장장치의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tection Method of Energy Storage System for Lithium-ion Battery Using Surge Protection Device(SPD))

  • 황승욱;이후동;태동현;노대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68-574
    • /
    • 2020
  • 최근, 신재생에너지원의 출력 안정화, 수요관리 및 주파수 조정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기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의 설치가 매년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8월에 발생한 고창 전력시험센터의 ESS 화재를 시작으로 경산 변전소, 군산 태양광발전소 등 현재까지 총 29건의 화재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재산피해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저장장치의 화재사고는 전기저장장치의 용량이나 계절과는 무관하게 발생되고 있으므로, ESS의 화재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ESS의 사고특성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SS의 사고특성을 분석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력계통 상용해석 소프트웨어인 PSCAD/EMTDC를 이용하여 ESS의 모델링을 수행한다. 다양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ESS의 단락사고특성을 확인한 결과, 높은 사고전류로 인하여 보호기기인 퓨즈가 동작하고, 매우 큰 CMV(common mode voltage)가 발생하여 ESS의 절연이 파괴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ESS의 배터리측과 PCS측에 각각 SPD를 설치한 경우, DC측 전로에서 발생하는 CMV가 3[kV] 이내로 크게 감소되어 ESS의 절연파괴를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용량 파일시스템을 위한 선택적 압축을 지원하는 인-메모리 캐시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Memory File System Cache with Selective Compression)

  • 최형원;서의성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7호
    • /
    • pp.658-667
    • /
    • 2017
  • DRAM 기반의 인메모리 캐시는 고비용으로 인해 용량을 늘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압축을 이용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캐시하는 기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압축은 높은 처리부하와 반응 지연을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섀넌 엔트로피를 통해 파일의 압축률을 낮은 오버헤드를 통해 고속으로 예측하여, 높은 압축률을 가진 파일만 압축하는 선택적 압축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파일시스템 내에서 실제 사용이 가능하도록 커널 레벨에서 파일 시스템을 위한 인메모리 캐시를 제공하도록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선택적 압축 기법은 비 압축에 비해 약 18%의 실행시간 감소를 보이며, 전체 캐시 데이터 압축 방법에 비해서도 캐시 히트율의 감소에 의한 성능하락을 최소화 시키고, 동시에 압축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여, 7.5%의 실행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압축에 사용되는 CPU사용시간을 모두 압축 했을 때와 비교하여 28%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사전예약을 통한 구매결정이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의 작동원리에 관한 실증연구 (The Mechanism of the Influence of Advanced Selling on Consumer Choice)

  • 김경호;이형탁;서헌주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6호
    • /
    • pp.81-87
    • /
    • 2016
  • Purpose - In recent, a research finds that advanced selling can influence a consumer's choice(Kim et al., 2013). Advanced selling is defined as the new product launching strategy which company allows consumers to preorder new product before its release(Chu & Zhang, 2011). Prior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benefits of advanced selling(e.g., information gathering for demand prediction, an advantage for pricing strategy, and so on) for companies using this strategy(Chen, 2001; Chu & Zhang, 2011; Li & Zhang, 2013; Tang et al., 2004; Xie & Shugan, 2009). However, Kim et al.(2013) find it can also influence a consumer's choice. In detail, they suggest that when consumers use advanced selling, they are likely to prefer high-performance options rather than low-price options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Trope & Liberman, 2003). In this paper, we tried to expand the prior researches for finding the mechanism of the influence of advanced selling on a consumer's choi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advanced sell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find the mechanism of the influence of advanced selling, we designed an experiment for testing mediation effect. we recruited 93 students from a university. We assigned participants into one of two groups using randomiz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ith each group were given a scenario describing the sales strategy. Finally, they made a choice between high-performance option and low-price option. Sequentially, they also responded some questions for testing mediation effect. Results - First, we replicated prior research to test the influence of advanced selling. As a result, we could find that consumers prefer the high-performance option when they preorder it to purchase at the time of consumption. Thus, the replication result is the same as prior research. Second, we tested that advanced selling can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emporal distance. The results confirmed that consumers perceived longer temporal distance in advanced selling condition(β = 1.575, SE = 0.272, p < 0.001). Third, we predicted that temporal distance can increase the importance of desirable attributes and decrease the importance of feasible attribut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emporal distance decreased significantly the importance of attributes related to feasibility(β = -0.19, SE = 0.07, p < 0.01), however, it had non-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desirable attributes. Finally, we used Sobel-test for testing mediation effect, and it confirmed that the importance of feasible attributes had mediating role of the influence of advanced selling(Sobel test statistic = -2.110, SE = 0.111, p < 0.05). Conclusions - In this paper, we tried to find the mechanism of the influence on advanced selling from a consumer's choice. With an experiment, we confirmed that the importance of feasible attributes could mediate the effect on advanced selling. Therefore, we suggested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from this research. Finally, we discussed research limitation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topics.

경쟁체제 하에서의 발전소 건설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ystem Dynamics model for Electric Power Plant Construction in a Competitive Market)

  • 안남성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2권2호
    • /
    • pp.25-40
    • /
    • 2001
  • This paper describes the forecast of power plant construction in a competitive korean electricity market. In Korea, KEPCO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fully controlled by government) was responsible for from the production of the electricity to the sale of electricity to customer. However, the generation part is separated from KEPCO and six generation companies were established for whole sale competition from April 1st, 2001. The generation companies consist of five fossil power companies and one nuclear power company in Korea at present time. Fossil power companies are scheduled to be sold to private companies including foreign investors. Nuclear power company is owned and controlled by government. The competition in generation market will start from 2003. ISO (Independence System Operator will purchase the electricity from the power exchange market. The market price is determined by the SMP(System Marginal Price) which is decided by the 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electricity in power exchange market. Under this uncertain circumstance, the energy policy planners such as government are interes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power plant in the future. These interests are accelerated due to the recent shortage of electricity supply in California. In the competitive market, investors are no longer interested in the investment for the capital intensive, long lead time generating technologies such as nuclear and coal plants. Large unclear and coal plants were no longer the top choices. Instead, investors in the competitive market are interested in smaller, more efficient, cheaper, cleaner technologies such as CCGT(Combined Cycle Gas Turbine). Electricity is treated as commodity in the competitive market. The investors behavior in the commodity market shows that the new investment decision is made when the market price exceeds the sum of capital cost and variable cost of the new facility and the existing facility utilization depends on the marginal cost of the facility. This investors behavior can be applied to the new investments for the power plant. Under these postulations, there is the potential for power plant construction to appear in waves causing alternating periods of over and under supply of electricity like commodity production or real estate production. A computer model was developed to sturdy the possibility that construction will appear in waves of boom and bust in Korean electricity market. This model was constructed using System Dynamics method pioneered by Forrester(MIT, 1961) and explained in recent text by Sternman (Business Dynamics, MIT, 2000) and the recent work by Andrew Ford(Energy Policy, 1999). This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Energy Policy results(Ford, 1999) with parameters for loads and resources in Korea. This Korea Market Model was developed and tested in a small scale project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Dynamics approach. Korea electricity market is isolated and not allowed to import electricity from outsides. In this model, the base load such as unclear and large coal power plant are assumed to be user specified investment and only CCGT is selected for new investment by investors in the market. This model may be used to learn if government investment in new unclear plants could compensate for the unstable actions of private developers. This model can be used to test the policy focused on the role of unclear investments over time. This model also can be used to test whether the future power plant construction can meet the government targets for the mix of generating resources and to test whether to maintain stable price in the spot market.

  • PDF

LTE 원격관제를 통한 UAV의 비가시권 데이터 취득방안 (A Study on Data Acquisition in the Invisible Zone of UAV through LTE Remote Control)

  • 정호현;이재희;박성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1호
    • /
    • pp.987-997
    • /
    • 2019
  • 최근 무인항공기(UAV)의 발전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UAV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전통적인 방식의 인공위성 및 항공영상에 비해 적은 운용비용으로 효과적인 자료 취득이 가능하여 다양한 연구(환경, 지리정보, 해양관측, 원격탐사)에 활용되고 있다. 다만, 배터리 용량 및 관제시스템과 기체의 거리 제한에 따라 전통적인 원격탐사 방법인 위성과 항공기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좁은 면적만을 획득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원거리 원격관제가 가능하다면 원격탐사 분야에서의 UAV의 활용 가능성은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이에 UAV와 관제 시스템의 거리에 상관없이 관제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방식의 무선장치(RF 2.4 GHz, 915 MHz, 433 MHz)로 UAV와 Ground Control System(GCS)가 송수신 할 수 있는 거리는 약 2 km 내외로 제한적이다. 하지만 구축되어 있는 Long-Term Evolution(LTE) 통신망 기반의 제어방식을 적용하면 Radio Frequency(RF) 통신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기존 산업과 융합하여 보다 큰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TE 통신방식을 통해 GCS 기준 최대 직선거리 6.1 km, 촬영 면적 2.2 ㎢, 총 비행 거리 41.75 km의 비행을 수행하였다. 또한, LTE 통신의 무선 기지국 현황을 통해 통신 두절 가능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공간정보산업 해외진출을 위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 패키지상품 모형 개발 연구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V-World packaged goods model for the overseas expans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 임용민;이재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06-614
    • /
    • 2016
  • 포화상태인 국내 공간정보산업시장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해외 진출이 필수적이나, 현재의 공간정보산업 해외 진출은 시장 확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공간정보산업의 해외진출 전략은 국내-해외 공간정보산업을 동시에 고려하여 해외진출 전략의 실효성을 담보해야 한다. 이러한 공간정보 산업현황에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이에 공간정보 세계시장에서 국내 공간정보산업이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 방안의 하나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기반의 패키지 상품 모형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공간정보산업 해외진출 현황 및 특징을 파악하였고, 상품으로서의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을 파악하기 위해 해외 수요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과의 관계를 도출하고 판매 대상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기반으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을 활용한 융 복합 패키지 수출 기본 전략을 수립하고 상품의 기본 개념, 구성 요소를 설계하였다. 수출대상국 수요 지향적 전략,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기반 전략, 국내기업 연계-통합형 전략으로 구분하여 오픈플랫폼 기반 융 복합패키지 상품 기본모형까지 설계하였고, 이러한 융 복합 패키지 상품 구성에 따라 공간정보 관련 기업의 해외 진출 촉진을 기대할 수 있다.

공공건설사업의 건설사업관리방식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Method of Construction Management based o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김관수;박형근;손보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65-73
    • /
    • 2013
  • 국내 건설산업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1996년 12월 건설산업기본법의 제정과 함께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 제도가 도입되었지만, 16년이 지난 현재 발주청이 공공건설공사 수행 시 건설사업관리 방식을 선정하기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발주청이 건설사업관리 방식의 적용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고찰 및 설문배포, AHP분석을 통하여 공공건설공사에서의 건설사업관리 방식 적용을 위한 검토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실제 지방국토관리청에 등록되어 있는 발주공사를 바탕으로 사례적용 Simulation을 수행하여 발주청이 건설사업관리를 위탁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적정성 검토의 선정 기준을 수립하였다. 국내에서는 향후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수요가 공공 부문이나 민간부문에서 점점 더 확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현재 상태의 건설사업관리 제도 하에서는 건설사업관리 방식을 적용한 건설 사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선진국 수준의 건설사업관리 제도가 활성화 되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발주기관에서는 건설사업관리 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발주방식 선정 시 건설사업관리를 위탁 시행하기 위한 건설공사의 적정성 검토의 자료로 본 연구 결과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의 클라이언트를 위한 실용적 프로세스 모델 (A Practical Process Model for Clients in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 이재유;김수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4호
    • /
    • pp.513-522
    • /
    • 2008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A)는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범용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여 배포(Publish)하고 동적으로 발견(Discover), 조립(Composition)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기술이다. 따라서 SOA는 Publish-Discover-Invoke 형태의 컴퓨팅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객체지향, CBD의 컴퓨팅 방식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SOA의 서비스는 절차적 프로그래밍의 함수, 객체지향의 객체, CBD의 컴포넌트와는 다른 구성 단위(Unit)이며, 재사용성과 보편성이 서비스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이 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간의 사전 상호인지나 정보의 공유없이, 서비스 제공자가 재사용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개발하고, 서비스 사용자는 이를 검색한 후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제공자와 소비자 간의 결합도가 매우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SOA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실행시간에 검색,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기존 컴퓨팅 방식에는 적용되지 않은 개념이다. 따라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서버의 기능을 JSP, RMI 등을 사용하여 호출하는 방식은 SOA 서비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계 하는데 잘 적용될 수 없다. SOA 서비스 클라이언트 개발을 위해서는 서비스의 특징과 SOA의 서비스 사용 절차를 설계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서비스 클라이언트 개발을 위한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 프로세스가 정의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서비스 제공자 측면의 SOA 서비스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조차 정의가 부족하고, 서비스 사용자 측면의 클라이언트 개발 프로세스는 소수의 가이드라인을 제외하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서비스 검색과 실행을 위한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 프로세스와 각 단계별 지침을 정의하고, 호텔 검색 및 예약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제시된 개발 프로세스를 적용한다.

소형루프 전자탐사법을 이용한 매설물 탐지 및 지하 전기비저항 영상화 (Detection of Buried Objects and Imaging of Subsurface Resistivity Structure using Loop-Loop EM Methods)

  • 설순지;송윤호;조성준;손정술;정승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5권4호
    • /
    • pp.309-315
    • /
    • 2002
  • 소형 송수신기를 이용하는 전자탐사 방법은 이제까지 주로 금속탐지기와 같이 지하전도체의 매립위치 탐지 및 전기전도도의 정성적인 변화를 해석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토목, 환경분야에서 전기전도도가 비교적 높은 지역에서의 매설물의 탐지 및 전기전도도 분포를 영상화하는 기술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전자탐사의 적용 및 정량적인 해석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자탐사법의 탐사 기초원리를 간략히 소개하고, 실증 시험 지역에서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전도성 매설물의 탐지 및 지하 전도도 분포 영상화의 실 예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 이러한 소형루프를 이용하는 다중주파수 전자탐사 장비가 전도성 매질이 존재하는 탐사 지역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탐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도시철도 대기공간의 적정규모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oper Sizing of a Subway Station Waiting Area)

  • 김종황;백성준;남두희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62-269
    • /
    • 2016
  • 지하철 정거장면적의 규모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이용승객 실적을 기반으로 B수준으로 면적을 산정하면, 현재 건설된 면적대비 16.3%만으로도 고객의 이용 편익을 충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정거정별 위치와 지명도, 상징성, 하루 승 하차인원 등 역별 특성에 맞게 가중치를 부여하면, 현재면적의 18.6%만으로도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호선별로 보면 8호선의 과다면적이 가장 크고, 환승유 무별에서는 환승역이 비환승(일반)역보다 과다면적이 크게 추정되었다. 그리고 지하 심도별로는 21~30m인 역의 면적이 가장 과다하고, 승차인원별 추정에서는 1일 피크실적 1,000명 이하의 역들이 가장 과다면적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정거장의 규모(면적) 산정방식을 단순화하고 규모를 슬림화(축소)하는 것이 시민들의 이동편리(동선, 이동시간)와 지하공간이동 안전에 유리하고, 초기투자비 절감 및 운영시 유지관리비용 절약에서도 효과적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