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hydroglyasperin C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Antioxidant activities of licorice-derived prenylflavonoids

  • Kim, Hyo Jung;Seo, Ji-Yeon;Suh, Hwa-Jin;Lim, Soon Sung;Kim, Jong-Sa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6호
    • /
    • pp.491-498
    • /
    • 2012
  • Glycyrrhiza uralensis (or licorice) is a widely used Oriental herbal medicine from which the phenylflavonoids dehydroglyasperin C (DGC), dehydroglyasperin D (DGD), and isoangustone A (IsoA) are deriv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DGC, DGD, and IsoA. The three compounds showed strong ferric reducing activities and effectively scavenged DPPH, $ABTS^+$, and singlet oxygen radicals. Among the three compounds tested, DGC showed the highest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in human hepatoma HepG2 cells as assessed by oxidant-sensitive fluorescent dyes 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and dihydroethidium bromide. In addition, all three compounds effectively suppressed lipid peroxidation in rat tissues as well as $H_2O_2$-induced ROS production in hepatoma cell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mong the three phenylflavonoids isolated from licorice, DGC possesses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suggesting it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chronic diseases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as well as potential as an antioxidant food additive.

Dehydroglyasperin D Suppresses Melanin Synthesis through MITF Degradation in Melanocytes

  • Baek, Eun Ji;Ha, Yu-Bin;Kim, Ji Hye;Lee, Ki Won;Lim, Soon Sung;Kang, Nam J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8호
    • /
    • pp.982-988
    • /
    • 2022
  • Licorice (Glycyrrhiza) has been used as preventive and therapeutic material for hyperpigmentation disorders. Previously, we isolated noble compounds including dehydroglyasperin C (DGC), dehydroglyasperin D (DGD) and isoangustone A (IAA) from licorice hexane/ethanol extracts. However, their anti-melanogenic effects and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are unknown. The present study compared effects of DGC, DGD and IAA on pigmentation in melan-a melanocytes and human epidermal melanocytes (HEMn). DGD exerted the most excellent anti-melanogenic effect, followed by DGC and IAA at non-cytotoxic concentrations. In addition, DGD significan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cell-free system and cell system. Western blot result showed that DGD decreased ex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in melan-a cells and HEMn cells. DGD induced phosphorylation of MITF, ERK and Akt signal pathway promoting MITF degradation system. However, DGD did not influence p38 and cAMP-dependent protein kinase (PKA)/CREB signal pathway in melan-a cells. These result indicated that DGD inhibited melanogenesis not only direct regulation of tyrosinase but also modulating intracellular signaling related with MITF level.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a protective role for DGD against melanogenesis.

실시간 활성시스템을 접목한 감초의 유효성분에 대한 표준화 연구 (Studies on Standardization of Licorice Based on Its Active Components with On-line HPLC Bioassay System)

  • 홍재승;강범구;장영수;김선하;왕지강;박윤하;박종혁;임순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01-414
    • /
    • 2014
  • 기존의 HPLC 분석법에 활성을 접목시킨 실시간 분석법을 활용한 새로운 표준화 방법을 시도하였다. 항산화, 항염증, 항암작용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지고 있는 한약재인 감초를 대상으로 산지가 다른 아홉 종류의 감초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주산 감초에서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실시간 활성 측정법에 의해 세 개의 활성 peak가 확인되었다. 이를 대상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세 개의 활성 피크의 물질을 각각 dehydroglyasperin C, dehydroglyasperin D, isoangustone A로 동정하였으며 감초의 항산화 지표 성분으로 설정하였다. 실시간 활성 분석법에 대한 validation을 수행한 결과 다른 물질과의 간섭이 없는 특이성, 상관계수 0.99~1.00의 직선성, 일내와 일간 정밀도의 RSD 값이 2% 이내의 정밀성 갖으며, 회수율 98~100%의 정확성을 보여 이 분석방법에 대한 신뢰도와 재현성이 검증되었다. 특히, 실시간 활성측정법은 활성 물질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빠른 시간내 효과적으로 시료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을 접목시킨 실시간 활성 분석법은 활성을 기반으로 한 천연물 소재의 표준화 연구 접근법 중의 하나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감초에서 분리된 데하드로글라이아스페린 C에 의한 마우스 모델계에서 quinone reductase 활성의 조절 (Regula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Mice by Dehydroglyasperin C Isolated from Licorice)

  • 한정화;김정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51-55
    • /
    • 2013
  • 예로부터 다양한 방면에서 약용식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감초에서 분리한 dehydroglyasperin C (DGC)는 이전의 연구에서 세포 모델계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능력과 2상 해독효소계 활성을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동물 모델계에서 DGC의 항산화능과 2상 해독효소계를 평가하였을 때, 유의적 결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DGC 처리시간에 따라 마우스의 장기 및 혈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0, 2, 4, 6, 8, 12, 24 시간 동안 DGC를 처리한 후, 장기별 QR 유도활성과 간과 신장에서의 단백질 발현 패턴, 혈장의 항산화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GC 처리에 의한 QR 유도활성은 위, 대장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고, 간, 신장, 소장, 폐에서는 큰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2상 해독효소의 단백질 발현 패턴은 간에서는 역시 큰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위에서는 QR 유도활성과 유사한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혈장의 DGC 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활성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값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DGC는 처리 시간에 따라 각 장기 및 혈장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DGC의 효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