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ee-days

검색결과 1,746건 처리시간 0.024초

증해추출 왕겨분말을 혼입한 지오폴리머의 황산마그네슘 저항성에 관한 연구 (Magnesium Sulfate Resistance of Geopolymer Incorporating Evaporated Rice Husk Powder)

  • 조승비;김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63-672
    • /
    • 2022
  • 왕겨분말 혼입 지오폴리머의 황산마그네슘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해, 비교대상으로 보통 콘크리트, 실리카 흄 혼입 콘크리트,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를 혼입한 2성분계 지오폴리머를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황산마그네슘 용액침지시험을 실시하였다. 재령별 압축강도를 이용하여 산출한 황산염 열화지수는 황산마그네슘 용액 침지재령 56일에서 보통 콘크리트의 경우 6.75%이었으나, 왕겨분말 혼입 지오폴리머의 경우 모든 시편에서 1.28~1.87%의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실리카 흄 혼입 콘크리트의 2.48%보다 낮게 나타나 왕겨분말이 황산마그네슘 침식 저항성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콘크리트 내부 미세균열과 외부열화에 대한 평가를 위해 시험체의 중량변화율의 경우 황산마그네슘 용액 침지재령28일 이후부터 모든 시험체에서 중량이 크게 변화하였으며, 침지재령 56일에서 보통 콘크리트는 3.78%로써 황산마그네슘에 의한 열화가 가장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왕겨분말 혼입 지오폴리머의 경우 0.9~1.45%의 작은 중량변화율을 보였다. 지오폴리머 내의 에트린자이트 생성 정도를 X선 회절 분석법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왕겨분말 혼입 지오폴리머에서는 소량으로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황산마그네슘 침식 저항성에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etofluthrin계 방의제의 전통 목조건축물 적용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to Metofluthrin-based Termiticide for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 윤새민;박용건;정진영;황원중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79-6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통 목조건축물 적용을 위하여 살충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metofluthrin을 주성분으로 한 약제의 방의효력 및 단청 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약제의 흰개미 사충효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로 희석한 약제에 흰개미를 7일간 노출하였다. 그 결과, 약제 희석 정도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약제의 사충효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통 목조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는 단청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약제 도포 횟수에 따른 단청의 재색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희석 배율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2 종류의 안료(분, 주홍)에서만 색차 값이 3.0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즉, 대부분의 안료가 단청 재색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목재 적용 시 약제의 흰개미 방의효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0배와 20배 희석액을 도포한 시험편은 각각 2.83%, 6.28%로 낮은 질량감소율을 보였으며, 10배 희석액은 3% 미만의 질량감소율로 방의제 성능 기준을 충족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서 사용된 metofluthrin계 약제는 다양한 단청안료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뿐만 아니라 국내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Reticulitermes speratus에 방의효력을 갖기 때문에 국내 전통 목조문화재의 보존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태양객체 정보 및 태양광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의 자외선 지수를 산출하는 DNN 모델 (DNN Model for Calculation of UV Index at The Location of User Using Solar Object Information and Sunlight Characteristics)

  • 가덕현;오승택;임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9-35
    • /
    • 2022
  • 자외선은 노출 정도에 따라 인체에 유익 또는 유해한 영향을 미치므로 개인별 적정 노출을 위해서는 정확한 자외선(UV) 정보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기상청에서 생활기상정보의 한 요소로 자외선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지역별 자외선 지수(UVI, Ultraviolet Index)로 사용자 위치의 정확한 UVI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정확한 UVI의 취득을 위해 직접 계측기를 운용하지만 비용이나 편의성에 문제가 있고, 태양의 복사량과 운량 등 주변 환경요소를 통해 자외선 양을 추정하는 연구도 소개되었으나 개인별 서비스 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개인별 위치에서의 정확한 UVI 제공을 위한 태양객체 정보와 태양광 특성을 이용한 UVI 산출 딥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기 수집한 하늘이미지 및 태양광 특성을 분석하여 태양의 위치 및 크기, 조도 등 UVI와 상관도가 높은 요소들을 선정한 후 DNN 모델을 위한 데이터 셋을 구성한다. 이후 하늘이미지로부터 Mask R-CNN을 통해 추출한 태양객체 정보와 태양광 특성을 입력하여 UVI를 산출하는 DNN 모델을 구현한다. 국내 UVI 권고기준을 고려, UVI 8이상과 미만인 날에 대한 성능평가에서는 기준장비 대비 MAE 0.26의 범위 내 정확한 UVI의 산출이 가능하였다.

수도의 건물 생산 및 배분의 수리적연구 II. 이앙기에 따른 부위별 건물배분 (Quantitative Analysis of Dry Matter Production and its Partition in Rice II. Partitioning of Dry Matter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 조동삼;정승근;허훈;육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73-281
    • /
    • 1990
  • 수도의 생육시기별로 건물의 부위별 배분을 추적하고 이의 예측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통일계의 삼강벼와 일반계인 상풍벼를 1987년 5월 11일부터 10일 간격으로 4회 포장에 이앙재배하여 부위별 건물중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의 부위별 건물중은 이앙기가 늦어질수록 저하하였는데 특히 6월 1일 이후의 이앙에서 그 정도가 심하였다. 품종별로는 상풍벼 보다는 삼강벼의 총건물중 및 부위별 건물중이 더 컸다. 2. 간과 엽소의 건물배분율은 6월 11일 이전의 이앙에서는 이앙후 70일 전후 그리고 6월 21일 이후의 이앙에서는 이앙후 60일 전후까지 계속하여 증가하다가 출수후에 저하하였으며, 엽신의 건물 배분율은 이앙후 계속하여 저하하였다. 3. 간과 엽소의 최대 건물배분율은 폿트와 포장에서 모두 이앙기와 품종에 관계없이 60-70%의 범위였으나, 수확기의 건물배분율은 폿트에서 37-43% 그리고 포장에서는 27-33%로 낮아졌으며, 엽신의 수확기 건물배분율은 11-17%의 범위였다. 4. 이삭의 건물배분율은 출수후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폿트에서는 42-49% 그리고 포장에서는 52-62%에 달하여 생육환경에 따른 건물배분율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품종별로 이앙기에 관계없이 이앙후의 일수에 따른 부위별 건물배분율의 추정을 위한 회귀식은 시험별로는 결정계수가 71-95%로서 만족한 정도였으나 한 시험에서 얻은 추정식으로 다른 시험의 건물배분율을 추정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 PDF

생식생장기 냉수온이 벼의 Source와 Sink관련형질 및 양분호흡에 미치는 연구 I. 냉수관개가 지경과 영화의 분화 및 퇴화, 불임, 등숙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s and Nutrient Uptake Related to Source and Sink by Cool Water Temperature at Reproductive Growth Stage I. Influence of Cool Water Irrigation on the Degen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Rachis Branches and Spikelets, Sterility Ratio and Ripening Ratio of Rice)

  • 최수일;나종성;소재돈;이만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9-367
    • /
    • 1985
  • 본 시험은 산간부인 진안(해발 303 m)에서 생식생장기에 일반상수를 대비하여 냉수를 유수형성기와 감수분열기에 4, 8, 12 일간 관개하였을때 야기되는 물질생산 및 수용계의 냉해반응을 알고자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냉수관개기간이 길어질수록 간장, 수장, 추출도의 신장이 억제되었으며, 유수형성기 냉수관개는 하위절, 감수분열기 냉수관개는 상위절의 절간신장을 단축시켰다. 또한 지경 및 영화의 퇴화는 유수형성기 냉수 관개에 민감한 영향을 받아 2차지경과 영화의 분화착생수 감소 및 퇴화의 증가를 보였다. 2. 불임율과 등숙장해도 냉수관개기간이 길어질수록 심하였고 유수형성기보다 감수분열기 냉수관개에서 피해율이 현저히 높았는데 특히 피해반응이 예민한 시기는 영화원기분화기와 감수분열기경이었으며 불임율, 등숙비율과 수량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3. Source와 Sink 관련형질중 지경과 영화의 퇴화는 엽면적에 영향을 받고 불임율과 수량은 간장, 수장,추출도의 신장량과 상관이 있었다.

  • PDF

'캠벨얼리' 포도의 화수(花穗)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GA3의 영향 (Effects of GA3 Dipping Treatment on the Spike Growth and Fruit Quality at Harvest of 'Campbell Early' Grapevine)

  • 이영철;문병우;남기웅;문영지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5권1호
    • /
    • pp.85-93
    • /
    • 2013
  • 수확 시 과방의 생장(과방중, 과방장, 과방폭, 과병의 직경크기, 과병장)은 무처리에 비하여 GA3 10 mg·L-1 처리가 증가되었다. GA3 농도별 과립의 생장 (과립수, 과립중, 과립경, 과립장)은 차이가 없었으나 지경중은 무처리에 비하여 GA3 5, 10, 20, mg·L-1 처리 농도에서 증가되었다. 그러나 GA3 40 mg·L-1 처리는 차이가 없었다. 과립의 밀착정도, 과분 발생 정도, 가용성고형물 및 과피의 착색 정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무핵 정도는 GA3 10 mg·L-1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과립의 열과 발생률은 무처리에 비하여 GA3 농도 5, 10, 20, 40 mg·L-1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과립의 탄저병 발생률은 큰 차이가 없었다. 과방당 총 지경장은 무처리, 20 및 40 mg·L-1 처리에 비하여 5 및 10 mg·L-1처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지경 순서에 의한 1번 지경부터 15번 지경까지 지경장은 GA3 10 mg·L-1 처리는 증가하였다.

벼줄기굴파리에 대한 수도(水稻)의 품종저항성(品種抵抗性) (Studies on Rice Varietal Resistance to Rice Stem Maggot, Chlorops oryzae Matsumura)

  • 이영복;황창연;이문홍;최궤문;안장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32
    • /
    • 1986
  • 벼줄기굴파리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검정방법(檢定方法)을 확립하고 주요 품종의 저항성정도들 알기 위하여 포장과 폿트에서 피해(被害)와 사충율(死蟲率)을 조사한 결과, 1. 포장에서 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이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보다 피해가 심하였고, 1, 2화기 피해간에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 ($r=0.845^{**}$)가 있었다. 2. 산란선호성(産卵選好性)은 품종간에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유충의 경내(莖內) 침입율(侵入率)은 수도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낮아졌다. 4. 품종 저항성(抵抗性) 기작(機作)은 주로 항충성(抗蟲性)(antibiosis)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5. 품종별 피해엽수(被害葉數)와 사충율(死蟲率)간에는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81년:$r=-0.884^{**}$, '82년:$r=-0.919^{**}$)가 있었다. 6. 품종저항성(品種抵抗性) 검정(檢定)은 파종 $30{\sim}40$일 된 묘에 갓부화한 유충을 접종하고, 접종 20일후에 사충율(死蟲率)을 조사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7.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은 낙동벼, 진주벼, 추청벼 등이고,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은 금강벼, 밀양 23호, 백양벼, 밀양 30호 등이다.

  • PDF

수경재배한 파프리카 '시로코' 저장온도별 PP필름 개별포장 따른 수확 후 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as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 and PP Film Packaging on 'Sirocco' Paprika on Hydroponic)

  • 이정수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9-65
    • /
    • 2023
  • 수경재배한 파프리카 '시로코' 온도조건 별(10℃와 20℃) 저장 시 PP필름의 개별 포장여부에 따른 생체중량 감소, 외관, 경도 등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파프리카 생체중량 감소 정도에서 포장 여부에 따른 차이가 커서, PP필름 개별 포장한 것이 무포장에 비해 중량감소 정도가 현저히 적었다. 무포장의 경우 온도에 따른 생체중량 차이를 보여 저장온도 10℃가 20℃보다 변화 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물(SSC) 변화는 온도와 포장 여부에 따라 변화 패턴이 다르고 처리 효과도 저장 후기에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저장온도 10℃에서의 필름 포장은 다소 증가하는데 비해, 저장 20℃에서 무포장은 감소하였다. 파프리카 경도 차이도 저장 후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저장온도 20℃에서 무포장이 다른 처리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그러나 같은 저장온도 20℃라도 필름 포장으로 경도 감소 정도 폭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 Hue angle은 파프리카 '시로코'는 저장 중 감소하지만, 저장온도나 포장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외관에 따른 상품성은 저장온도 10℃에서 PP필름 포장을 통해 외관에 따른 상품성이 다른 저장온도나 포장한 것보다 변화 폭이 적고, 상품성 보존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파프리카 '시로코' 외관 변화에서 보듯이 파프리카 선도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온도 처리와 포장을 병행해야 수확 후 상품성이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한 파프리카 '시로코' 저장온도와 포장여부에 따른 연구 결과, 저장온도 10℃에서 포장 시 무포장 보다 외관적 선도 및 품질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국내 유통환경은 파프리카 상품성이 보다 신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포장이 필요하며, 앞으로 효과적 포장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 vs 웨어러블, 실제 걸음 수 산출을 위한 보정계수의 발견 - 두 기기의 In-situ 활용 행태 비교를 바탕으로 - (Smartphone vs Wearable, Finding the Correction Factor for the Actual Step Count - Based on the In-situ User Behavior of the Two Devices -)

  • 한상규;김유정;안아주;허은영;김정훈;이중식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123-135
    • /
    • 2017
  • 최근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걸음 수를 활용한 건강 관리가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액티비티 트래커를 통해 더 정확하고 간편하게 걸음 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도, 액티비티 트래커가 대중화 되지 못하고 스마트폰의 페도미터 센서를 대체 활용하는 추세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실제 걸음 수 대비 스마트폰이 수집한 걸음 수가 실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어떤 요인이 차이를 만드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1명을 대상으로 7일간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시 활용한 걸음 수를 수집 하는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웨어러블 대비, 스마트폰이 평균 62%의 걸음 수를 측정하는 것과 사용자별 편차가 큰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휴대 자각 정도가 높을수록 스마트폰의 측정 정확도가 높아지는 회귀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단독으로 걸음 수를 활용하는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실제 걸음 수와의 차이를 보정하는 계수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여수시 산후건강관리지원사업과 출산장려 신규정책지원에 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Yeosu-si Postpartum Health Care Support Project and New Policy Support to Encourage Childbirth)

  • 양승정;김영태;김수경;조성희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9-103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women and Korean medicine do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Yeosu City Postpartum Health Center Support Project.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postpartum health care support projects and new policies to encourage childbirth. Method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from 73 women and 29 Korean medicine doctors. We examined 39 items, including basic information, childbirth-related items, Korean medicine treatment-related items, business satisfaction, and policies, answered by 73 women and 29 Korean medicine doctors who responded to the online survey. Results: The average age of women was 33.62±4.19 years, and the average age of Korean medicine doctors was 49.82±8.60 years. Musculoskeletal pain appeared most commonly in both maternal and Korean medicine doctors' online surveys. The visit date from the date of delivery was 36.87±27.06 days. Gungguijohyeol-um and Boheo-tang were widely used. The survey score of women whose main symptoms improved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was 3.04±1.15 points, and the survey score of Korean medical doctors was 4.13±0.74 points. The positive response to the policy was 73.7% for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policy to encourage childbirth, 54.8% for perceived support, and 65.7% for reduction of economic burden. Conclusions: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postpartum health care support project and received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Korean medicine doctors who performed Korean medicine treatment were very satisfied. The most frequent postpartum symptom was musculoskeletal pai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main symptoms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was higher among Korean medicine doctors than among women. Among childbirth policies, the areas that should be prioritized are childbirth support projects and postpartum care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