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ee of gelatinization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7초

계면활성제 첨가 고구마 전분의 호화와 노화특성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Surfactant Added Sweet Potato Starches)

  • 이신경;신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63-471
    • /
    • 1994
  • 고구마 생전분에 0.5% 농도의 계면활성제, SSL(sodium stearoyl-2-lactylate), Dimodan(mono/diglyceride), SE 1670(sucrose fatty acid ester 1670)을 첨가하여 이들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과 호화 및 노화특성을 측정하였다. 고구마 전분 입자의 모양과 결정형은 계면활성제 첨가 후에도 변화되지 않았다. 계면활성제 첨가에 의해 총지방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아밀로오스 함량은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SE1670>SSL>Dimodan순이었다. $80^{\circ}C$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은 감소하였다.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개시온도는 무처리 전분이 $72.5^{\circ}C$였고 계면활성제 첨가시 변화는 없었으며 Dimodan과 SE1670 첨가 전분의 경우 최고 점도가 나타났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호화 양상은 무처리 전분의 피크 온도와 엔탈피는 각각 $73.7^{\circ}C$, 1.3 cal/g이며,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의 호화 피크 온도는 증가하였으나 엔탈피는 감소하였다. 알칼리 호화 양상은 초기에 급격한 점도의 증가를 보이다 완만해졌으며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의 점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alpha}$-아밀라아제-요오드법에 의한 노화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SSL과 SE1670 첨가한 전분의 노화도는 감소하였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노화도는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은 무처리 전분에 비해 모두 감소하였다.

  • PDF

전분반죽의 점도에 미치는 수분함량의 영향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Viscosity of Starch Dough)

  • 이부용;이창호;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82-592
    • /
    • 1995
  • 옥수수전분과 찰옥수수전분을 사용하여 중간 수분계의 수분함량으로 반죽을 제조하고 수분함량과 가열온도, 가열시간에 따른 전분 반죽의 물성 변화와 호화양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전분반죽과 같은 반고체(semi-solid) 물질의 물성을 측정할 수 있는 Extrusion Capillary Viscometer(ECV)를 자체 제작하였다. ECV를 사용하여 수분함량 $36{\sim}52%$ 범위로 제조된 옥수수전분과 찰옥수수전분 반죽의 물성측정 시 반죽의 열전달 특성은 가열온도 $60{\sim}100^{\circ}C$ 범위에서 수분함량이 36%에서 52%로 증가할수록 반죽의 중심온도가 원하는 가열온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220초에서 140초로 크게 단축되었다. 가열 후 ECV로 물성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과 가열온도의 모든 범위에서 반죽은 의가소성 유체의 흐름 특성을 나타내었다. 동일한 전단속도에서는 반죽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전단응력과 전단점도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여 수분함량 증가에 따른 반죽의 유동성(flowability) 증가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44% 이상의 동일 수분함량 내에서는 $80^{\circ}C$ 이상의 가열온도부터는 동일한 전단속도에서 $80^{\circ}C$ 이하로 가열한 반죽에 비해 전단응력과 전단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반죽의 점도에 미치는 수분함량의 영향은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유동성의 크기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전단응력이나 점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가열온도가 호화온도 이상인 $80^{\circ}C$부터는 전분호화에 의한 점도 증가에 의하여 수분함량에 따른 농도 의존성지수(B)값이 크게 감소하고 $60^{\circ}C$$70^{\circ}C$ 가열온도보다도 수분함량의 영향이 적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단조리법의 표준화를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I) (Scientific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Preparation Methods for Kyongdan(I))

  • 김기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0-30
    • /
    • 1987
  • 경단의 기준 조리법 설정을 위해 경단의 조리 과정에서 품질 특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되는 제요인을 찾아내고, 그 요인들 중에서 가장 유의차가 크게 나타난 요인 즉 찹쌀 침수 시간과 첨가하는 물의 온도 및 물의 양과의 상호 자용이 경단의 기호성과 texture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를 관능 검사와 기계적 측정에 의해 검토하였다. 아울러 보존 중 저장 온도와 시간 경과에 따른 호화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단의 조리 과정 중에서 경단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첨가하는 물의 양, 물의 온도, 반죽 횟수, 가루의 상태였다. 또한 각 요인간의 상호작용으로는 침수 시간과 물의 온도, 침수 시간과 물의 양, 첨가하는 물의 양과 물의 온도, 물의 양과 반죽횟수, 물의 양과 소금의 양 등이 품질 특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침수 시간과 첨가하는 물의 온도 및 물의 양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관능 검사 결과에서는 찹쌀을 12시간 침수하여 만든 가루로 25%의 온수를 첨가하여 만든 경단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 조건을 기계 측정 결과와 비교해 보면 대체로 Hardness, Gumminess, Chewiness가 작고 Springiness와 Cohesiveness가 큰 시료였다. 3. 호화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저장 2일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 보존 중의 저장 온도에 따른 호화도의 비교에서는 냉장 저장이 냉동 저장이나 실온 저장에 비해 호화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 노화가 빨리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요인 이외의 제요인에 대해서도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1986년도 문교부 학술 연구 조성비 지원으로 이루어진 것임.

  • PDF

쌀 배유 조성 탄수화물 특성과 식미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bohydrate Components in Rice Endosperm)

  • 김채은;손재근;강미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21-428
    • /
    • 2007
  • 8품종의 쌀을 시료로 하여 전분분자의 미세구조 및 전분입자 막 조성 탄수화물의 특성과 식미치와의 상관을 분석함으로써 밥맛에 영향을 미치는 탄수화물 성분 특성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 사용한 8품종 가운데 식미치는 고품벼가 가장 높았다. 2. 아밀로그램상의 호화특성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최고 점도(Peak viscosity)와 강하 점도(breakdown)는 히토메보레가 가장 높았고, 미향벼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이들 아밀로그램상의 호화특성과 식미치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3. 전분분자 중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품종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토요식미기에 의해서 분석된 아밀로오스 함량과도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아밀로오스 분자의 구조적인 특성과 식미치 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4. 아밀로펙틴의 미세구조 중 B/A의 값이 가장 큰 품종은 새추청벼였고, 가장 작은 품종은 팔공벼였다. 그러나 이들 수치와 식미치와는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5. DSC에 의한 전분입자의 호화특성도 품종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호화엔탈피는 품종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호화엔탈피 역시 식미치와는 상관이 없었다. 6. 쌀 배유전분분획의 헤미셀룰로오스성 다당을 구성하고 있는 단당류는 rhamnose, fucose, ribose, arabinose, xylose 등이었으며, 총 단당류 함량은 새추청벼가 가장 높았고, 팔공벼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팔공벼를 제외한 양질미에서는 식미치와 상관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응 표면 분석방법을 이용한 쌀 압출 성형물 제조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Extrusion Cooking Conditions of Rice Extrudat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상현;김창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7-143
    • /
    • 1994
  • To optimize extrusion cooking condition of single screw extuder for production of puffed rice extrudat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moisture content, barrel temperature and screw speed were determined from contour maps, showing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hardness, expansion ratio, water absorption index, water solubility Index,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independent variables. Optimum operational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puffed rice extrudate with suitable quality properties were moisture content 17%, barrel temperature 1$25^{\circ}C$ and screw speed 210 rpm, respectively.

  • PDF

압출성형 및 효소처리가 전곡립의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trusion and Enzyme Treatment on Characteristics of Whole Grains)

  • 신해헌;박보선;이선희;김영숙;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22
    • /
    • 2005
  • 전곡립(whole grains)의 압출성형 및 효소처리에 따른 가공학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압출공정 처리한 전곡립 시료의 이화학적 특성은 호화도, 소화도, 저향전분 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압출공정 처리하지 않은 생원료 및 볶음시료와 비교하였다. 압출공정은 모든 곡류의 호화도를 크게 증가시켰으며, 특히 보리의 경우에는 압출공정에 의해 원료시료 보다 약 7배정도 증가하였다. 소화도 역시 압출공정에 의해 원료시료나 볶음시료에 두드러지게 증가하여 보리의 경우 2.6배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압출공정에 의해 저항전분의 감소 등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전곡립을 압출공정과 식물세포벽 분해효소를 복합적으로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원료와 비교하여 ${\beta}-sitosterol$이 최대 13배까지 증가하였다. 압출공정 후 효소처리는 생리활성 물질의 유리효과 뿐만 아니라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의 증가 소화율의 증가 등 각종 이화학적 특성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압출공정과 효소처리를 복합적으로 적용하였을 때 전곡립의 가공학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이 뚜렷하게 향상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산업적인 유용성이 매우 높다.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옥수수 전분의 호화 및 겔 특성 (Gelatinization Behaviours and Gel Properties of Hydroxypropylated Corn Starches)

  • 육철;백운화;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7-324
    • /
    • 1991
  • 옥수수 전분을 propylene oxide와 반응시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옥수수 전분을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DSC, Amylograph 등을 이용하여 호화특성을 조사한 결과 치환기가 증가할수록 호화온도가 낮아져 치환도가 DS 0.068 이상에서는 호화개시온도가 $59^{\circ}C$로 감자 전분의 호화온도인 $62^{\circ}C$ 보다도 낮았으며 DS $0.120{\sim}0.147$에서는 $53^{\circ}C$까지 떨어졌다. 호화시킨 전분을 $4^{\circ}C$에 저장하면서 노화속도를 측정한 결과 DS 0.120 이상에서는 $4^{\circ}C$에서 7일간 방치하여도 거의 노화가 일어나지 않아 하이드록시프로필화에 의하여 크게 억제되었다. 또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시킨 옥수수 전분은 빛 투과도 증가 시작온도가 낮아졌으며 빛 투과도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옥수수 전분을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시켰을때 gel 형성시간은 늦어졌으며 gel 조직이 연해지고 겔 강도도 떨어졌다.

  • PDF

흑미 첨가량 및 수침상태에 따른 백설기의 물리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eksulgi Made with Black Color Rice)

  • 정현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70-375
    • /
    • 1999
  • 첨가 비율을 달리한 흑미 백설기를 각각 그대로 또는, 12시간 수침하여 제조하여 수분함량, 호화도, 색상, 기계적 texture 및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수분함량은 32-36% 정도로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호화도는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흑미 6-8% 첨가군인 C군과 D군의 호화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색상변화의 경우 L치는 쌀 100%인 대조군이 가장 높고, 흑미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낮아졌다. 또한 적색도를 나타내는 a치는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group에서 + 를 나타내어 적색이 보여졌으며. 흑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치는 대조군이 8.38로 가장 높고 나머지 모든 실험군에서 거의 변화가 없었다. Hardness(견고성)을 측정한 기계적 평가의 결과 Hardness는 대조군과 모든 시료의 경우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B$_1$$C_3$의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흑미 첨가의 경우 쌀 100% 첨가 대조군보다 뚜렷한 차이는 볼 수 얼었으나 대부분의 경우 흑미 첨가시 더 기호성이 높았다. 특히 흑미 10% 첨가한 E$_1$의 경우 색, 향기 moisture, texture, 삼킨 후 느낌 및 총괄평가에서 가장 선호됨을 알 수 있으며, 4% 첨가한 군이 그 다음 순위로 선호되어, 백설기 제조에서 흑미의 첨가량은 4-10%가 권장된다.

  • PDF

감자 껍질 , Guar gum 및 Polydextrose 첨가에 의한 백설기의 품질특성 변화 (Effect of Addition of Potato peel , Guar gum , Polydextrose on Quality of Backsulgies)

  • 최영선;김영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3-341
    • /
    • 1992
  • The physicochemical, rhe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ES', which was added with potato peel, guar gum or polydextrose, were investigated. The maximum acceptable addition ratio of dietary fiber to 'BACKSULGI' was 10%. And optimal addition ratio was 3% for all samples. The water binding capacity was affected by dietary fiber sources and incubation conditions (temperature and time). The Guar gum had me highest value of water binding capacity. The solubility was highly related with water binding capacity and me swelling power was increased with temperature increment.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ietary fiber sources. But me values of gelatinization of 'BACKSULGIES' added with dietary fib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ose of 'BACKSULGI' with no dietary fiber. Generally hardness and brittleness incresed along with storage time. But me hardness of 'BACKSULGIES' added with dietary fibers was significantly lower man those of 'BACKSULGI' with no dietary fiber. The retardation effect of dietary fibers for retrogradation of 'BACKSULGIES' was also proved by time constant determination of Avrami equation. Ser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me addition of dietary fibers did not reduce the organoreptic quality. Therefore potato peel 3%, guar gum 3%, polydextrose 3% were optimum addition ratio which could be accepted as conventional 'BACKSULGI'. As m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roved mat the additions of dietary fibers to 'BACKSULGI' had the retardation effect of retrogradation.

  • PDF

발효쌀겨의 첨가에 따른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 (Effect of Fermented Rice Bran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Bread Dough)

  • 박현실;한기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2-90
    • /
    • 2010
  • In this study,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s blended with 5% to 20% fermented rice bran (FRB) were investigated using farinographs, amylographs, extensographs, and SEM. In the farinograph analysis, the water absorption decreased and the replacement ratio of FRB increased over the time of development of the dough. The stability time of the dough was shortened, and the degree of softening decreased with added volume of FRB. The amylograph analysis showed that the temperature at the beginning of gelatinizatio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eplacement ratio of FRB, but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RB-added groups and control group. The extensograph analysis showed that when the replacement ratio of FRB was over 10%, the extension of the dough decreased while the resistance was increased. In the SEM analysis, the added dough with less than 10% FRB had similar characteristics in gluten matrix and gas bubbles to those of the control of wheat flour alone. It was concluded that an added FRB volume of below 10% is most suitable for bread m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