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lutition disord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치매환자의 삼킴장애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Intervention of Swallowing Disorder in Dementia Patient: A Systematic Review)

  • 박치수;함민주;홍덕기;유두한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1호
    • /
    • pp.21-33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삼킴장애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치매환자의 특성에 따른 중재접근법과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주요 검색 데이터베이스로 CINAHL, Cochrane CENTRAL, PsycINFO, PubMed, Science Direct를 사용하였으며 2010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수집하였다. 검색어는'Dementia', 'Alzheimer disease', 'Deglutition disorder', 'Swallowing disorder', 'Dysphagia'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5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결과 : 중등도-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편,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 포함되었다. 중재 유형은 교정적 중재가 1편, 보상적 중재가 3편, 포괄적 중재가 1편이었다. 중등도-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행동 및 심리관리를 포함한 보상적 중재가 사용되었다.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는 경관식이에 대한 교정적, 보상적 중재 및 다학제적 중재를 포함한 포괄적 중재가 사용되었다. 각각의 연구에서 사용한 모든 중재 방법은 삼킴능력과 관련된 결과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의 진행단계에 따라 중재의 목적과 중재 요소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매환자의 삼킴장애 중재는 치매환자의 진행단계를 고려하여 개인화된 중재를 시행했을 때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환자의 삼킴장애를 위한 효과적 중재 설계에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iagnosis and successful visual biofeedback therapy using 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in a young adult patient with psychogenic dysphagia: a case report

  • Youngmo Kim;Sang Hun Han;Yong Beom Shin;Jin A Yoon;Sang Hun Kim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91-95
    • /
    • 2023
  • Psychogenic dysphagia is a deglutition disorder characterized by a fear of swallowing, with no structural or functional causes. This report presents the case of a young male patient who had severe malnutrition due to psychogenic dysphagia and was provided visual biofeedback using 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FEES). A healthy 25-year-old man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a complaint of throat discomfort when swallowing that had started 6 months prior. As the symptoms worsened, he became fearful of food spreading to his lungs after swallowing and the development of respiratory difficulties. His food intake gradually decreased, resulting in a weight loss of 20 kg within 2 months. Evaluation of organic and other functional causes of dysphagia was performed, but no abnormalities were detected. The sensation of a lump in his throat, fear of swallowing, and anxiety were transformed into somatic symptom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psychogenic dysphagia. After visual biofeedback by a physician who performed FEES, the patient resumed eating normally and increased his food intake. If routine tests do not reveal structural or functional causes of dysphagia, assessment of a psychogenic swallowing disorder should be considered. FEES can help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sychogenic dysphagia.

Achalasia 의 수술요법 -13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Achalasia : A report of 13 cases)

  • 조대윤;양기민;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3권4호
    • /
    • pp.470-474
    • /
    • 1980
  • Achalasia is a neurogenic esophageal disorder, characterized by incomplete relaxation of the gastroesophageal sphincter in response to deglutition and absence of peristalsis from the body of the esophaugs. Because there is no known method by which esophageal peristalsis can be restored, therapy is directed toward the relief of dital esophageal obstruction. During the period of June 1965 to September 1980, 13 cases of achalasia were operat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Seoul Natonal University Hospital. 1. Among 13 cases, 5 were male and 8 were female. 2. Esophagomyotomy was performed in 12 cases, and 1 case was treated with transverse suture of lower esophagus after longitudinal incision. 3.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but 2 cases subsequently underwent esophagogastrostomy after esophagomyotomy. 4. One of 13 cases was combined with mongolism.

  • PDF

급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연하장애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ysphagia in patients hospitalized with acute stroke)

  • 장희경;윤숙경;길초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417-428
    • /
    • 2019
  • 본 연구는 급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연하장애 유병률과 그 관련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일상급종합병원에 급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입원 환자 131명(연령 범위 34-92세, 58.0% 남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급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유병률은 24.4%였으며, 대상자의 나이, 뇌졸중 중증도, 구강상태, 일상활동 의존도가 연하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뇌졸중 발병 직후부터 연하장애 조기 발견을 위한 적극적인 간호사정과 예방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