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ct indice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8초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면 축균열 건전성 평가를 위한 비파괴검사 크기 측정 평가 (Evaluation of Nondestructive Evaluation Size Measurement for Integrity Assessment of Axial Outside Diame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in Steam Generator Tubes)

  • 주경문;홍준희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1-67
    • /
    • 2015
  • 최근 국내 증기발생기 Alloy 600HTMA 전열관의 관 지지판 부위 외면 축균열 결함의 생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증기발생기가 설계수명 이전에 조기 교체되었으며 또는 교체 예정이다. 전열관 외면 축균열은 건전성 관리에 가장 위협이 되는 요소이므로 정밀한 건전성 평가가 요구된다. 와전류검사(ECT, eddy currunt testing)는 주기적으로 수행되어 지며 이 결과는 건전성 평가 입력 자료로 활용된다. ECT 검사시스템의 신뢰성은 검사기술과 평가자 기량에 의존하며, NDE 시스템 성능을 보여주는 지수는 열화탐지와 크기 측정 오차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평가자 성능이 반영된 크기 측정 오차와 그리고 최적의 균열 크기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험은 국내 각기 다른 5개 회사에서 10명의 평가자가 참여한 다자간 비교시험의 결과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 분석은 파괴검사 결과값과 비파괴검사로 측정된 값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Monitoring of white striping and wooden breast cases and impacts on quality of breast meat collected from commercial broilers (Gallus gallus)

  • Malila, Yuwares;U-chupaj, Juthawut;Srimarut, Yanee;Chaiwiwattrakul, Premsak;Uengwetwanit, Tanaporn;Arayamethakorn, Sopacha;Punyapornwithaya, Veerasak;Sansamur, Chalutwan;Kirschke, Catherine P.;Huang, Liping;Tepaamorndech, Surapun;Petracci, Massimiliano;Rungrassamee, Wanilada;Visessanguan, Wonno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1호
    • /
    • pp.1807-1817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white striping (WS) and wooden breast (WB) cases in breast meat collected from commercial broilers. Methods: A total of 183 breas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le Ross 308 broilers slaughtered at the age of 6 weeks (n = 100) and 7 weeks (n = 83). The breasts were subjected to meat defect inspection, meat quality determination and histology evaluation. Results: Of 183, 4 breasts from 6-week-old broilers were classified as non-defective while the others exhibited the WS lesion. Among the 6-week-old birds, the defective samples from the medium size birds (carcass weight ${\leq}2.5kg$) showed mild to moderate WS degree with no altered meat quality. Some of the breasts from the 6-week-old birds with carcass weight above 2.5 kg exhibited WB in accompanied with the WS condition. Besides of a reduction of protein content, increases in collagen matter and pH values in the defective samples (p<0.05), no other impaired quality indices were detected within this group. All 7-week-old broilers yielded carcasses weighing above 2.5 kg and showed abnormal characteristics with progressive severity. The breasts affected with severe WS and WB showed the greatest cook loss, hard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p<0.05). Development of WB induced significantly increased drip loss in the samples (p<0.05). Histology indicated necrotic events in the defective myofibers.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increasing percent breast weight by one unit enhanced the chance of WS and WB development with advanced severity by 50.9% and 61.0%, respectively. Delayed slaughter age from 6 to 7 week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obtaining increased WS severity by 56.3%. Conclusion: Cases of WS and WB defects in Southeast Asia have been revealed. Despite few cases of the severe WS and WB, such abnormal conditions significantly impaired technolog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quality of broiler breasts.

QPS 프로그램에서 Myocardial extract 적용에 따른 임상적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Clinical Usefulness on Application of Myocardial Extract in Quantitative Perfusion SPECT)

  • 윤종준;임영현;이무석;송현석;정지욱;박세윤;김재환;김정욱
    • 핵의학기술
    • /
    • 제15권2호
    • /
    • pp.88-93
    • /
    • 2011
  • 게이트 심근관류 SPECT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자동화된 정량화 소프트웨어(AutoQUANT)는 획득 자료 처리과정에 따라 측정치 오차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다른 조건의 변화 없이 QPS (Quantitative Perfusion SPECT) 프로그램에서 Myocardial extract 전후에 따른 정량적 지표를 구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2010년 6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에서 Tc-99m MIBI 게이트 심근관류 SPECT를 시행한 환자 중 51명(남:여=34:17, 평균나이 $66.45{\pm}9.92$)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근의 단축단면상을 이용하여 원형 관심영역은 배후영역을 제외한 심근영역에서 설정한 자료를 획득하였다. AutoQUANT를 이용한 QPS 프로그램에서 일과성허혈확장(Transient Ischemic Dilation, TID), 부하기 관류결손 범위율의 합(Extent of Stress Defect, ESD)과 부하기 관류점수 합(Summed Stress Score, SSS)을 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QPS 프로그램에서 Myocardial extract 적용 전과 적용 후 정량적 지표의 상관계수는 TID (r=0.98), ESD (r=0.99), SSS (r=0.99) 모두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95% 신뢰수준에서 TID (p=0.78), ESD (p=0.31), SSS (p=0.19)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육안분석에서는 판독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만한 영상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QPS 프로그램에서 Myocardial extract 적용 전과 적용 후 정량적 지표(TID, ESD, SSS)는 모두 좋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yocardial extract 영상처리기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심근관류 SPECT 영상의 질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동맥교약증 환아의 해부학적 형태, 동반심기형, 연령, 수술방법등이 수술결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natomy, Associated Anomalies, Age, and Surgical Methods on the Surgical Results of Aortic Coarctation)

  • 이정렬;김혜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63-372
    • /
    • 1997
  • 본 연구는 1986년 6월 3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 병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144례의 대동맥 교약증 환아를 대상으로, 술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환아의 평균 연령은 15.73+32.43(범 위 0.1-191.0, 중앙값=3.3)개월이 었고, 이중 11)례(78.5%)의 환아는 영아, 25례(17.4%)는 신생아였다. 환아를 대동맥궁 협 착 부위와 동반 심기형에 따라(제 1형:국소 협착, 제2형:대동맥 헙부 협착, 제3형 :대동맥 협부 및 횡대동맥궁 협착, h:심실중격결손증 동반, B:기타 복 잡 심기 형 동반) 9가지로 분류한 결과, 1, IA, IB, I, IIA, IIB, III, IIIA, IIIB형이 각각 25, 9, 6, 24, 35, 15, 4, 19, 7례 였다. 수술방법은 쇄골하동맥편 교약성형술(subclavian-flap coarctoplasty, SFC: 60례), 절단 및 문합술(resection and anastomo sis, R&A: 44례), 확장된 대동맥성형술(extended aortoplasty, Ex-Ao: 26 례), 덮개포편술(onlay patch, Onlay: 14례)이 사용되었다. 총수술 사망률은 16.0%(23/144)였고, 수술 사망률을 높이는 인자로 협착부위(I, II, III형) 동반 심기형(0, A, B), 환아의 연령, 수술방법, 단계수술 \ulcorner부 등이 분석되었는데 이중 횡대동맥궁협착을 동반하는 III형(I형 사망률=2.5%(1/40), II형=17.6% (13/74), III형=30%(9/30); p(0.01), B형(0형 사망률=3.8%(2/53), A형 =15.9%(10/63), B형 =39.3%(11/28); p(0.01) 등이 의미있는 위험 인자였다. 생존환아 121례는 술후 평균 29.1+28.8(범위 0-129.2)개월 외래 추 적되 었으며 이중 술후 협착을 보였던 경우는 18례로 14.9%의 헙착률은 보였다. 생존환자중 77례의 환자 (I형 20명. ll형 42명, 111형 15명)에서 술전, 술후 3개월 이내, 술후 6개월이후의 심에코도상의 대동맥 각 부위 크기에 관한 자료의 입수가 가능하였으며 이를토대로무명동맥 직근위부의 상행대동맥 직경에 대 한 대동맥협부 직경의 비율(대동맥협부지수)및 경동맥부위의 횡대동맥 직경비율(횡대동맥지수)을구하 여 형태 별로 술전, 수술 직후 6개월이상 경과후의 대동맥 크기 변화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제 I, II, III형 모두에서 술전에 비하여 술후 평균 대동맥협부지수의 의미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며(p<0.01),제 III형에서는 횡대동맥지수의 의미있는 증가도 관찰되었다(p<0.01). 재헙착으로 진단된 I, II형의 수술직후 대 동맥협부지수와 111형의 횡대동맥 지수는 비협착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작았는데 이는 아마도수술 당시 협 착 부위의 완전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원인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분석에서는 어린 연령(3개월 이하), 3개월이하에 시행한 쇄골하동맥편 교약성형술이 의미있는 재협착의 위험요소로 밝혀졌다. 결론 적으로 저자등은 본연구를 통하여 대동맥협부지수, 횡대동맥 지수 등이 개개 대동맥교약 환아의 해부학 적, 임상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라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아울러 교약의 해부학적 특성, 동반 심기 형, 연령, 수술방법 등이 수술사망 및 재협착에 영향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