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atted soy flour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1초

Characterization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Milk Cake Fermented by Bacillus sp.

  • Oh, Soo-Myung;Kim, Chan-Shick;Lee, Sam-P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704-709
    • /
    • 2006
  • The mucilage production and tyrosine content in soy milk cake (SMC) fermented by Bacillus firmus NA-1, Bacillus subtilis GT-D, and B. subtilis KU-A was improved by fortification with 10% defatted soybean flour. The fibrinolytic activity and consistency of the SMC were drastically increased by solid-state fermentation for 1 day. However, the consistency of the fermented SMC gradual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for 3 days. Furthermore, the tyrosine content of the freeze-dried powder of SMC fermented by three Bacillus sp. was 9 times higher than that of unfermented SMC. The soybean proteins, including the 7S and 11S subunits, were partially digested during alkaline fermentation, producing lower molecular-weight peptides. The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in SMC fermented by B. firmus NA-l and B. subtilis KU-A exhibited higher thermal stability than that of B. subtilis GT-D fermentation. The powder obtained from B. subtilis GT-D fermentation had an ${\alpha}$-amylase activity and lower consistency compared to those of B. firmus NA-1 and B. subtilis KU-A. In addition, this powder contained 6.3% moisture content, 27% crude protein content and 9 units of fibrinolytic activity and proteolytic activity.

압출성형기에 의한 전처리가 탈지대두분의 장유 제조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usion-Texturization on Defatted Soy Flour for Soy Sauce Fermentation)

  • 오경근;정헌웅;박지용;임재각;김재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
    • /
    • 1993
  • 압출처리시 일어나는 탈지대두분의 팽화율, 하적밀도, 수분흡수율 변화들을 지표로 하여 압출처리한 탈지대두분과 종래의 증자법에 의한 탈지대두로 발효, 숙성시킨 양조간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각의 최적 물리적 조건에서 압출처리한 탈지대두로 만든 고오지는 고오지 내부와 외부에서 균사의 발육이 잘 일어났으나 증자에 의한 탈지대두로 만든 고오지는 표면에서만 균사의 발육이 일어났다. 양조간장에 있어서 총질소는 대조구와 비교해 큰 차이는 없으나 포몰태 질소는 30% 정도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간장의 색도 또한 대조구보다 더 진한 색을 나타내었다. 양조간장의 아미노산 조성은 탈지대두분의 원료처리 방법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총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10{\sim}15%$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조구와 비교하여 특별한 이미나 이취가 없음을 관능검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대두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 탈지대두(脫脂大豆)로 제조된 유산균음료의 저장성 - (Studies on Production of Soy Yogurt - Keeping Quality of Yogurt Beverage Prepared from Defatted Soy Flour -)

  • 고영태;김영배;백정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63-168
    • /
    • 1984
  • 본 연구는 탈지대두유(脫脂大豆乳)로부터 대두유산균음료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대두유산균음료의 물리적인 저장성과 미생물학적인 저장성을 조사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두유산균음료에 향을 첨가함에 따라 풍미점수가 다소 향상되었으나, reference로 사용된 우유 유산균음료 보다는 풍미점수가 떨어졌다. 대두유산균음료의 커드는 0hr부터 24hr사이에 상당한 침전을 보였으며, 여기에 첨가된 CMC(0.4% 이상) 또는 PGA(0.1% 이상)에 의하여 커드의 침전이 억제되었다. 대두유산균음료를 $5^{\circ}C$에 저장한 경우 48일이 경과하여도 유산균수는 처음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산생성량은 실험기간 전체를 통하여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한편 $25^{\circ}C$의 경우, 18일까지 산의 생성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생균수는 18일까지는 처음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24일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5^{\circ}C$, $25^{\circ}C$ 두 경우 다 대두유산균음료에 fungi에 의한 오염이 나타났다.

  • PDF

대두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탈지대두유(脫脂大豆乳)가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oduction of Soy Yogurt -Effects of Defatted Soy Milk on the Growth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 이정숙;고영태;백정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1호
    • /
    • pp.7-13
    • /
    • 1984
  • 본 연구는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에서 만든 대두유에 여러 가지 당(糖), 발육촉진물질, amino acid, 유제품부산물을 가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배양시간에 따른 유산균의 생육도를 측정한 실험으로부터 대략 12시간까지가 대수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당(糖) 가운데 glucose와 fructose가 유산균에 의한 산생성에 현저한 효과를 보였으며, 그 적정농도는 각각 3% 정도였다. 첨가된 발육촉진물질 가운데 yeast extract가 유산균에 의한 산의 생성을 가장 촉진시켰으며 그 적정농도는 0.5% 정도였다. l-methionine의 첨가에 의하여 유산균에 의한 산생성이 감소하였다. 대두유에 첨가된 유청분말과 탈지분유는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촉진 효과가 저조하였다. 대두 단백질의 농도를 달리했을 때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Effects of Jet-Milled Defatted Soy Flour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Hamburger Patties

  • Cho, Hyun-Woo;Jung, Young-Min;Auh, Joong-Hyuck;Lee, Dong-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40-846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hamburger patties made with three different defatted soybean flour (DSF) preparations which differed in particle size. Coarse ($Dv_{50}=259.3{\pm}0.6{\mu}m$), fine ($Dv_{50}=91.5{\pm}0.5{\mu}m$), and superfine ($Dv_{50}=3.7{\pm}0.2{\mu}m$) DSF were prepared by conventional milling and sifting, followed by jet milling at 7 bars. Hamburger patties containing 5% of each DSF were prepared for a property analysis. The hamburger patties made with 5% superfine DSF showed the lowest cooking loss among the treatment groups (p<0.05). The patties with superfine DSF also retained the texture profile values of the control patties in terms of hardness, gummi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while the addition of coarse and fine DSF increased the hardness and chewiness significantly (p<0.05). The sensorial results of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indicate that the patties containing superfine DSF were softer and tenderer than the controls (p<0.05). Although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patties made with coarse and fine DSF was poor,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uperfine DSF patty was the same as that of the control pat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erfine DSF is an excellent food material that can supply dietary fiber, while maintain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exture of hamburger patty.

대두요구르트의 향미(香味)와 휘발성분(揮發成分) (Flavor and Volatile Compounds of Soy Yogurt)

  • 이정숙;김영배;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53
    • /
    • 1985
  • 본 연구는 전지대두분(全脂大豆粉),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 농축대두단백(SPC), 분리대두단백(SPI)으로 만든 대두유산균음료의 향미(香味)를 비교관찰하고, 유산균발효가 두유의 향미(香味)와 몇가지 휘발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두유산균음료는 reference로 사용된 우유유산균음료보다 향미(香味)가 떨어졌으며, 대두유산균음료 가운데는 SPI 유산균음료의 향미(香味)가 가장 우수했고 전지대두(全脂大豆) 유산균음료의 향미(香味)가 가장 저조했다. Hedonic scale과 2점기호실험(點嗜好實驗)의 결과를 보면 SPI 유산균음료의 향미(香味)가 SPI두유의 향미(香味)보다 훨씬 우수했다(P<0.01). 유산균발효에 의하여 SPC두유와 SPI두유에 함유된 n-hexanal은 감소하였고, diacetyl을 증가하였다.

  • PDF

Soyasaponins from Soybean Flour Medium for the Liquid Culture of Ganoderma applanatum

  • Lee, So-Young;Kim, Ju-Sun;Shim, Sang-Hee;Kang, Sam-S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0호
    • /
    • pp.3650-3654
    • /
    • 2011
  • Two new unusual soyasaponins named 6"-O-methyldehydrosoyasaponin I(7) and desglucosylsoyasaponin $A_1$ (10) along with eight known saponins, dehydrosoyasaponin IV (1), dehydrosoyasaponin III (= impatienoside A) (2), soyasaponin III (3), dehydrosoyasaponin II (= soyasaponin Bg) (4), soyasaponin II (5), dehydrosoyasaponin I (= soyasaponin Be) (6), soyasaponin I (8), and kudzusaponin $SA_3$ (9), were isolated as their methyl esters and identified from the liquid culture of G. applanatum.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analyses including 1D- and 2D-NMR as well as by comparison of their spectroscopic data with those of the reported in literatures. Although dehydrosoyasaponin IV was identified by LC-MS/MS method from soy protein isolat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isolation of this compound. Dehydrosoyasaponin III (2) and kudzusaponin $SA_3$ (9) were also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soybean. The presence of soyasaponins in Ganoderma species seems to be unusual feature. Thus, we presumed that compounds 1-10 might all be derived from the defatted soybean flour which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s a nitrogen source.

우유와 대두단백질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Soy Protein)

  • 김혜정;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00-706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대두단백질을 2% 첨가하여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만들고,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과 비교하여 대두단백질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커드상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HPLC를 이용하여 커드상 요구르트의 몇 가지 유기산을 분석하였다. 대두단백질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탈지분유를 첨가한 경우보다 촉진되었는데,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분의 촉진효과가 현저하였다. 접종된 4종의 젖산균 (Lactobacillus 3종, Leuconostoc 1종) 중에서는 Leuc. mesenteroides와 L. bulgaricus의 산생성도가 높았다.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에서는 우유나 2% 대두분을 첨가한 우유에 L. bulgaricus를 접종하여 24시간 발효하는 동안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생성되어 그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우유 중에 들어있는 citr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이용되어 그 양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된 주요 유기산은 lactic acid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표준시료에 비하여 대두단백질 첨가 시료의 관능성은 저조하였으며, 대두단백질 중에서는 농축대두단백이나 분리대두단백 첨가 시료가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분 첨가 시료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2주일간 $5^{\circ}C$ 냉장고에 저장하는 동안 산생성과 pH, 생균수에 거의 차이가 없어 저장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 및 제품개발(製品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 제 3 보 복합분(複合粉)을 이용(利用)한 제면(製麵) 및 제과시험(製菓試驗) -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 III. Noodle-making and Cookie-making Tests with Composite Flours -)

  • 김형수;안순복;이관영;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2
    • /
    • 1973
  •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으로 건면(乾麵)과 쿠키를 만들고 그들의 품질(品質)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원료분(原料粉)에 $10{\sim}20%$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혼합한 복합분(複合粉)만으로 제면(製麵)할때는 면대(麵帶)가 형성되지 않았으나 품질개량제로서 1.5% GMS + 2% methocel을 첨가한 경우 면대형성(麵帶形成)과 조리시험(調理試驗)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얻었다. 2) 원료분(原料粉)중 쌀보리가루의 제면적성(製麵適性)이 가장 우수했으며, 원료분(原料粉)에 밀가루를 25%, 50% 수준으로 혼합하면 면(麵)의 품질(品質)이 현저히 개선되었고 쌀보리 복합분(複合粉)의 경우는 식미(食味)에 있어서 밀가루면(麵)보다 양호하였다. 3) Cookie 제조시 GMS 와 CSL의 효과는 볼 수 없었고 대부분의 원료가 cookie 를 형성하였으나 쌀보리가루가 관능시험(官能試驗)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4) 복합분(複合粉)에 밀가루를 25%, 50% 첨가하여 cookie 를 만든 경우, 탈지(脫脂)쌀겨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표준품(標準品) 수준으로 그 품질(品質)이 향상되었다.

  • PDF

탈지대두와 밀가루 코오지를 이용한 산분해간장의 양조 (Brewing of Acid-hydrolyzed Soy Sauce with Defatted Soybeans and Wheat Flour Koji)

  • 선성균;한은미;이택수;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47-152
    • /
    • 1987
  • 탈진대두와 밀가루 코오지를 산분해간장에 첨가하여 담금한 각 시험구 간장(시험구 A : 탈지대두와 밀가루 배합량이 동일한 대량 담금구, 시험구 B : 배합량이 A구와 같은 소량 담금구, 시험구 C : 탈지대두 6, 밀가루 4의 비율로 담금한 소량 담금구)의 숙성 과정중 각종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질소와 아미노태 질소는 경시적으로 증가하였고, A구, B구, C구의 순으로 높았다. 환원당은 $20{\sim}40$일에 $12.13{\sim}15.76\;%$ 로 가장 높았고 120일에는 $10.75{\sim}12.40\;%$ 였으며 C구가 높았다. ethyl alcohol은 경시적으로 완만하게 증가되어 120일에 $0.45{\sim}1.23\;%$ 로 가장 높았고 B구와 C구가 높았다. 레블리린산은 담금 직후 A구에서 0.40% 였으나 100일에는 0.17% 로 저하되었고, B구와 C구는 당금 직후 $0.54{\sim}0.60\;%$ 였다. 젖산은 담금 직후보다 100일에 다소 증가되었으나 경시적으로 불규칙적인 변화를 보였고 A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encine, alanine, phenylalanine이 모든 시험구에서 높았으나 histidine, tyrosine, methionine은 낮았다.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담금 직후보다 90일에 시험구 모두 증가되었고, B구, C구, A구의 순으로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