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er antler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6초

보충사료 급여수준이 엘크 수사슴의 생산성 및 방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ry Feeding Levels on Productivity and Grazing Intensity in Grazing Elk stags(Cervus canadensis))

  • 이진욱;이상훈;이성수;전다연;김성우;윤영식;김상우;박형수;김관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1-67
    • /
    • 2019
  • 본 연구는 엘크 수사슴의 방목 시 보충사료 급여수준에 따른 생산성 변화와 적정 방목강도 구명을 통하여 초지활용성을 향상시키고 사슴 방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가축은 평균체중 195kg의 2년생 엘크(Cervus canadensis) 수사슴 15두를 공시하였으며, 보충사료 급여수준에 따라 3개의 처리구(체중의 1.0%(T1), 체중의 1.5%(T2), 체중의 2.0%(T3))에 완전임의배치를 하였다. 실험기간동안 건물섭취량과 일당증체량은 보충사료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월별 건물섭취량과 증체량은 봄부터 여름까지 증가하다 가을로 들어서면서 감소하는 일반적인 사슴의 섭식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뿔 성장기 보충사료 급여수준이 낮을 경우 녹용성장기에 성장지연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용생산성의 경우 영양수준과의 연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목초지의 사초생산성은 5월에 가장 높았고 8월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야초를 활용한 산지방목에 비해서 조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엘크 수사슴의 월별 적정 방목강도는 사초생산성이 높은 5~6월에 보충사료 급여수준에 따라 38~59 두/ha로 높게 나타났고, 7월 이후에는 13~32 두/ha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보충사료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사초섭취량이 감소하여 방목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엘크 수사슴의 방목 시 녹용성장기 성장지연을 예방하고 방목 시 안정적인 증체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충사료를 체중의 1.5%이상 급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초지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초 생산성을 고려하여 적정 방목강도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발열 상태에서 투여된 녹용(鹿茸)과 소아보혈탕(小兒補血湯) 가(加) 녹용(鹿茸)이 발열 양상의 변화 및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ervi cornu parvum and Soahbohyul - tang combined with Cervi cornu parvum on LPS-induced fever pattern differences in rabbits, and learning and memory in rats)

  • 최혁용;이진용;김덕곤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38
    • /
    • 2000
  • It has been widely said in Korea that early administrations of Cervi cornu parvum (deer antler) to febrile infants affect brain functions.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states that the head is easily affected by fever and only an excess of heat causes headaches.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lso states that Cervi cornu parvum cannot be used in febrile conditions.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different febrile response to LPS, experiments using intravenous injection of LPS have been carried out on Cervi comu parvum(CCP) and Soahbohyul - tang combined with Cervi comu parvum(SB-CCP) administered rabbits. Experiments were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rly administration of CCP on learning and memory in 3 week old rats with LPS fever. These were evaluated by using the Morris water maze and the radial arm maze. Changes in body weight were also observed during this period.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In the experiments with febrile rabbits, the CCP and SB-CCP administered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of fever (p<0.05). 2. In the experiments with febrile rabbits, CCP and SB-CCP administered rabbits resulted in the tendency of lower body temperatures and shorter fever periods than the control group. 3.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mean body weight and fever patterns among the 4 groups in the experiments on young rats with LPS fever. 4.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mean response latencies among the rats in Group I (DDW administered), GroupIII (CCP administered), and groupIV (SB-CCP administered) in the Morris water maze. However, Group Ⅱ (the scopolamine administered group) showed delayed latencies on the second day of the first session (p<0.05), and the second and third day of the second session (p< 0.05). 5.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mean response latencies among the rats in Group I, III and Ⅳ in the radial arm maze, but Group Ⅱ showed delayed latencies on the first and third day of the first session (p<0.05). 6. There was no influence from the administration of CCP and SB-CCP on the general behavior of the rats in Irwin´s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rvi cornu parvum and Soahbohyul - tang combined with Cervi comu parvum have anti-pyretic actions on LPS fever.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se drugs have no influence on learning and memory in young rats with LPS fever in the Morris water maze and the radial arm maze.

  • PDF

태음인 처방의 본초 조합 용례 분석 - 중요 고문헌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prescription for persons of Taiyin constitution (太陰人 Tae-eum) in the herbal formulas and cases found in classic texts)

  • 김성원;이병욱;김기욱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1-41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compares prescriptions in the 1901 edition of the Donguisusebowon (東醫壽世保元) and the 1901 edition of 24 Revised Tae-eum constitution prescriptions (新定太陰人病應用要藥二十四方) (1901PCDT) with medical herbs found in classical texts. This study also examines whether to include patterns which compose medical herbs for the person of Tae-eum constitution (太陰人). Method : The prescriptions for Tae-eum-in in the Shinchukbon and the ingredients of medical herbs of the prescriptions of the Complete Works of Zhang Jingyue (景岳全書), Secret Works of Universal Benefit (廣濟秘笈),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東醫寶鑑), Comprised Edition for Formulas (方藥合編), Protecting Essence for Longevity (壽世保元), Introduction to Medicine (醫學入門), New Book for Saving People (濟衆新編 ENGLISH), and Compendium of Local Medicinals and Formulas (鄕藥集成方) were input into a database. The prescriptions were examined and combinations of medical herbs used to treat the person of Tae-eum constitution were noted. Result : Among the prescriptions for the person of Tae-eum constitution, similar examples of the 17 prescriptions of Kudzu Decoction to Relieve the Muscles (葛根解肌湯), Regulate the Stomach and Coordinate the Purity Decoction (調胃升淸湯), Clear the Heart and Lotus Pip Decoction (淸心蓮子湯), Decoction for Stabilizing Asthma with Ephedra (麻黃定喘湯), Profuse Heat and Sparse Cold Decoction (熱多寒少湯), Decoction for Coordinating Qi with Kudzu (葛根承氣湯), Major Decoction for Coordinating Qi with Kudzu (葛根大承氣湯), Minor Decoction for Coordinating Qi with Kudzu (葛根小承氣湯), Decoction for Dispersing the Exterior with Ephedra (麻黃發表湯), Boost the Lung Essence Decoction (補肺元湯), Major Supplementing Decoction with Deer Antler Velvet (鹿茸大補湯), Boosting Black Essence Pill (拱辰黑元丹), Honeylocust Fruit and Rhubarb Decoction (皂角大黃湯), Kudza and Duckweed Decoction (葛根浮萍湯), Sweet Flag and Polygala Powder (石菖蒲遠志散), Liriopis and Polygala Decoction Powder (麥門冬遠志散), and Cattle Gallstone Formula to Clear the Heart (牛黃淸心元) were found in important ancient literature and Dried Chestnut and Holotrichia Decoction (乾栗蠐螬湯) and Dried Chestnut and Tree of Heaven Root Bark Decoction (乾栗樗根皮湯) are the combination originally set by Lee Jema. Conclusion : Because 70.8% of the prescriptions in 1901PCDT could be found in literature which were pervasive in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period of Ming and Qing), it corresponds with Lee Jema's view that medical men in the Song, Yuan, and Ming Dynasties disclosed half of the prescriptions for Tae-eum person by studying these texts more.

조선시대 녹각성과 수중목책의 조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and Use of Nokgakseong and Underwater Wooden Fence)

  • 심순희;김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4호
    • /
    • pp.230-246
    • /
    • 2023
  •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방어시설로 추정되고 있는 목책(木柵)은 조선시대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까지 군사적인 방어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성(城)이나 병영(兵營) 외부에 설치되는 성책(城柵), 영책(營柵)의 개념으로 정립되면서 방어를 위한 필수시설로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관방시설로 이용되었던 목책을 연구한 결과로, 녹각성(鹿角城)과 수중목책(水中木柵)의 용도와 기능 그리고 설치 방법 그리고 목책의 소재 등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말선초 외적의 침략이 빈번해짐에 따라 목책은 주요 성외 방어시설(防禦施設)로써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목책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나 관방정책, 입지 환경에 따라 목책성, 녹각성 그리고 수중목책 등 다양한 유형으로 변용(變容)되어 설치되었다. 둘째, 목책은 요충지(要衝地)의 산성(山城)이나 영(營), 진(鎭), 보(堡), 성(城) 등 군사적 목적의 관방시설(關防施設)에 설치되었으며, 유사시 방어의 시급성에 따라 농번기(農繁期)를 피해 인력의 동원이 수월한 농한기(農閑期)에 맞춰 설치되었다. 문헌 기록을 통해 확인되는 조선시대 목책의 규모는 포백척(布帛尺)으로 환산한 결과 그 둘레가 4,428척(2,066m)부터 55척(25m)까지 매우 다양한 규모였다. 또한, 목책의 재료는 소나무와 참나무류가 주로 사용되었다. 셋째, 녹각성은 일반적인 목책보다 공격성을 겸비한 효율적인 전투 지원시설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녹각성기록은 세종대에 20회로 가장 많은 기록이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4군 6진 지역인 평안·함길도(12) 등 변방(邊防) 험지(險地)에 주로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5세기 초반 조정에서 남해안 연해지역(沿海地域)의 해상 방어 전략을 수립하게 되면서부터 1510년 삼포왜란(三浦倭亂) 이후 본격적으로 읍성(邑城)을 비롯한 주요 치소(治所)나 진, 보 등 여러 관방시설 주변에 왜적의 병선(兵船)을 저지하기 위한 방어시설로서 수중목책의 설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다섯째, 삼포왜란을 전후한 15세기부터 17세기 사이 남해안과 강화도에 수중목책이 설치되었다. 특히 15세기에 제포와 같은 경남 해안 요해처(要害處)에 수중목책이 집중적으로 설치되었다. 수중목책의 재료는 소나무와 참나무류가 주종을 이루지만 이 밖에도 합다리나무, 서어나무류, 칠덩굴도 목책의 소재로 활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