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ep-frying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9초

부산지역 중학생의 수산물에 대한 인식 및 학교 급식에서의 수산물 이용정도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eafood and Its Use in Foodservice in Busan)

  • 류은순;이혜경;신은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9-19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eafood as well as their eating experiences and favorite cooking methods for seafood. It also examined the frequency and use of seafood on school lunch menu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39 students in 5 middle schools in the Busan area. On a scale of 5.00, the average scores for perceptions toward seafood were as follows: 3.67 for health & nutrition, 3.53 for taste, 2.53 for smell, 2.77 for convenience. The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_(p<0.05) higher perception scores for health & nutrition, taste, and smell than the female students. Among 38 types of seafoods, the highest percentages for eating experiences included seaweed_(99.2%), anchovies_(99.1%), fried fish paste_(98.6%), shrimp_(98.4%), crab_(98.2%), squid_(97.9%), sea mustard_(97.8%), mackerel_(97.7%), dried squid_(97.3%), and hair tail_(96.9%). However, the majority of students had eaten a limited amount of seafood. The degree of seafood intake at home was significantly_(p<0.01) higher than at school. The students' favorite cooking methods for seafood were in the order of grilling, stir-frying, steaming, deep-fat frying, and soup. However, the middle school lunch programs primarily served as soup, seasoning, stir-fried, braised, deep-fat fried, and grilled, respectively. The main reasons for leaving seafood on a plate were inconvenience due to the fishbones_(62.7%), tasteless_(45.4%), and disliking the smell_(35.7%). Improvements that students wanted for seafood on school lunch menus included removal of fishbone for convenience_(67.0%), taste_(52.0), and increased variety of seafood types_(38.2%).

인천지역 시판 튀김음식의 산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ncidity of Commercial Deep Frying Foods in Incheon)

  • 우경자;홍성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7-154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ancidity of deep frying foods (cuttlefish and swetpotato) in Incheon city.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snack corners in market, and at 10, 14 and 18 o'clock.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of the fried products were determin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also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nge of Acid Value was 0.73~1.91 on cuttlefish and 0.33~1.03 on sweetpotat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amples by times and places. 2. The range of Peroxide Value was 3.26~8.23 on cuttlefish and 3.45~11.63 on sweetptat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amples by times and places. 3. the range of TBA Value was 50.03~132.27 on cuttlefish and 30.63~112.83 on sweetpotato. The TBA Value of the products in department store at 18 o'clock more less than mat at 10 o'clock. 4. The Acid Value and TBA Value of sweetpotato was more less than those of cuttlefish. 5. In sensory evaluation, m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imes but significant difference by places on all items. 1) In greasy taste, the first one among cuttlefish products was mat of department store and last one was market product which was much more greasy taste. Among sweetpotato products, the products of department store and near-college were more less greasy man market product. 2) In flavor and overall quality, the product of department store was better than near-college and market products on all samples, 3) In color, the products of department store and near-college were more light man market products on all samples. 4)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color and flavor, and overall quality flavor. The flavor and color of products have the effect on the overall quality of products.

  • PDF

A Comparison of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nd the Retention Rate by Chicken Part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 Kim, Honggyun;Do, Hyun Wook;Chung, Hea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26-634
    • /
    • 2017
  •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nutrient contents during the chicken cooking process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health nutrition policy. Samples were produced using 3 chicken parts (wing, breast, and leg) and 7 cooking methods (boiling, pan-cooking, pan-frying, deep-frying, steaming, roasting, and microwaving), and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principal components, and retention rates were analyzed. Weight loss was observed in all chicken parts with all cooking methods. The protein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of the chicken sampl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part and the cooking method (p<0.01). The protein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g/100 g) of raw and cooked chicken parts showed ranges of 16.81-32.36 and 0.44-2.45, respectivel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cooking methods and chicken parts produced similar trends for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The retention rates of the chicken parts varied with the cooking methods, yielding a minimum value of 83% for isoleucine in a roasted wing, 91% for protein in a steamed breast, and 77% for isoleucine and lysine in a roasted leg. Therefore, the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of the roasted breas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ooked chicken parts.

학교 급식 식단 중 잠재적으로 위험한 식품의 활용도 분석 (Analysis of Usage Frequency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in School Foodservice Menus)

  • 이혜연;부고운;배현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60-369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medies to improve sanitary quality of school meals. To analyze the usage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menus from 180 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were collected through school website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ver.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nalysis of the foodservice production process revealed that the following were employed: heating process (70.5%), non-heating process (16.3%), and after-heating process (13.2%). In addition, the cooking methods used for side dishes were: stir-frying (22.1%), saengchae (21.3%), sukchae (15.2%), jorim (12.4%), deep-frying (10.2%), and grilling (9.5%). Overall, 64 menu items known to pose potential microbiological hazards were offered a total of 2,671 times. The usage frequency was high for bibimbap, pork-bulgogi, cucumber-saenchae, seasoned bean sprouts namul, seasoned spinach-namul, and korean cabbage-geotjeori.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anitary quality of school meals, menus or foods that contain microbiological hazards should prepared very carefully with respect to time and temperature management during food production. Also,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must possess proper food safety knowledge and techniques for applying the HACCP system to prevent foodborne illness.

고구마의 저장(貯藏) 및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V. 품종(品種)에 따른 저장성(貯藏性), 수지함량(樹脂含量) 및 고구마칩의 가공조건(加工條件)- (Studies on the Storage and Utilization of Sweet Potatoes -IV. Storing Capacity, Resin Content and Processing Conditions of Sweetpotato Chips of Different Varieties-)

  • 김호식;이춘영;김재욱;이서래;이계호;전재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23-130
    • /
    • 1969
  • 고구마의 장려품종(奬勵品種)인 충승 100호, 수원(水原) 118호(號), 수원(水原) 147호(號), 신미(千美), 신미(新美)의 오품종(五品種)에 대하여 저장성(貯藏性), 가공적성(加工適性) 및 새로운 가공식품(加工食品)으로서 고구마칩의 제조조건(製造條件)에 관한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공시품종(供試品種) 중에서 냉해(冷害) 및 연부병(軟腐病)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을 보면, 천미(千美), 수원(水原) 147호(號)가 가장 컸고 기타 3품종(品種)은 비교적 적었다. 2) 고구마중의 수지함량(樹脂含量)과 polyphenol 함량(含量)은 품종(品種)에 따라 많은 차이(差異)가 있었다. 3) 고구마의 품종(品種)에 따라 색상(色相)이 다른 고구마칩을 제조(製造)할 수 있었고 튀김용 기름으로는 채종유(採種油)가 최적(最適)임 을 알았다. 4) 고구마칩 제조방법(製造方法)으로는 두께 $1{\sim}2mm$의 박편(薄片)을 $40^{\circ}C$의 0.25% 산성아황산(酸性亞黃酸) 소다 수용액에 $30{\circ}40$분 침지(浸漬)한 후 $150{\sim}160^{\circ}C$의 유용(油溶)에서 $2.5{\sim}3.5$분간(分間) deep frying 하는 것이 선명(鮮明)한 색과 적당한 texture의 고구마칩을 얻는데 최적조건(最適條件)임을 확인(確認)하였다. 5) 고구마칩의 포장재료(包裝材料)로서는 polyethylene-cellophane film 이 방습도(防濕度) 및 파열강도(破裂强度)에 있어서 가장 우수(優秀)함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취청오이, 백다다기오이, 노각의 조리방법에 따른 영양 성분 및 잔존율 연구 (Comparison of Nutrient Content and Retention Rate among Chuichung Cucumber, White Dadagi Cucumber, and Yellowish Overripe Cucumber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 김홍균;정혜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350-1357
    • /
    • 2017
  • 본 연구는 오이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따라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오이는 취청오이, 백다다기오이, 노각 3종류를 생재료와 삶기, 찌기, 굽기, 로스팅, 볶기, 튀기기, 전자레인지 7가지 조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성분과 무기성분의 잔존율과 각각의 함량에 대한 종류 및 조리방법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오이는 모두 조리과정에서 중량이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일반성분과 무기질은 종류와 조리방법의 영향을 모두 받았지만 단백질은 영향을 받지 않았고, 철 함량은 조리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구리 함량은 종류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 중 단백질, 지방, 회분은 튀기기 했을 때 함량이 높았고 수분은 원재료, 삶기, 찌기를 했을 때 높았다. 무기질은 로스팅과 전자레인지 조리를 한취청오이의 함량이 높았고, 백다다기오이와 노각은 튀기기를 했을 때 전반적인 함량이 높았다. 단백질, 지방, 수분, 회분의 잔존율은 각각 30~100%, 10~100%, 35~90%, 30~100% 범위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로스팅, 전자레인지, 삶기를 한 취청오이가 높은 잔존율을 보였고, 백다다기오이와 노각은 튀기기를 했을 때 높은 잔존율을 보였다. 취청오이는 찌기를 했을 때, 백다다기오이와 노각은 삶기와 찌기를 했을 때 잔존율이 낮았으며, 특히 노각의 경우 20~45%로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오이에 대한 조리 전후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다양한 오이 종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항산화제 또는 팜유로 보강된 미강유를 이용한 라면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icebran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 강동호;박혜경;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09-418
    • /
    • 1989
  • 본 실험에서는 라면제조시 미강유를 튀김유로 사용했을 때, 그 산화 안정성에 대한 ${\alpha}-tocopherol$, BHA, TBHQ, ascorbyl palmitate+구연산의 첨가효과와 미강유에 팜유를 가각 30, 50, 70%(w/w) 혼합한 혼합유의 경우 그 혼합효과 등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했다. 이상의 항산화제들은 미강유에 0.02%의 수준으로 첨가했으며, 혼합유의 경우에는 전술한대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했다. 이상의 기름으로 튀긴 시제라면들을 각각 30분식을 무색, 투명의 polypropylene 봉지에 넣어 $35.0{\pm}0.5^{\circ}C$의 항온기내에서 90일간 저장했다. 일정기간마다 각 시료구와 실험대조구에서 라면시료를 채취한 후 그 속의 유지를 추출하여, 추출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요오드가, 유전항수, 지방산조성 등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상의 측정치들의 변과를 토대로 추출유지의 산화 안정성과 시제라면의 저장 안정성을 추정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실험대조구와 각 항산화제 첨가구에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유전항수, 지방산 조성의 변화 등에서 판단할 때 ${\alpha}-tocopherol$은 항산화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한편 BHA는 약간의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서, ascorbyl palmitate와 구연산을 병용한 경우와 TBHQ의 경우에는 상당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특히, TBHQ를 0.02% 첨가한 미강유를 사용했을 경우의 그 산화 안정성은 팜유를 사용했을 경우와 거의 같았다. 2. 혼합유 시료구들의 경우, 튀김에 사용한 혼합유 중의 팜유의 비율이 커질수록 그 산화 안정성은 증가했다. 즉, 팜유가 30% 혼합된 혼합유로 만든 시제라면의 추출유지의 산화 안정성은 미강유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서 현저히 증가했다. 그리고 팜유가 70% 함유된 혼합유를 사용했을 경우 그 산화 안정성은 함유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의 안정성과 거의 같았다.

  • PDF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튀김식품의 원료별 이용실태 및 관리공정 (Study on the Usage Status and the Management Process of Ingredients in Fried Foods Provided in School Food Services)

  • 김은미;이해창;김선아;이민아;김재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61-266
    • /
    • 2009
  • 조사대상교(n=141)는 모두 직영급식교로 조리 관리형태는 단독조리 134개교, 공동조리 5개교, 공동관리 2개교였으며, 급식 장소는 교실배식 86개교, 식당배식 47개교, 교실배식과 식당배식의 혼합형태가 8개교였다. 급식제공형태는 자율배식 12개교, 정량배식 99개교, 자율과 정량배식의 혼합형태가 20개교였으며 급식인원수는 $1,001{\sim}1,500$인이 46.8%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튀김식품에 대한 기호도는 매우 높았고 튀김식품 이용의 가장 큰 장점은 '급식만족도 향상'> '칼로리 급원'> '조리공정의 용이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튀김식품의 제공빈도는 '2회/1주'> '3회/1주'> '1회/1주'의 순으로, 튀김식품의 제공빈도 결정시 가장 고려하는 요인은 '튀김식품에 대한 기호도 편중'과 '지나친 지방섭취'가 가장 높았다. 튀김음식 선정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기호도'와 '칼로리와 영양적 가치'였으며 튀김공정에서 가장 주의를 요하는 단계는 '튀김조리 후 보관'이 가장 높았으며 사유는 '적정온도 및 품질 유지 위한 용기 부족'과 '시간소요'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의 튀김식품에 대한 원료별 선호도 및 제공빈도는 '닭고기'와 '돼지고기'가 매우 높았으며,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튀김식품에 대한 선호도와 제공빈도를 순위법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원료별 선호도 및 제공빈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급식에서 주로 제공되는 튀김식품의 조리공정별 소요시간에서 각 식품별 총소요시간은 약 $237{\pm}99$${\sim}\;291{\pm}141$분으로 총소요시간은 원료와 상관없이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정별 비교 분석 결과, 야채류는 육류에 비해 해동시간과 튀김 소요시간이 짧으나 튀김 전 전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 번거로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튀김식품별로 중요 관리 공정은 원료가 육류나 어패류인 경우 튀김공정이, 원료가 야채류인 경우 튀김 후 보관이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조리공정으로 분석되었다.

Bacillus sp. 발효를 이용한 감자 칩의 아크릴아마이드 저감화 (Reduction of Acrylamide Formation in Potato Chips Fermented by Bacillus sp.)

  • 이중재;오명근;장윤혁;이영승;진용익;장동칠;김성환;정윤화;김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60-46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p.를 이용하여 감자슬라이스를 발효시킨 후 성분을 분석하고, 감자 칩으로 가공하여 색도와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을 알아보았다. B. licheniformis, B. methylotrophicus, B. subtilis 각각을 $7.5{\times}10^7{\sim}2.7{\times}10^8CFU/mL$ 접종하여 6시간 동안 발효한 결과 균수의 증가는 보이지 않는 유도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총당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환원당 함량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감자 칩의 색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실험구의 L 값이 증가하였으며, a 값과 b 값은 감소하여 감자 칩으로 적합한 색도를 나타내었다. 발효 감자 칩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평균 약 94% 감소하였다.

케이크 도넛의 흡유저감에 대한 두부 페이스트와 비전분성 탄수화물 고분자의 영향 (Impact of Tofu Paste and Non-starch Polysaccharides on Oil Uptake Reduction in Cake Doughnuts)

  • 정길영;이현정;고은솔;김현석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1호
    • /
    • pp.72-78
    • /
    • 2017
  • 전량 폐기되는 파지두부로부터 제조된 두부 페이스트와 14종의 NSP들을 혼합하여 도넛의 흡유저감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두부 페이스트만을 첨가한 도넛(두부도넛)의 흡유저감율은 10.8%이었으나, 두부 페이스트와 NSP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도넛(NSP-두부도넛)의 흡유저감율은 두부도넛에 비해 향상되었다. 두부 페이스트와 함께 첨가된 NSP들의 흡유저감율에 대한 효과는 NaA가 41.2%로 가장 높았으며, HMP>XAT>CN10T = LMP = ALMP ${\lambda}C$>GG>LBG>${\iota}C$>${\kappa}C$>CN15U>GLG>CN40H 순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NSP 만을 흡유저감 소재로 첨가하였을 때보다 두부 페이스트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도넛의 흡유저감에 더욱 효과적이었고, 그 효과는 음이온성 검류들에서 뚜렷하였다. 유탕처리 시 두부 페이스트의 갈변으로 인해 두부 페이스트 및 두부 페이스트-NSP를 첨가한 도넛들은 대조군에 비해 명도가 감소하고 황색도가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는 미미하였다. 두부 페이스트와 함께 NaA, ${\kappa}C$, LBG를 첨가하여 제조된 도넛의 비용적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도넛의 흡유저감율과 비용적을 고려하면 두부 페이스트와 NaA를 흡유저감 소재로 함께 사용하는 것이 흡유저감 도넛을 제조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NaA 보다는 흡유저감율이 적지만 ${\kappa}C$과 LBG을 두부 페이스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차선책으로서 의미가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