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ep acting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5초

A Study on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f Sales and Service Workers

  • Bok, Mi-Jung;Hong, Eun-Si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47-154
    • /
    • 2021
  • 본 연구는 판매서비스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판매서비스직 종사자들은 감정노동의 표면행동보다 내면행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타주의는 근무경력에 따라, 양심행동은 성별에 따라, 직장-가정 갈등은 연령, 결혼여부, 1일 평균 고객 응대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의 표면행동이 높을수록 이타주의는 증가하였으며, 내면행동이 높을수록 직무소진과 직장-가정 갈등은 감소하였고, 이타주의와 양심행동은 증가하였다. 넷째,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감정노동의 내면행동이었다.

직무관련 정서상태가 직무열의 및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노동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Job-related Affective States and Job Attitudes: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 황성재;백윤정;김보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30-494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종업원들의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서 직무관련 정서상태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둘째, 감정노동의 결과요인으로서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부정적 직무태도 뿐만 아니라 긍정적 직무태도에 대한 감정노동의 효과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종업원들이 과업환경에서 경험하는 직무관련 정서와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감정노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15개 서비스 기업에 종사하는 150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분석 결과, 직무관련 긍정 정서상태는 종업원으로 하여금 내면행동을, 직무관련 부정 정서상태는 표면행동을 유발함이 검증되었다. 또한 내면행동은 긍정적인 직무태도인 직무헌신과 직무활력을 증진시켰으며, 표면행동은 냉소주의와 소진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내면행동은 직무관련 긍정 정서상태와 긍정적인 직무태도(직무헌신, 직무활력) 간의 관계를, 표면행동은 직무관련 부정 정서상태와 부정적인 직무태도(냉소주의, 소진) 간의 관계를 각각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종업원들의 감정노동전략이 인지적 혹은 반응적 메커니즘을 수반하여 직무관련 정서상태와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서비스 직무를 수행하는 종업원들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지 않는 직무환경을 유지하는 수동적 관리보다도 긍정적 정서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과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데이터 측정이나 측정 소스의 다양화 등의 시도가 필요하다.

외식업체 종사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Food-Industry Workers' Emotional Labor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Burnout: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김경욱;박영희;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58-172
    • /
    • 2016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외식업체(뷔페레스토랑, 패밀리레스토랑)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 278명에 대하여 빈도분석, 요인 및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및 가설검정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행동은 직무소진에 정(+)의 영향관계, 내면행동은 직무소진에 부(-)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고,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는 내면행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산 지역 외식업체 종사원들이 근무 중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중 내면행위는 직무소진에 부(-)의 영향관계가 있으므로 내면행동의 증가는 것이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고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임을 입증한 결과이다. 따라서 외식업체 경영주 들은 종사원들에게 교육을 실시하거나 복지를 향상시켜서 종사원들의 감정노동에서 내면행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판매원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과부하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alesperson's Self Efficacy and Work Overload on Emotional Labor an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 김현숙;전대근;추호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150-1160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i) the effect of salesperson's self efficacy and work overload on emotional labor and ii)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A survey questionnaire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on salespersons working in the fashion retail stores of department stores. The measurement scales are composed of emotional labor, self efficacy, work overload and emotion. A total of 112 responses are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AMOS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elf efficacy has direct effect on both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without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Self 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deep acting. Secondly, work overload has a negative effect on emotion. Job emotion has positive effect on deep acting and it has a negative effect on surface acting. Thirdly, emotion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work overload and emotional labor. Finally, implications for personal management and job design in the fashion retail organizations are suggested.

감정노동 종사자의 건강 모형 (Development of a Model for Emotional Labor Worker's Health)

  • 이복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8-88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up model of the emotional labor worker's health.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230 emotional labor workers from 2 department stores, 2 insurance companies, and 3 hotel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areas, by the health managers and team leader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factor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by SPSS window 10 version and AMOS 4.01. Results: The hypothetical model showed a goodness-of-fit to the empirical data(GFI=0.90, RMR=0.04, NFI= 0.79, PNFI=0.64). Eight out of fifteen paths of the model were accepted, while the other seven paths rejected. : From 'surface acting' to 'health', from 'social support' to 'surface acting', from 'social support' to 'health', from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to 'surface acting', from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to 'deep acting', from 'personal factor' to 'social support', from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to 'social support', from 'routine stress' to 'social support'. In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surface acting and social support were dominating factors to the health of emotional labor workers. Conclusion: In order to manage the health of emotional labor workers,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 strategy to reduce their surface acting.

  • PDF

보육교사의 정서표현규칙과 정서노동 수행전략에 관한 연구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Strategy of Childcare Teachers)

  • 이연준;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9-37
    • /
    • 2015
  • 이 논문은 보육교사의 직무에서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과 정서노동 수행전략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정서노동의 내면행동, 표면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동은 정서표현규칙의 교육, 몰입, 공정성, 명확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표면행동, 내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표현규칙에 대한 몰입이 내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을 지원하고 교사의 정서관리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방향을 제안하였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 고정미;이애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47-65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57 nurses working at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asures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findings of the multiple regression were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Second, when surface acting and emotional dissonance were entered into the regression model at the same time, surface acting showed an in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however, emotional dissonanc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Finally, emotional dissonance had a mediating effect only between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not between deep acting and burnout. Conclusion: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s a way to reduce burnout, nursing administrators shoul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es to perform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instead of surface acting at the moment of truth.

백화점 판매원의 정서성과 성과압력에 따른 감정노동 연구 (The Effect of a Salesperson's Affectivity and the Performance Stressor on Emotional Labor at the Department Stores)

  • 추호정;김현숙;전대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11-423
    • /
    • 2010
  • Retail stores with a primary competitive advantage in satisfying customers with high quality differentiated services depend heavily on a sales force to produce and deliver services in a consistent manner. Salespersons in a high service retail context are required to act to express certain types of emotion in compliance with the emotional rules of the organization that is conceptualized as "emotional labor"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adopts the dyadic model of emotional labor originally proposed by Hochschild. A survey method is implemented to collect data to test the hypotheses among the variables such a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performance stressor, emotional labo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ne hundred and twelve responses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ith SPSS12.0 and Amos 6.0. The factor analysis confirms that emotional labor is composed of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Eleven hypotheses were tested by path analysis and seven were accepted. The major findings are that deep acting was affected by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and a performance stressor. The surface acting was affected only by negative affectivity. Surface acting ha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via emotional burnout while deep directly acting influenced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ositive affectivity and a performance stressor on surface acting was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for retail firm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고객관련 스트레스요인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Customer-related Social Stressor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 허창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524-3533
    • /
    • 2014
  • 본 연구는 서비스직 종사자의 두 가지 감정노동전략(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직무소진 및 지각된 고객관련 스트레스요인(CSS)에 미치는 상이한 영향과 그러한 영향 과정에서 지각된 CSS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진행되었다. 대표적인 감정노동 직무라 할 수 있는 호텔서비스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6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 표면행동은 지각된 CSS와 직무소진을 증가시키고(H1지지), 표면행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CSS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3지지). 한편, 내면행동은 직무소진을 감소시켰으나 지각된 CSS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로인해 내면행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CSS의 매개역할 또한 지지되지 않았다(H2부분지지, H4기각). 결과적으로, 지각된 CSS와 직무소진을 모두 증가시키는 표면행동과 달리 내면행동의 경우 지각된 CSS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직무소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두 가지 감정노동 전략에 대한 상이한 접근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와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Nurse's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Mediation Effect of Burnou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 나수양;박한종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6-297
    • /
    • 2019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rses' emotional labor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at was mediated by burnout an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Methods: A total of 227 nurses working at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were recruited from March 21 to May 6 in 2016. Emotional labor includi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burnout factors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sses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Results: Surface acting significantly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Deep acting significantly increased personal accomplishment. Emotional exhaus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Conversely, personal accomplishment significantly reduced turnover intention. Surface acting had an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at was mediated by emotional exhaustion. Deep acting had an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at was mediated by personal accomplishment. Authentic leadership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that was mediated by emotional exhaus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stablishment of strong authentic leadership by head nurses would help nurses reduce thei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Conducting intervention studies would be also important to promote better work environments that would enable nurses to fortify the positive aspect of emotional labor and to reduce their burnout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