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k depth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8초

철근 선조립형 복합 데크플레이트의 하부근 선경축소에 따른 구조적 거동 평가 (A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Composite Deck Plate using a Pre-assembled Re-bar Truss)

  • 유병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29-138
    • /
    • 2006
  • 철근 선조립형 복합 데크플레이트는 거푸집 작업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에서의 발전을 가져왔다. 복합데크 시스템의 해석에는 2D해석법과 3D해석법이 있다. 지금까지 2D해석법을 사용하였으나, 선경축소에 따른 비렌딜 거동을 보다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3D 해석법의 사용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하부근의 선경축소, 아연도 강판의 유무, 경간, 슬래브 두께 등을 변수로 8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거동을 파악하였고, 2D해석법 및 3D해석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2D해석법은 D10의 하부근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고, 비렌딜 거동을 포함한 상세한 거동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3D해석법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Loading capacity of simply supported composite slim beam with deep deck

  • Shi, Yongjiu;Yang, Lu;Wang, Yuanqing;Li, Qiuzhe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9권4호
    • /
    • pp.349-366
    • /
    • 2009
  • The composite slim beam has become popular throughout Europe in recent years and has also been used on some projects in China. With its steel section encased in a concrete slab, the steel-concrete composite slim beam can provide the floor construction with minimum depth and high fire resistance. However, the design method of the T-shape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is no longer applicable to the composite slim beam with deep deck for its special construction, of which the present design models are not available but mainly depend on experiences. The elevation of the flexural stiffness and bending capacity of composite slim beams with deep deck is rather complicated, because the influences of many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such as the variable section dimensions, development of cracks and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concrete, etc. In this paper, experimental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into the flexural behavior of two specimens of simply supported composite slim beam with deep deck. The emphases were laid on the bonding force on the interface between steel beam and concrete, the stress distribution of beam section, the flexural stiffness and bending capacity of the composite beam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reduction factor of equivalent stress distribution in concrete flange is suggested,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flexural stiffness and bending capacity of simply supported slim beams are proposed.

매입형(슬림플로어) 합성보의 휨성능 평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와 비대칭 H형강 철골보- (Flexural Capacity of the Encased(Slim Floor) Composite Beam with Deep Deck Plate)

  • 허병욱;배규웅;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통권69호
    • /
    • pp.235-245
    • /
    • 2004
  • 현재 합성 구조가 사용성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작업성이 좋으며, 시공상의 편의성 등의 장점이 있다는 것은 일반화된 사실이지만, 자체의 춤이 깊기 때문에 철골조 건물에 적용하기에 여러 가지 비효율적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성보의 전체 춤을 절감할 수 있도록 철골보의 춤내에 콘크리트를 삽입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철골조 고층건물에서 층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른바 "슬림플로어" 공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에 매입된 비대칭 철골보를 가지는 부분 합성 슬림플로어 시스템의 휨거동에 관한 것이다. 총 8개의 실대형 실험체를 철골보 춤, 전단연결 유무, 슬래브 유효폭, 및 콘크리트 토핑두께 별로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별도의 전단연결재를 설치하지 않은 실험체는 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계적 화학적 부착응력으로 인해 완전합성보에 비해서 $0.53{\sim}0.95$의 전단합성비를 나타내었다.

루프이음 반두께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갖는 콘크리트 바닥판의 균열폭 제어 (Crack Width Control on Concrete Slab using Half-Depth Precast Panels with Loop Joints)

  • 김동욱;심창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9-29
    • /
    • 2015
  • 반두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적용이 증가함에 따라, 프리캐스트 구조물 간의 연결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합성바닥판에서 패널간에는 횡방향 이음부의 연속적인 거동이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루프이음 방식을 적용하여 교축방향 패널과 패널사이의 이음부에 구조적 연속성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바닥판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루프철근 이음부의 휨강도 및 균열제어의 연속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루프이음 철근 간격을 좁게 한 경우의 휨강도가 1.52배 증진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루프이음부에 횡방향 철근은 균열제어에 매우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골형 합성 테크플레이트를 사용한 반슬림 합성보의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mi-Slim Composite Beam with Traperzodial Composite Deck Plate)

  • 배규웅;오상훈;허병욱;양명숙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9-40
    • /
    • 2001
  • 상업건축물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철골조 건물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와 함께 합성거동하도록 설계된다. 현제 "합성 구조"가 사용성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작업성이 좋으며, 시공상의 편의성 등의 장점이 있다는 것은 일반화된 사실이지만, 자체의 춤이 깊기 때문에 철골조 아파트에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합성의 전체 춤을 절감할 수 있는 반슬림플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철골보 춤내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삽입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철골조 고층건물에서 층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공법이다. 실험은 12개의 합성슬래브 실험체를 데크현상, 슬래브폭, 스터드볼트의 유무와 콘크리트 토핑두께를 변수로하여 휨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이음철근이 보강된 반단면 프리캐스트 판넬 이음부의 강도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the Precast Half Deck Pannel Joints Reinforced by Connection Rebar)

  • 황훈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0-47
    • /
    • 2019
  • The Half-depth precast deck is a structural system that utilizes pre-cast panels pre-built at the factory as formwork at the construction stage and as a major structural member at the same time after completion. These systems have joints between segments, and the detail and performance of the joints are factors that have a very large impact on the quality, such as the construc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bridge decks. In this study, strength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improved joints using connecting rebar by experimental method. Static loading tests were conducted on the test specimen with improved joint, those with existing joint and those without joint. The test results of the specimen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and the flexural strength required by the design was compared. The flexural strength required in the design was presen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It has been shown that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specimens with joints were more than twice that required by the design. But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specimen with existing joint was about 84% of that without joint.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specimen with improved joints was a nearly similar degree of that compared to the specimen without joint. And a comparison of the moment-deflection relationship curves of the two specimens also shows a very similar flexural behavior. It is confirmed that improved joint has sufficient flexural strength. In addition to strength, the bridge decks require serviceability, such as deflection and cracking, and in particular, fatigue resistance due to repetitive live loads is an important performance factor. Therefore, further verification studies are required.

Investigation of Likelihood of Cracking in 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s

  • ElSafty, Adel;Abdel-Mohti, Ahme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7권1호
    • /
    • pp.79-93
    • /
    • 2013
  • One of the biggest problems affecting bridges is the transverse cracking and deterioration of concrete bridge decks. The causes of early age cracking are primarily attributed to plastic shrinkage, temperature effects, autogenous shrinkage, and drying shrinkage. The cracks can be influenced by material characteristics, casting sequence, formwork, climate conditions, geometry, and time dependent factors. The cracking of bridge decks not only creates unsightly aesthetic condition but also greatly reduces durability. It leads to a loss of functionality, loss of stiffness, and ultimately loss of structural safety. This investigation consists of field, laboratory, and analytical phases. The experimental and field testing investigate the early age transverse cracking of bridge decks and evaluate the use of sealant materials. The research identifies suitable materials, for crack sealing, with an ability to span cracks of various widths and to achieve performance criteria such as penetration depth, bond strength, and elongation. This paper also analyt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a wide range of parameters on the development of cracking such as the number of spans, the span length, girder spacing, deck thickness,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dead load, hydration, temperature, shrinkage, and creep. The importance of each parameter is identified and then evaluated. Also, the AASHTO Standard Specification limits liveload deflections to L/800 for ordinary bridges and L/1000 for bridges in urban areas that are subject to pedestrian use. The deflection is found to be an important parameter to affect cracking. A set of recommendations to limit the transverse deck cracks in bridge decks is also presented.

181,000 DWT BULK CARRIER 전선 진동해석을 통한 전선진동특성 고찰 (The study of 181,000 DWT BULK CARRIER global vibration characteristic by global vibration analysis)

  • 임구섭;정태석;최영달;석호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9-330
    • /
    • 2008
  • The 181,000 DWT Bulk Carrier has a different deck house type, which is not typical for previous bulk carriers, to meet the new international rules for bulk carriers. This new deck house has much smaller transverse breadth than the hull's transverse breath, resulting in large levels of the transverse response of the deck house.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response of the funnel showed rather a large magnitude of vibration, which are excited by the ship's main excitations such as the main engine H-moment and the propeller surface forte when the ship operates at the NCR and the MCR speeds In the ballast condition. To solve these issues, the global forced vibratio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for the ship and the ship structure has been modified to reduce the vibration level by increasing the girder depth and adjusting the engine room tank arrangement.

  • PDF

공용중인 교량 바닥판의 내구성에 공극특성이 미치는 영향 (Case Study on the Void Characteristics of Concrete Bridge Decks on the Expressway)

  • 서진원;이지영;김홍삼;이병주;신도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425-428
    • /
    • 2008
  • 교량 바닥판은 공용기간 동안 차량하중 및 외부 열화환경(동결융해, 우수, 융빙제)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교량의 주요 부재 중 가장 많은 결함이 발생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열화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손상방지 및 품질향상 대책을 수립하고자, 고속도로 상에 공용 중인 교량 바닥판 중 19개소에 대해 콘크리트 코어를 채취하고, 콘크리트에 대한 공극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손상이 발생된 교량 바닥판의 경우, 공기량이 기준치에 미달하거나,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에도 기포간격계수가 외국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여 내구성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해도로 복구를 위한 장경간 프리캐스트 바닥판 PSC거더교 교량 급속 시공 (Accelerated Construction Method of Long-span PSC Girder Bridge for the Recovery of Flood Damaged Road)

  • 오현철;마향욱;김인규;김영진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51-56
    • /
    • 2008
  • 여름철에 연평균 강수량의 50%이상이 집중 발생하는 우리나의 기후로 인해 매년 수해로 수많은 교량들이 유실되어 도로 기능유지에 심각한 지장을 주고 있다. 우기 전에 복구공사를 완료하기 위해서 공기단축을 위한 급속시공 교량공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PSC거더 교량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적용하여 교량공사기간을 50%이상 단축시킨 교량가설 공법인 "Precast deck and PSC girder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를 국도 제44호선 인제~양양 구간의 수해복구 공사 중의 한계2교에 적용한 시공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