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ision-directed error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고차 QAM 신호에 대한 결정 지향 오차 신호의 크기 값을 이용한 이중 모드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a Dual-Mode Blind Equalization Algorithm Using the Size of Decision-Directed Error Signal for High-Order QAM Signals)

  • 정영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89-9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결정 지향 오차 신호의 크기 값을 이용하여 두개의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이중 모드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등화초기에는 주로 큰 고정 스텝 크기를 가지는 MSAGF-SMMA를 통하여 보다 빠른 수렴 속도를 얻도록 하고, 어느 정도 등화가 이루어진 시점부터는 주로 가변 스텝 크기를 가지는 MSAGF-SMMA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정상상태에서 보다 작은 잔류 오차를 얻도록 하였다. 가변 스텝 크기는 고정 스텝 크기에 결정 지향 오차 신호의 크기 값을 곱하여 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MMA, SMMA, 그리고 MSAGF-SMMA에 비해 정상상태에서의 잔류 심볼간 간섭과 잔류 오차 등에서 크게 향상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A BLMS Adaptive Receiver for Direct-Seque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s

  • Hamouda Walaa;McLane Peter J.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7권3호
    • /
    • pp.243-247
    • /
    • 2005
  • We propose an efficient block least-mean-square (BLMS) adaptive algorithm, in conjunction with error control coding, for direct-seque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DS-CDMA) systems. The proposed adaptive receiver incorporates decision feedback detection and channel encoding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tandard LMS algorithm in convolutionally coded systems. The BLMS algorithm involves two modes of operation: (i) The training mode where an uncoded training sequence is used for initial filter tap-weights adaptation, and (ii) the decision-directed where the filter weights are adapted, using the BLMS algorithm, after decoding/encoding operation.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adaptive receiver structure is able to compensate for the signal-to­noise ratio (SNR) loss incurred due to the switching from uncoded training mode to coded decision-directed mode. Our results show that by using the proposed adaptive receiver (with decision feed­back block adaptation) one can achieve a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both the coded LMS with no decision feedback employed. The convergence behavior of the proposed BLMS receiver is simulated and compared to the standard LMS with and without channel coding. We also examine the steady-state bit-error rate (BE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daptive BLMS and standard LMS, both with convolutional coding, where we show that the former is more superior than the latter especially at large SNRs ($SNR\;\geq\;9\;dB$).

입력 전력 신호와 결정지향 오차 신호를 이용한 가변 스텝 크기를 가지는 MSAGF-MMA 적응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SAGF-MMA Adaptive Blind Equalization Algorithm with Variable Step Size Using Input Power Signal and Decision-Directed Error Signal)

  • 정영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3-58
    • /
    • 2020
  • 본 논문은 입력 전력 신호와 결정지향 오차 신호에 따라 스텝 크기가 변하는 가변 스텝 크기를 가지는 MSAGF-MMA의 성능 분석에 관한 것이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변형된 Stop-and-Go 알고리즘으로 부터 얻어진 이진 플래그를 가지는 MMA에 스텝 크기가 입력 신호의 변동에 영향을 덜 받도록 함으로써 정상상태로의 수렴 속도를 안정하게 높일 수 있는 입력 전력 신호에 따라 변하도록 하였다. 그와 동시에 정상상태에서 잔류 오차가 작아질 수 있도록 결정지향 오차 신호에 따라 스텝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MMA 및 MSAGF-MMA와 비교하여 정상상태로의 수렴 속도 면에서 뿐만 아니라 정상상태에서의 잔류 ISI와 averaged-MSE 등의 평가에서 매우 뛰어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OFDM 및 SC-CP 시스템에 대한 결정지향 방식의 평균위상에러 정정 (Correction of Mean Phase Error for OFDM and SC-CP Systems using Decision-Directed Method)

  • 김지헌;김환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2호
    • /
    • pp.77-84
    • /
    • 2005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 SC-CP(Single Carrier with Cyclic Prefix) 방식은 문선 분야에서 각기 각광받고 있으며, 두 방식 모두 주파수 영역에서 효율적인 등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무선 채널의 도플러 쉬프트 현상이 수반되는 경우 등화기만으로 온전히 왜곡 보상이 여의치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상에러 추적회로와 등화기를 연동시켜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평균위상에러의 효과를 기술하였고, 결정지향 방식의 평균위상 에러 추적회로와 proportional 등화기를 연동한 성능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추적회로의 연산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위성 채널에서 확장된 OQPSK 위상동기 알고리즘 성능평가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Extended Phase Recovery Algorithm for OQPSK in Satellite Channel)

  • 김명섭;송윤정;정지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5A호
    • /
    • pp.634-64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OQPSK 신호에 대한 공상 변수(Maximum Likelihood parameter) 평가에 기반을 둔 확장된 DD-DEO(Decision Directed-Decision Estimate) 위상 동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기존의 방식과 비교할 때, 위상 검출기 블록 전에 I(In-phase), Q(Quadrature-phase)채널 당 2 tap을 가지는 필터 블록을 첨가함으로써, 위상 동기 루프에 입력되는 데이터 의존적인 잡음을 줄일 수 있다. 제안한 방식은 송 수신단 기저대역 필터의 롤오프 요소(roll-off factor), 위성 채널의 백오프(back-off) 그리고 루프 대역(loop bandwidth)을 결정하는 $\beta$를 변화시키며 위상 오차와 오류 확률 관점에서 기존의 방식 및 QPSK와 비교하여 성능 평가를 행하였다.

  • PDF

광대역 CDMA이동통신 시스템의 결정지향 채널추정기를 위한 필터크기 결정 방법 (Filter Size Determination Algorithms for Decision-Directed Channel Estimators in Wideband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 임민중;류철;안재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5호
    • /
    • pp.171-180
    • /
    • 2003
  •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시스템은 페이딩에 의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수신기에서 정확한 채널추정을 요구한다. 순간채널추정값은 수신된 신호를 전송된 신호로 나누어 줌으로써 얻게 되며, 추정분산을 줄이기 위하여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채널추정값을 얻는다. 채널추정필터에서 필터 크기의 결정은 채널추정값의 정확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일이다. 기존의 논문들은 필터의 크기 결정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속도 추정기만을 사용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결정지향 채널추정 방법의 채널추정필터를 위해서 단말기의 속도뿐만 아니라 심벌오류확률과 신호대잡음비를 고려한 필터 크기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은 심벌오류확률과 신호대잡음비가 필터 크기를 결정할 때의 중요한 요소임을 보인다.

회전결정경계를 이용한 QPSK 복조용 자동주파수 제어 알고리즘 (A rotational decision-directed AFC algorithm for QPSK demodulation)

  • 황유모;박경배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4S권11호
    • /
    • pp.16-24
    • /
    • 1997
  • In order to prevent the presence of the residual phase difference at the discriminator output by the existing AFC techniques, we propose a new automatic frequency control(AFC) tracking algorithm for QPSK demodulation at the digital direct broadcasting satellite(DBS) receiver, which we call a rotational decision-directed AFC(RDDAFC). The RDDAFC rotates the decision boundary for the kth received symbol by the frequency deterctor output of the (k-1)th received symbol. Tracking performances of carrier frequency offset by the proposed RDDAFC algorithm are evaluat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under the practical DBS channel conditions with a carrier frequency offset of 2.3MHz when S/N equals 2dB. Test results show that the total pull-in time of the RDDAFC is 1.697msec for 10$^{-3}$ SER before forwared error correction at the receiver.

  • PDF

다중 스텝 크기 LMS를 이용한 MSAGF-MMA 적응 블라인드 등화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MSAGF-MMA Adaptive Blind Equalization Using Multiple Step-Size LMS)

  • 정영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83-89
    • /
    • 2013
  • 적응 블라인드 등화는 고속 디지털 데이터 전송시 통신 채널에서 발생되는 부호간 간섭을 최소화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MSAGF-MMA 적응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에 다중 스텝 크기 LMS를 적용함으로써 MSAGF-MMA 알고리즘의 성능을 더욱 개선시킨 등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결정지향 크기 오차의 범위를 여러 개로 나누어 각각의 범위에 따라 스텝 크기를 달리 적용하는 다중 스텝 크기를 가지는 LMS 알고리즘을 MSAGF-MMA에 적용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MMA나 MSAGF-MMA에 비해 수렴 속도 면에서나 정상상태에서의 잔류 심볼간 간섭 및 잔류 오차, 그리고 앙상블 평균 MSE등에서 크게 향상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수중음향통신에서 효율적인 패킷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Packet Design for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 박태두;정지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631-635
    • /
    • 2012
  • 수중에서의 통신은 해수면과 해저면 등에 의한 신호의 반사가 생겨 다중경로 전달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다중경로 전달의 영향으로 신호는 왜곡되고 원활한 수신을 방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중경로 환경에서 효율적인 패킷 설계를 위하여 채널 부호화 기법으로는 부호화 후의 크기 N = 1944 비트,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K = 972 비트를 가지는 부호화율 1/2 인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codes) 부호를 이용하였으며, 다중경로로 인한 위상 오차 추정은 decision directed 방식을 이용하여 위상 추정을 하였다. 실제 동해 바다에서 송수신 거리가 200m, 500m 그리고 데이터 속도를 1Kbps, 4Kbps로 설정하여 각 거리 및 데이터 속도에 따른 QEF(Quasi Error Free)가 되는 지점에서의 최적의 패킷 구성을 위한 데이터 길이를 제시하였다.

가변 스텝 크기 MSAG-GMMA 적응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 (A Performance Evaluation of Blind Equalization Algorithma for a Variable Step-Size MSAG-GMMA)

  • 정영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77-82
    • /
    • 2018
  • 본 논문은 가변 스텝 크기를 가지는 MSAG-GMMA(modified Stop-and-Go generalized multi modulus algorithm) 적응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에 관한 것이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등화 계수 갱신 식에서 고정 스텝 크기에 결정지향 알고리즘의 오차신호의 크기를 곱하여 오차크기에 따라서 스텝 크기가 변하도록 하였다. 또한 결정지향 알고리즘의 오차신호의 크기를 판단하여 어느 임계값 이상에서는 정상상태로의 빠른 수렴 속도를 유지하도록 스텝 크기가 고정인 값을 가지는 MSAG-GMMA가 동작하고, 미만일 때는 스텝 크기가 가변되는 MSAG-GMMA가 동작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성능 지수로 앙상블 ISI, 앙상블-평균 MSE, 그리고 등화기의 출력으로 얻어지는 등화 후 신호점도를 사용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MMA, GMMA, 그리고 MSAG-GMMA보다 빠른 수렴 속도와 정상상태에서 작은 잔류 오차를 가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