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s after flowering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18초

주경 상부엽 제거시기가 콩의 절위별 Sink형질 변이에 미치는 영향 (Variation of Sink Components in Response to Removal Time of Upper Leaf on Main Stem in Soybean)

  • 박춘봉;이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25
    • /
    • 1995
  • 콩에 있어서 source인 상부엽의 제거시기에 따라 sink인 협이나 종실에 얼마 만큼 영향을 미치는가 를 절위별 협 및 종실의 변화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제거에 의해 주경의 협수감소가 시작되는 절위는 엽제거 시기가 늦을수록 낮아졌고, 개화 후 25일 엽재거구가 15일구보다 엽제거 시기가 10일 늦은데도 6∼8절위에서 감소폭이 커 개화후 25일이 결협에 중요한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주경의 상부엽 제거로 주걍하부엽과 분지엽의 수광량이 증가하였는데도 엽무제거구보다 이들 부의의 물질 집적량이 적어 이 부위의 동화물질이 다른 부위로 전류된 양상을 보였다. 3. 협당입수는 개화후 35일 엽제거구가 25일구보다 적어 개화후 35일이 입의 퇴화에 더 큰 영향을 준 시기였다. 4. 가장 주요한 sink인 종실의 종피 구열립은 주경의 정단에서 9절위까지 엽무제거구가 25∼35% 절위였으나 엽제거구는 대부분 10%이하였다.

  • PDF

해바라기에 있어서 파종기 이동이 초장, 엽수, 개화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Planting on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Flowering and Yield on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 강광희;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8-103
    • /
    • 1977
  • 두 품종 군포재래 및 페레도빅에 대하여 파종기에 따른 생태적 차이를 구명함으로서 우리나라 작부방식 및 간ㆍ혼작에 알맞는 해바라기 재배와 품종선택의 기초자료를 얻고져 1974년 수원에서 4월15일부터 7월25일까지 20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파종하였다. 1) 페레도빅은 파종기가 빨라지면 발뢰기도 빨라졌으나 군포재래는 파종기를 달리 하여도 일정시기(8월8일) 이후에 발뢰기에 도달하였다. 2) 군포재래는 페레도빅에 비하여 감광성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페레도빅은 감온성 정도가 군포재래 보다 높은 경향이다. 3) 발뢰이후 개화기까지 일수는 파종기에 따라 차이가 인정되지 않고 페레도빅은 25일, 군포재래는 28일이 소요되었다. 4) 페레도빅은 발뢰이후생장이 이전의 생장보다 크며 군포재래는 반대로 나타났다. 5) 두 품종 모두 5월25일 파종에서 초장 및 경의 굵기가 모두 컸으며 품종간의 차리도 현저하게 나타났고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품종간 차이가 적어졌다. 6) 페레도빅은 군포재래보다 엽수가 적으며 파종기에 따른 차이가 없고, 군포재래는 엽수가 많으며 5월25일 파종까지는 파종기별 차이가 없어도 6월15일 이후는 파종기 지연에 따라 엽수가 현저하게 줄었다. 7) 5월5일 파종기에서 페레도빅을 종실수량 158kg/10a로 가장 높았으며 7월5일 이후의 파종에서는 현저하게 감수되었다. 군포재래는 파종기 지연에 따라 수량감수정도는 페레도빅보다 적었다.

  • PDF

생강의 화기구조 조사 및 약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생 (Investigation of floral Structure and Plant Regeneration through Anther Culture in Ginger)

  • 김태수;최인록;김현순;김수동;박문수;고정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07-210
    • /
    • 2000
  • 생강의 개화특성과 화기구조를 관찰하고 약배양에 의한 캘러스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지내 생장조절물질의 효과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화병의 형성은 국내종은 서산종, 도입종은 태국종에서만 출현되었으며 화뢰당 소화형성은 서산종 8개, 태국종이 10개 형성되었으나 종자정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개화기는 8월 18일에서 8월 25일 사이에 불규칙적으로 나타났고 1일중 개화시각은 오후 4시-5시 사이에 대부분 개화하였다. 3. 꽃은 장주화로서 주두상단에는 섬모가 나 있으며 수술은 연착약, 배낭내 태좌는 증축태좌 형태를 나타냈다. 화분은 원형과 타원형이 혼재되어 있으나 원형이 많았으며, 화분막은 2중 구조였다. 4. 약 유래 캘러스 형성에는 CM배지가 좋았고, 캘러스로부터 기관분화는 MS배지에 BA 2mg/l 를 첨가한 재생배지에 이식 후 40일경부터 부정근이 먼저 출현되고 배양 60일 후에는 줄기와 뿌리가 완전 분화된 정상적인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Mycorrhiza 및 Rhizobium 접종이 알팔파-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혼파에 의한 질소와 인의 이용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oculation of Mycorrhiza and Rhizobium on N, P utilization and Vegetative Growth in Alfalfa/Perennial Ryegrass Intercropping)

  • 정우진;이복례;김길용;정순주;김태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5-294
    • /
    • 2000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ycorrhiza (Glomus intradics) and Rhizobium inoculation on the N, P utilization and growth response of Alfalfa (Medicago saliva L.) and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in mixed sward, four treatments (non-inoculation, Control; Mycorrhiza inoculation: M; Rhizobium inoculation, R and Mycorrhiza and Rhizobium inoculation, M+R) were applied. The associated analyses were canied out on the early vegetative growth stage (DAS 56, 56 days after seeding) and on the early flowering stage (DAS 126). The decreased rate of total N and P content in soil, with advancing plant growth,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M and M + R treatment than control. The content of availabie phosphorus in soil at DAS 126 increased by about 34 and 38 % in M and M+R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189.2 mg PzOskg DM), while non-significant changes was observed in R treatment. Total N uptake and P uptake in the control at DAS 126 were 44.71 and 3.52 mglplant in mixed sward, respectively. About 71, 98 and 197 % of increases in total N uptake and 70, 72 and 11 1 % of increases in total P uptake were estimated in M, R and M+R treatment. Comparing to control, total dry matter yield significantly increased by 27, 33 and 53 %, and crude protein yield also by 78, 83 and 204 %, respectively, in M, R and M+R treatment. The present data indicated that mycorrhiza orland rhizobium inoculation improved N, P utilization of both alfalfa and perennial ryegrass plants, and consequently increased total yield (especially by dual inoculation, M+R). (Key words : Alfalfa, Perennial ryegrass, Mycorrhiza, Rhizobium, N and P Utilization, Growth, Yield)

  • PDF

Mycorrhiza 및 Rhizobium 접종이 알팔파에 의한 질소와 인의 이용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oculation of Mycorrhiza and Rhizobium on N, p utilization and Vegetative Growth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정우진;이복례;김길용;정순주;김태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5-284
    • /
    • 2000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ycorrhiza (Glomus intradics) and Rhizobium inoculation on the N, P utilization and the growth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four treatments (non-inoculation, control ; Mycorrhiza inoculation, M ; Rhizobiurn inoculation, R and Mycorrhiza and Rhizobium inoculation, M+R) were applied. The associated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the early vegetative growth stage (DAS 56, 56 days after seeding) and on the early flowering stage (DAS 126). The decreased rate of total N and P content in soil, with advancing plant growth,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mycorrhiza andor rhizobium treatments than control. The content of available phosphorus in soil at DAS 126 increased by about 40 % in M and M+R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141.0 mg PzOg'kg DM), while non-significant changes was observed in R treatment. Total N uptake and P uptake in the control at DAS 126 were 33.91 mglplant and 2.42 mdplant, respectively, about 21, 50 and 51 % of increases in total N uptake and 30, 11 and 47 % of increases in total P uptake were estimated in M, R and M+R treatment. Comparing to control, dry matter yield significantly increased by 8, 27 and 28 %, and crude protein yield also by 21, 42 and 39 %, respectively, in M, R and M+R treatment. The present data indicated that mycorrhiza orland rhizobium inoculation improved N, P utilization, and consequently increased the yield of alfalfa. (Key words : Alfalfa, Mycorrhiza, Rhizobium, N and P Utilization, Growth, Yield)

  • PDF

야생 알팔파의 건물수량, 생육특성 및 사료적인 가치 (Dry Matter Yield, Growth Characterics and Nutritive Value of Wild alfalfa)

  • 신정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5-158
    • /
    • 1999
  • 우리나라에는 알팔파의 야생종이 자생하고 있으나 이에 관해 조사 연구되어 발표된 결과는 거의 없다. 그러므로 대구지역에 자생하는 알팔파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분석을 통하여 목초화 가능성을 밝히고저 하는 것이 본 시험의 목적이다. 야생 알팔파와 'Vernal' 품종을 1995년 봄에 경북 경산의 계명문화대학 사료작물포장에 파종하였다. 출현율은 'Vernal'이 야생 알팔파보다 우수하였으며 개화기는 야생 알팔파가 8일 늦었다. 재생력은 'Vernal'이 야생 알팔파보다 우수하였으며 마지막 예취 (9월 22일)이후 야생 알팔파는 거의 재생되지 않았으나 'Vernal'은 재생력이 우수하였다. 잡초율은 야생 알팔파가 'Vernal' 보다 높았으며, 건물수량은 'Vernal'이 야생 알팔파보다 유의하게 (P<0.05) 높았다. 조단백질, ADF 및 NDF 함량은 1 및 2차 예취때는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3차 예취시는 조단백질 함량은 야생 알팔파가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며 ADF와 NDF 함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 PDF

Effect of Variety and Stage of Maturity on Nutritive Value of Whole Crop Rice, Yield, Botanical Fractions, Silage Fermentabi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 Islam, M.R.;Ishida, M.;Ando, S.;Nishida, T.;Yoshida, N.;Arakaw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83-192
    • /
    • 2004
  • The effect of eight varieties of grain and forage type whole crop rice (Oryza sativa L Japonica) each harvested at four stages of maturity were investigated for morphology and yield, proportion of botanical fractions, fermentatabi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in an $8{\times}4$ factorial experiment. All crops were sown in 1997 at Saitama Prefecture, Japan under identical condition and harvested on 10, 22, 34 and 45 days after flowering in 1998. Total DM yield of forage type varieties was similar to that of the highest yield of grain type varieties. However, while yield of forage type varieties was attributed to higher proportion of straw than head, the reverse was in the case of grain type varieties. Yield in line with the proportion of head increased (p<0.001), but in contrast proportion of straw decreased (p<0.001) with the increase in maturity. Silage fermentability of grain type varieties was better than forage type varieties. Fermentability improved with the increase (p<0.001) in maturity suggesting that the moisture content should be reduced to improve fermentation quality. Forage type varieties contained higher (p<0.001) ash, crude fat (EE), organic cell wall (OCW)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but contained lower crude protein (CP), organic cell content (OCC), CP in OCC and nitrogen-free cell wall extract (NCWFE) than the grain type varieties. The ash, CP, EE, Oa (60% digestible OCW), Ob (40% digestible OCW), OCW, ADF and acid detergent lignin (ADL) decreased (p<0.001), but OCC and NCWFE increased (p<0.001) with the increase in maturity. It is concluded that stage of maturity not only increases yield and proportion of head, but also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increases quality chemical composition (except CP) of whole crop rice. Forage type varieties may be as good as grain type varieties in terms of yield, but fermentation qua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may not be as good as that of grain type varieties.

간척지 토양에서 벼 재배시 염농도별 완전 낙수시기 (Optimum Drainage Time for Rice Quality in Tidal Reclaimed Area)

  • 최원영;이규성;고종철;문상훈;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85-87
    • /
    • 2005
  • 본 연구는 남서해안 간척지에서 토양 염농도(저염; $0.1\%$, 중염; $0.3\~0.4\%$)별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완전 낙수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염토양에서의 완전낙수시기에따라 $m^2$당 립수가 비슷하여 쌀 수량은 유의차가 없었다. 중염토양에서는 완전낙수시기가 빠를수록 염피해를 받아 등숙비율이 낮아져, 쌀 수량은 출수후 30일까지는 감수하였고 35일 이상에서는 같았다. 2. 토양 염농도간의 쌀 수량은 중염 토양에서 저염 토양의 $64\%$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3. 저염 토양에서 완전미 비율이 높았으나 현미품위는 처리농도간에 차이를 볼 수 없었다. 4. 2002년 기상은 완전낙수시기에 잦은 강우로, 2003년에는 생육기 저온으로 인하여 완전 낙수시기를 결정하기 어려웠지만 수량 및 도복 등을 고려해 볼 때 저염 토양에서는 출수 후 $20\~40$일에, 중염 토양에서는 출수 후 $35\~40$일에 완전낙수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Ecophysiology of Seed Germination in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 Shim, Sang-In;Kang, Byeung-Ho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9-24
    • /
    • 2004
  • Germination and emergence habits of Chinese milk vetch (CMV) were examin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ultural practices on the seedling density. Seed germination tests with different water potentials, temperatures, and soil and water depths showed the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characters related to seed germination in CMV. Imbibition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reflects that initial velocity was rapid at higher temperature, however, the times to full imbibition were not different between 15 and $25^{\circ}$. The optimal germination temperature for CMV germination was ranged from 15 to 20 and the germination was highly affected by water potential of media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bove $20^{\circ}$. When the seeds were sown in flooded condition the germination was not proportionally affected by water depth. In addi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water depth and oxygen concentration. The germination of seeds flooded by 2cm water depth were poorly germinated compared to other depths.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rmination of submerged seeds was more highly influenced by flooding depth than the temperature, it was also affected more strongly at 10 than $20^{\circ}$. Emergence of CMV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covered soil was poor when the soil layer was greater than 5cm. In the experiment with seeds collected between 22 days after flowering (OAF) and 52 DAF, the highest germination ability of CMV seeds was observed at 39 DAF and germinability was decreased subsequently as seeds became mature. The lower germinability may be due to the enhanced seed dormancy.

대두 기내 배양체의 분화에 대한 생화학적 성분의 변화와 특성 : (II) 대두 기내 배양체의 분화에 대한 지질의 변화와 특성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ochemical components on the differentiation of soybean cell tissue cultures : (II)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pid on the differentiation of soybean cell tissue cultures)

  • 남상해;양민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42-148
    • /
    • 1991
  • 개화후 15일된 대두미숙종자를 배양하였을 때 callus의 형성에 적당한 온도는 $24{\sim}27^{\circ}C$였으며, NAA를 생장조절제로 사용하였을 때 embryogenic callus(EC)가 많이 형성되었다. 또한 EC를 계대배양하였을 때 BA 2mg/1 사용한 배지에서는 shoot가, IAA 2mg/1 사용한 배지에서는 root가 많이 형성되었으나, BA 2mg/1 IAA 2mg/1를 동시에 사용한 배지에서는 callus의 형성만 왕성할 뿐, 기관분화의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배양체에 함유되어 있는 total lipid는 온도가 낮은 배양조건일수록 많았으며, callus의 생육이 왕성한 $24{\sim}27^{\circ}C$에서 glycolipid, phospholipid, free sterol의 함량이 다소 많아졌으며, embryogenic structure가 많이 생겨날 때에는 free sterol의 함량이 많았다. 배양체의 지방산 조성은 EC에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았으며, 불포화도는 0.837이었다. 또한 sterol조성에서도 EC에서 cholesterol의 함량이 다른 배양체에서보다 현저히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