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care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3초

An Analysis of Meal Hygiene Management Statu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in Anyang Area - Regarding the Change in the Number of Visits due to COVID-19 -

  • Kim, Hye Won;Pie, Jae 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2-20
    • /
    • 2022
  • In order to prevent mass infection of food poisoning in children,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should always thoroughly manage the hygiene and safety of meals. In this study, the hygiene management levels of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oodservice facilities for four years from 2018,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visits on the meal hygiene management scores analyzed. The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a small-scale and the group foodservice facilities and was divided into the Sprout group and the Fruit group according to the meal hygiene management level. As a result, the meal hygiene management of the Fruit group was generally better than that of the Sprout group, and the meal hygiene management scores in the second half of each year increased compared to the first half of the yea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l hygiene management scores in 2020, when the number of visits to foodservice facilities decreased due to COVID-19, was the worst compared to other years, and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visits could affect the level of hygiene management. In conclusion, meal hygiene management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Moreover, the number of visits and the hygiene management scores correlated,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appropriate number of visits should be maintained to improve the meal hygiene management level. However, in situations whe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spread of mass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other active measures to replace visits should be proposed.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by childcare teachers on food serving sizes

  • Heejung Park;Jin Heo;Wookyoun Cho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6호
    • /
    • pp.699-708
    • /
    • 2022
  • Purpose: Adequate nutrition is to be provided for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during early childhood. Currently, childcare teachers provide lunch to most childre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rtion size provided by teachers and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 on food serving size. Methods: The subjects were childcare teachers (n = 120) in charge of children aged 3-5 years at a daycare center in Hanam-si.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quest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their nutritional education status, and the source of nutri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ortion sizes of items on the menu currently provided to children were measur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determining serving size, the subjects were randomly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In the first group (n = 60) theoretical education on nutrition and serving sizes was given, whereas in the second (n = 60), practical education on these topics was provided.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portion size of rice and the serving size announced on the menu was observed to decrease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experience of the teacher, although the differences in the main dish and kimchi were higher. The gap between the serving size mentioned in the menu and the portion size distributed widened as the age of the teachers increased. Notab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rtion size and the serving size of food decreased after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education. Furthermore, the effect of education on the serving size of the main dishes (p < 0.001), side dishes (p < 0.01), and kimchi (p < 0.01) was observed to be greater in the practical education group than in the theoretical education group. Conclusion: Regula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on the serving sizes mentioned in the menu, as the quantity of food served depends on the experience and age of teachers. In the case of rice, theoretical education alone sufficed to ensure a proper serving size. However, hands-on training on the main and side dishes, and kimchi would be much more helpful.

RFID를 활용한 안전 스쿨버스 시스템 설계 (Design of Safety School Bus System Using RFID)

  • 김지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741-1746
    • /
    • 2022
  • 스쿨버스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통학버스 운전자 및 동승 보호자의 과실로 인한 사고 발생이 빈번하여 어린이들의 스쿨버스 하차 확인을 의무화하는 등의 관련 법안이 제정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활용도와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와 모바일 APP을 연동한 안전한 스쿨버스 시스템을 제안 한다. 스쿨버스 시스템은 RFID 카드를 이용해 스쿨버스에 탑승하는 어린이들의 승·하차 정보를 확인하고, 실시간 SMS 전송으로 학부모들은 아이들을 안심하고 등·하원 시킬 수 있다. 스쿨버스에 동승한 지도교사들은 아이들의 하차 정보를 APP을 통해 한 번 더 확인 할 수 있어 버스 내에 남겨진 아이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어린이집 선생님들은 스쿨버스 운행일지의 자동화로 인해 더욱 효율적으로 승·하차 정보 확인뿐만 아니라 원생들의 등·하원 정보까지 관리 할 수 있다.

Effect of Toothbrushing Application for Kids on Dental Plaque Removal and Interest in Toothbrushing of Preschool Children

  • Chae-Ha Hwang;Hyeon-Ju Song;Min-Ji Jung;Yeon-Jae Choi;Young Sun Hwa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8-215
    • /
    • 2023
  • Background: Dental caries in preschool children can cause early loss of teeth, reduced masticatory function, malocclusion, and speech disorders, making oral care for preschool children essential. However, because children have a poor ability to perform oral hygiene by themselves, educational tools that help establish correct oral health behaviors are required.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oothbrushing application for kids on dental plaque removal and toothbrushing interest in preschool children. Methods: Seven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day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and the sam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wice a week. The Pokémon Smile application (App) was used as an auxiliary application for tooth brushing, and the degree of dental plaque removal on the tooth surface was evaluated by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imaging. After the experiment, children's toothbrushing preferences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Results: The levels of AREA R30 and AREA R70 measured after the children's toothbrushing as usual decreased compared to those before toothbrushing; however,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The levels of AREA R30 and AREA R70 measured after using the Pokémon Smile Ap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ose before toothbrushing. Children's interest in brushing their teeth increased by 28.59% after using the Pokémon Smile App. Conclusion: The toothbrushing application for kids effectively removes dental plaque by helping preschool children brush their teeth. It also increased preschool children's interest in tooth brushing. Therefore, an oral health education application would be useful for children who need to develop correct oral care methods and habits.

영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5년~2022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Korean Articles Published in 2005 Through 2022)

  • 고슬기;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75-38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5~2022년 영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주제로 국내 KCI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 8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게재연도와 연구방법 및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국내의 영유아교사 임파워먼트 학술지 연구는 2005년에 처음 게재된 후 2022년까지 매해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연구방법 측면에서 살펴보면 연구유형은 '양적연구', 자료수집방법은 '질문지법', 자료분석방법은 '영향(경로)분석'이 우세했다. 이와 함께 연구대상으로는 '유아반교사'와 '어린이집'이 더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측정도구로는 'Short와 Rinehart의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셋째, 연구주제 분석 결과 '임파워먼트의 영향력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관련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언했다.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 cross-sectional study

  • Jinkyung Kim;Min-Sun Jeon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the health of residents and 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and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meets the needs of the field. Methods: Altogether, 249 employee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on the health status of residents/users, meal management, nutritional education, nutritional education needs, and awareness of nutritional education were obtained through online surveys.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eeds, and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and independent t-tests and χ2 tests were perform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ial and daycare facilities. Results: The majority of residents/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en educating residents with residents/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sonal hygiene' was the most necessary topic, followed by 'obesity management' education. Regarding the methods of providing education, face-to-face lectures demonstrated a high demand. They responded that when nutrition education experts provide nutrition education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ey must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ave the ability to determine appropriate nutrition for such people. The most appropriate nutrition program training would be twice a year, lasting 30 min to 1 h per training session. Conclusions: It will present a direction for operat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t meets their need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ailored to welfare facilities for such individuals in Korea.

소아 재발성 중이염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isk Factors of Recurrent Otitis Media)

  • 김은진;권영란;송강훈;장원녕;이진;장진근;차성호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2호
    • /
    • pp.91-100
    • /
    • 2010
  • 목적 : 재발성 중이염은 말하기, 언어, 인지 능력 지연 및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청력 소실 혹은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재발성 중이염을 앓는 소아들은 예방적 항생제 투여, 고막 절개와 튜브 삽입, 아데노이드 절제의 고려 대상이 된다. 하지만 재발성 중이염의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나라의 소아 재발성 중이염의 위험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9년 7월부터 2010년 1월까지 한일 병원과 경희의료원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방문한 60개월 미만의 소아를 대상으로, 104명의 재발성 중이염군과 331명의 대조군을 대면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성별, 모유수유, 인공 젖꼭지 사용, 어린이집 이용, 알레르기 비염 병력, 모세기관지염의 병력, 소득 수준, 부모 흡연, 집안에서의 흡연, 폐구균 백신 및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력 등의 항목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위험인자와 재발성 중이염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통한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단변량 분석에서 의미 있었던 위험인자들 간의 교란변수를 보정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다변량 분석도 시행하였다. 결 과 : 단변량 분석에서는 어린이집 이용,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모세기관지염, 부모 흡연, 집안에서의 흡연, 낮은 사회경제 상태가 의미 있는 위험인자였다. 하지만 폐구균 백신 접종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교란변수를 보정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아토피, 부모 흡연, 집안에서의 흡연을 제외한, 어린이집 이용(P<0.001, OR=2.85), 알레르기 비염(P=0.026, OR=2.32), 모세기관지염(P=0.003, OR=2.33), 낮은 경제상태(P=0.005, OR=2.00)가 의미 있는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 결론 : 알레르기 비염과 모세기관지염의 병력이 있고, 낮은 사회경제 상태에 있으며,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소아일수록 재발성 중이염에 걸릴 위험이 높았다.

전북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어린이집 간식메뉴의 유형, 식품 다양성 및 학부모 만족도 연구 (Study on the snack menu pattern, food diversity and satisfaction of parent provided by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Jeonbuk area)

  • 심은별;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5호
    • /
    • pp.501-513
    • /
    • 2019
  • 본 연구는 전북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어린이집에 제공하는 2,432개의 간식메뉴의 유형과 학부모대상으로 간식의 품질특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고, 품질특성 간의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오전간식 메뉴의 79.1%는 1 품목, 오후간식의 59.1%는 2 품목, 메뉴의 스낵 음료 조합패턴은 오전간식은 F 66.1%, F+B 18.7%, 오후간식은 F+B 60%, F 40.1%이었다. 식품군별 제공비율 분석결과, 곡류는 오후간식의 87.2%, 채소류와 과일류의 오전간식 비율은 각각 21.7%, 42.4%, 고기 생선 달걀 콩류의 오전과 오후간식 비율은 15.9%, 15.7%, 우유 및 유제품류의 오전과 오후간식 비율은 34.1%, 36.6%이었다. 오전간식의 72.6%는 비조리, 오후간식은 85.6%가 조리메뉴이었다. 식품군패턴 분석결과, 오전간식은 F (31.6%), D(12.0%), F+D (10.1%), G (7.9%)의 순이며, 오후간식은 G(34.4%), G + D (27.4%), G + V (8.2%), G + M (6.3%)의 순이었다. 식품군 점수 (DDS)는 오전 1.46점, 오후 1.67점이었다. 식품군별 다빈도 메뉴품목 분석결과, 곡류는 오전 간식으로 죽류 51.8%, 오후간식은 밀가루 식품류 (34.5%), 빵류 (25.9%)이며, 고기 생선 달걀 콩류는 오전에 육류(28.7%), 콩류 (24.5%), 견과류 (23.6%)이며, 오후는 가공육류 (30.2%), 어패류 (24.3%)이었다. 채소류 중 숙채소는 오전 67.8%, 오후 86.0%이며, 과일류는 오전에 과일류(99.3%), 오후에는 주스류 (67.9%), 우유 및 유제품류는 주로 우유 (오전 71.6%; 오후 82.5%)이었다. 학부모들의 간식메뉴에 사전 인지수준은 5점 기준 4.09점, 자녀가 영아, 국 공립어린이집일 때 사전 인지수준이 높았다. 어린이집 간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5점 기준 4.06점, 직업이 있는 경우, 영아 및 국 공립어린이집일 때 만족도가 높았다. 간식의 19개 품질특성의 전체 중요도 4.42점, 전체 수행도 4.25점 이었다. 중요도가 가장 높은 특성은 '식재료의 위생' (4.79)이며, '제공 시간' (4.04)이 가장 중요도가 낮았다. 수행도는 '식재료의 위생' (4.38)이 가장 높으며, '제공 양' (4.13)이 가장 낮았다. 간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 분석결과, 1단계에서 설명해주는 변인은 '주 메뉴와의 균형' (${\beta}=0.219$, p < 0.05), 설명력은 33.1% (F = 11.662, p < 0.001)이었다. 2단계에서 위생특성 투입에 따른 총 설명력은 35.9%(F = 3.372, p < 0.05)이었다. '종사자의 위생'의 영향력이 가장 크며 (${\beta}=0.245$ p < 0.05), 그 다음은 '주 메뉴와의 균형' (${\beta}=0.208$, p < 0.05), '제공 양' (${\beta}=0.176$, p < 0.05)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전북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아동의 등원시간 및 활동정도를 고려하여 오전과 오후의 간식메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학부모들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메뉴구성 가이드라인과 비교할 때 메뉴의 다양성에서 개선이 필요하겠다. 따라서 향후 지역의 거점센터를 중심으로 간식메뉴 구성을 위한 기준마련이 필요하겠다.

국내 아동작업치료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Use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Tools in Relation to the Type of Therapy Institution)

  • 길영숙;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8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영역에서 기관별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국내 아동작업치료사 6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구성은 Lee, Hong과 Park(2018)와 Kim(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아동평가도구 내용에 맞추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3주 동안 Google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연구 분석은 일반적 특성, 평가관련정보, 평가도구 사용현황, 지식수준 및 교육 참여 욕구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평가도구 현황은 t-test를 사용하였다.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은 Excel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기관별 사용하는 평가도구 수는 복지관이 11.1개로 가장 많았고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의 경우 대학병원이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를 재활병원은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의원, 센터, 복지관, 어린이집은 순서 간의 차이는 있으나 Sensory Profile과 임상관찰 사용빈도가 많았다. 평가도구에 대한 지식수준과 교육참여 욕구에 대한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30명(44.8%)이 교육을 이수하지 않았으며, 42명(62.7%)이 대체로 자신의 지식수준을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매뉴얼 기반에 평가도구 사용의 중요성 질문에 66명(98.6%)이 긍정적인 답변에 응하였고, 66명(98.6%)이 평가도구 전문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아동작업치료영역 기관별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의 사용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기관별 다양한 평가도구 도입 및 다양한 평가도구 교육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근로복지공단 보육시설의 급식 운영현황과 학부모대상 품질 만족도 (Parents' Opinions on Foodservices in Daycare Centers of Korea'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Institute)

  • 김지헌;이영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02-113
    • /
    • 2013
  • 본 연구는 전국 근로복지공단 보육시설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급식에 대한 이용실태, 인식 및 급식에 대한 요구도와 수행도를 조사함으로써 보육시설 급식의 질 향상과 합리적인 운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학부모의 연령대는 30대가 85.8%로 가장 많았으며, 어머니 직업은 직장인이 75.1%, 전업주부가 22.7%로 나타났고, 가정의 월 평균 소득은 350만원 이상이 23.7%, 200~250만원이 18.6%이었다. 재원 중인 유아의 연령은 만 2세가 20.4%, 만 3세가 29.4%, 만 4세가 23.2%이었고, 재원기간은 1년 미만이 37.5%이었다. 영양사가 배치된 곳이 73.9%이었으며, 배치되지 않은 곳이 26.1%이었고 영양사는 모두 상근직이었다. 원아의 식사 장소는 교실이 50.0%, 전용식당과 교실을 동시에 이용하는 곳이 36.4%이었다. 1일 급식인원은 평균 133.3명이었고, 1인당 급식 단가는 평균 1745.43원으로 조사되었다. 급식에서의 식사로 인해 변화된 식습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맛이 없거나 처음 보는 음식도 먹게 됨이 44.8%, 편식이 없어짐이 36.1%, 식사예절이 좋아짐이 29.9%이었다. 급식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평균 4.70점(필요하다)으로 보육시설에서의 급식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급식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건강 향상을 위해서가 56.8%, 어린이집 종일제 프로그램 때문이 23.4%,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가 18.2%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의 급식 질 향상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안전한 식재료가 43.6%, 위생이 35.9%, 간식비 지원확대가 10.2%이었다. 보육시설 식사급식에의 요구사항에 대해 조사한 결과 유기농 식품 및 국산재료 사용이 60.9%, 제철재료사용이 9.2%, 조미료 사용 절제가 9.0%이었다. 간식급식에 대한 요구사항은 유기농 친환경 식재료 사용이 40.0%, 오전 간식으로 죽 제공이 35.1%, 오전 간식으로 제철과일 우유 제공이 13.4%이었으며 보육시설급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간식급식의 친환경 식재료의 사용 확대가 필요하겠다. 원아의 급식분량 지도에 대한 학부모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학부모(66.4%)는 원아가 일정량을 다 먹도록 지도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급식에 만족하게 되는 판단 기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유기농 국산 식재료 사용이 62.3%, 제철 식품 이용이 54.3%, 위생관리가 52.5%, 편이 식품의 사용제한이 48.4%이었다. 급식 품질특성 32개 속성들을 축소된 영역으로 구분한 것에 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식단, 급식효과, 시설, 위생, 식재료, 급식서비스 각 영역의 신뢰도 계수는 0.893~0.945로 문항의 내적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타당하게 구분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급식 품질특성에 대한 학부모의 중요도와 수행도 점수를 분석결과 속성과 영역 모두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평가되어 모든 품질에 대해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적절한 1인 분량' 속성만을 제외한 31개 속성에서 4점 이상(요구한다)의 점수를 나타냈으며 위생영역과 식재료 영역에 속하는 속성들의 중요도 점수가 높았다. 현재의 급식 품질을 평가한 수행도 역시 '적절한 1인 분량 제공' 속성만을 제외한 모든 속성에서 4점 이상(그렇다)의 점수를 나타냈으며 시설영역에 속한 속성들의 수행도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중요도와 수행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메뉴영역의 '영양적 균형', '간식의 영양적 균형'(p<0.01), '간식 종류의 다양성' (p<0.05), '식사하는 장소의 분위기'(p<0.01), '식탁 및 의자의 위생'(p<0.001)과 위생영역의 '위생 및 소독시설 보유'(p<0.01), '음식의 위생', '식수의 위생', '조리실 내부의 청결', '급식종사자의 위생'과 식재료 영역의 '안전한 식재료의 사용', '신선한 식재료의 사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속성이었고 영역 중에는 위생영역과 식재료 영역(p<0.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요도 점수가 수행도 점수보다 높아 개선이 요구되는 속성과 영역이었다. 근로복지공단 보육시설 급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식사급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점수는 평균 4.33점(5점 만점), 간식급식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03점이었다. 또한 32개의 급식 서비스의 품질속성 중 '영양적 균형(p<0.05)', '간식의 종류의 다양성(p<0.001)', '급식 시 교사와의 의사소통(p<0.05)'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선하고 안전한 식재료의 사용과 다양한 제철음식 사용을 위한 급식 단가의 인상과 균형 잡힌 간식 및 급식 제공을 위한 급식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식습관 교정 및 바른 위생습관을 위해 보육시설에서의 영양사에 의한 정기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영유아의 전문적인 급식 관리를 위해 영양사 배치기준 현실화가 필요하겠다. 또한 유기농 식품 및 국산재료 사용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고, 급식 식재료 질 관리가 요구된다. 중요도 점수와 수행도 점수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급식의 영양적 균형과 조화의 수행도 개선을 위해 식단 작성 시 영양소의 균형과 영유아 발달에 따른 기호도를 반영하여 개선시키도록 해야 하며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관리가 요구되며 식탁 및 의자의 안전성과 위생의 개선을 위해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전용식당이 없는 보육시설은 영유아기는 면역력이 약하여 세균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고 보육시설에서 장시간 아동들이 같이 생활하기 때문에 급식이 각 반에서의 급식 실시 시 위생 관리상 문제가 제기될 수 있어 별도의 식당이 설치되어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위생, 청결, 안전관리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전용식당 확보를 위한 개 보수 지원이 필요하다. 식단관리에서 식재료의 양 및 질의 관리, 영양가 분석, 맛, 비용관리와 조리원과의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표준 레시피에 의한 식단관리체계를 확립하고, 근로복지공단 보육시설 특성에 맞는 표준 레시피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근로복지공단 보육시설은 저소득 기혼여성근로자의 육아부담을 해소하여 지속적인 취업활동을 보장하고자 영세 중소기업체 밀집지역에 설치되므로 지원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보육시설의 현재 수준을 점검하며 개선하도록 하기 위한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평가인증지표 중 조리실과 식자재 관리 및 급식과 잔반관련항목이 3~4 항목으로만 되어 있고 그 항목 또한 구체적이지 않다. 따라서 급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급식품질 속성을 고려한 실질적인 평가 척도로의 개선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