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breach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3초

Volatility clustering in data breach counts

  • Shim, Hyunoo;Kim, Changki;Choi, Yang H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7권4호
    • /
    • pp.487-500
    • /
    • 2020
  • Insurers face increasing demands for cyber liability; entailed in part by a variety of new forms of risk of data breaches. As data breach occurrences develop, our understanding of the volatility in data breach counts has also become important as well as its expected occurrences. Volatility clustering, the tendency of large changes in a random variable to cluster together in time, are frequently observed in many financial asset prices, asset returns, and it is questioned whether the volatility of data breach occurrences are also clustered in time. We now present volatility analysis based on INGARCH models, i.e., integer-valued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time series model for frequency counts due to data breaches. Using the INGARCH(1, 1) model with data breach samples, we show evidence of temporal volatility clustering for data breaches. In addition, we present that the firms' volatilities are correlated between some they belong to and that such a clustering effect remains even after excluding the effect of financial covariates such as the VIX and the stock return of S&P500 that have their own volatility clustering.

개인정보 유출 시 통지.신고 프레임워크 및 가이드라인 (A Framework and Guidelines for Personal Data Breach Notification Act)

  • 이충훈;고유미;김범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69-179
    • /
    • 2011
  • 2011년 9월 시행되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르면,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추가적인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 시, 개인정보처리자는 정보 주체에게 개인 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의무적으로 통지를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46개주에서 실시하고 있는 현행 유출 통지법과 기타 국가의 주요 사례를 분석하여, 유출 통지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개인정보 유출통지 프레임워크는 (1) '통지의 대상이 되는 개인정보', (2) '통지 주체', (3) '통지 시점', (4) '통지 내용', (5) '통지 방법' 등 다섯 가지 중요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새로운 유출 통지 프레임워크에 기초하여, 향후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한다.

댐붕괴시 홍수가 하천하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ood Discharge due to Dam Breach on Downstream Channel)

  • 안상진;이준근;연인성;유형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66-16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a downstream channel is affected in case of hypothetical dam failure. The object of it is Hwacheon dam basin within the basin of North Han river. This study has analyzed the influence on Pyeonghwa(Peace) dam and Hwacheon dam supposing that the Imnam dam in North Korea on the upper stream of North Han river is failed hypothetically at the MFWL(maximum flood water level) by a deluge of rain. The model applied at the main study is NWS(National Weather Service) FLDWAV(Flood Wave Routing Model). Dam breach characteristics data are analyzed by making nine hypothetical scenarios on the basis of other studies on the shape and size of dam breach, time of failure and so on. Expected peak discharge through the breach is verified to have the propriety in comparison with empirical function which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ase of dam breach in the foreign countries and it is observed that peak discharge is more increasing, as the time of breach gets shorter and the breach width gets bigger. As a result of main study, even though the Imnam dam is hypothetically failed down, there has no influence on the Hwacheon dam of the downstream as the extended Pyeonghwa dam on the downstream controls the volume of discharge properly.

  • PDF

정보유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효과분석: 원천 및 장기성과 (Empirical Investigation on Information Breach Effect on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Focused on Source and Long Term Performance)

  • 권순만;한창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1-96
    • /
    • 2016
  • 본 연구는 정보유출에 따른 주가반응을 측정함으로 정보유출이 기업가치에 주는 효과를 분석한다. 정보유출기업은 사건발생 2일 이내에 평균 1.3%의 시장가치를 상실하여 98.9백만원의 손실액이 추산된다. 우리는 원천, 유형, 크기 등 다양한 정보유출 유형에 대한 비정상수익율을 분석하였다. 시장은 외부원천의 정보유출에 유의미한 반응을 하지 않지만, 내부원천의 정보유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반응을 보였다. 우리는 60일간의 장기 비정상수익율을 추정하였다. 60일 평균 누적비정상수익율과 매입보유 비정상수익율 모두 유의미한 시장반응을 보인다. 이로써 우리는 정보유출사건 이후 일관된 시장반응이 있다고 결말지을 수 있다. IT기업과 비IT기업의 시장반응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그러나 유출규모, 기업크기, 발생시점 등은 유의미한 시장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도시하천관리를 위한 연계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a integrated platform for urban river management)

  • 구본현;오승욱;구자섭;심규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6호
    • /
    • pp.471-48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관리를 위한 다양한 분석 및 평가 모델들과 데이터 수집 모듈을 적용한 연계플랫폼을 개발하였다. 연계플랫폼에 적용된 모듈은 데이터 수집 및 제공 모듈, 홍수분석 모듈, 하천 평가 모듈 그리고 제방 붕괴 시뮬레이션 모듈로 효과적인 도시하천 관리를 위하여 선별하여 적용하였다. 연계플랫폼은 분석과 평가 모듈에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수집하여 전처리 과정을 통해 정제하여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각 모듈의 입력자료로 가공하여 사용되며, 플랫폼을 통해 Open API로도 제공된다. 홍수분석 모듈은 도시 내부 및 하천에서 발생하는 홍수를 분석하여 대비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하천 평가 모듈은 다방면으로 하천을 평가하여 하천 계획수립 및 관리에 이용된다. 제방 붕괴 시뮬레이션 모듈은 가상의 붕괴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방 붕괴로 인해 발생 가능한 피해영역을 도출하여 대비책을 세우는 데 이용될 수 있다.

e-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활동이 소비자 행위에 미치는 영향 (Privacy Assurance and Consumer Behaviors in e-Business Environments)

  • 박재영;정우진;이상근;김범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17
    • /
    • 2018
  • 최근 대다수 온라인 기업들이 고객의 개인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들은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로 개인정보 제공을 꺼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을 통해 고객들에게 개인정보보호를 보장함으로써 신뢰를 높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활동이 소비자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실험 연구 결과,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혹은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이 프라이버시 신뢰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의 경우, 프라이버시 신뢰를 매개로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신뢰 성향이 높은(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를 통해 보다 높은 신뢰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와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의 필요성을 입증함으로써 기업 경영진의 정보보호 투자 관련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보호 투자와 침해사고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and Security Breach: Empirical Study on the Reverse Causality)

  • 신일순;장원창;박희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207-1217
    • /
    • 2013
  • 본 연구는 2010년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조사한 "기업의 정보보호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패널데이터로 재구성하여 정보보호 투자와 침해사고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보호투자가 침해사고를 줄인다는 통상적인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실증적인 근거를 발견하기 어려웠던 반면, 역의 인과관계, 즉 침해사고가 많은 기업이 정보보호 투자를 증가시킨다는 가설은 유의미하게 데이터에 의해 입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보호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다른 업종에 비해 과감한 사전적인 투자를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금융/보험업의 경우, 실증분석에 따르면 오히려 침해사고의 발생에 따라 사후적으로 정보보호 투자를 수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나타났다.

하천제방 붕괴 양상의 실험적 연구(II) - 축조재료 및 다짐도의 영향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llapse Phase of a River Leeves(II) -Effect of the Soil Properties and Compactness)

  • 이종태;이상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55-167
    • /
    • 2001
  • 본 연구는 하천제방의 마루폭, 비탈경사, 축조재료와 다짐도의 변화에 따른 월류로 인한 제방붕괴특성을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제방붕괴양상에 가장 영향을 주는 특성치는 다짐도, 축조재료, 마루폭, 비탈경사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제방붕괴로 인한 붕괴부의 세굴깊이 및 형태를 검토하였으며, 다짐도와 비탈경사 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제방축조시의 충분한 다짐과 적절한 축조재료의 선택이 제방의 붕괴지속시간을 지연시키고, 붕괴홍수량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붕괴지속시간, 붕괴폭의 제방고에 대한 비 및 붕괴부 측면경사 등은 흙댐에 대하여 Singh, Fread 및 MacDonald 등이 제안한 범위에 해당됨으로써 이들 기준을 제방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온라인 정보 보호: 소셜 미디어 내 정보 유출 반응 분석 (Online Privacy Protection: An Analysis of Social Media Reactions to Data Breaches)

  • 서승우;고영준;이홍주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9
    • /
    • 2024
  • 최근 개인 정보 유출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빈도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개인 정보 유출 사건에 대한 사회나 정보주체인 시민들의 반응은 크게 대두되고 있지 않다. 또한, 개인 정보 유출 사건들에 대한 정보 주체의 반응을 여러 해 기간동안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교하는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주요 개인정보 유출 사건들에 대한 정보주체의 소셜미디어 반응 변화를 분석하였다. 각 사건들이 발생한 직후 일주일간의 기간 동안 네이버 블로그에 작성된 총 1,317건의 포스팅을 수집하였다. 이 포스팅들에 대해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주제를 분석한 결과, 개인정보 유출, 해킹, 정보기술 등 5개의 주요 토픽이 도출되었다. 토픽 분포의 시간변화를 분석한 결과, 개인정보 유출 사건 직후에는 해당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토픽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개인정보 유출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토픽의 언급 비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인정보 유출 사건 발생 후 정보주체의 관심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사건에서 벗어나 관련 토픽으로 옮겨지고,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 또한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개인정보 유출 사건 이후 정보주체의 프라이버시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수리실험 및 수치모의를 이용한 제방붕괴 흐름해석 (Levee Breach Flow by Experiment and Numerical Simulation)

  • 김주영;이정규;이진우;조용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6호
    • /
    • pp.461-470
    • /
    • 2011
  • Abrupt and gradual levee breach analyses on the flat domain were implemented by laboratory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To avoid the reflective wave from the side wall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a large domain surrounded by waterway. A numerical model was developed for solving the two-dimensional gradual levee breach flow.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simul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the experimental data. However, even if the numerical schemes effectively replicated the trends of the observed water depth for the first shock,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for the second shock. In addition, even though the model considered the Smagorinsky horizontal eddy viscosity, the location and height of the hydraulic jump in the numerical simulation were not fairly well agree with experimental measurements. This shows the shallow water equation solver has a limitation which does not exactly reproduce the energy dissipation from the hydraulic jump. Further study might be required, considering the energy dissipation due to the hydraulic jump or transition flow from reflective 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