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age and fracture process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7초

탄성파 응용기술에 의한 CFRP 복합재료의 저속충격 손상역의 미시적 거동 특성 탐지 (DETECTION OF MICROSCOPIC BEHAVIOR OF LOW VELOCITY IMPACT DAMAGED CFRP LAMINATE UNDER TENSILE LOADING BY ELASTIC WAVES)

  • 이준현;권오양;이승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0-655
    • /
    • 1993
  • Carbon/epoxy composite(CFRP) coupons previously damaged by low velocity impact were tested under static tensile loading and microscope progress of damage was characterized by ultrasonic C-scan, Scanning Acoustic Microscopy (SAM) and Acoustic Emission(AE) techniques which were based on the application of elastic waves. The degress of impact damage has been correlated with the AE activity during monotonic or loading/unloading tensile testing as well as the result of ultrasonic test. The coupons were subjected to impact velocities ranged from 0.71 to 2.17 m/sec, which introduced the amount of damage rated as 0%, 10%, 30%, and 50% with reference to the total absorbed energy at fracture.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determine optimal AE parameters to characterize the microscopic fracture process and to predict the residual strength of composite laminates. AE RMS voltage during the early stage of tensile loading was found an effective parameter to quantify the degree of impact damage. It was also found that the Felicity ratio is closely related to the stacking sequence and the residual strength of the CFRP laminates.

  • PDF

SB발파에서 무장약 균열 유도공의 파단면 제어 유효성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uide Holes on the Fracture Plane Control in Smooth Blasting)

  • 김현수;김승곤;송영수;김광염;조상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1권3호
    • /
    • pp.235-2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SB발파에서 평활한 최종파단면과 발파손상영역을 제어하고, 동시에 발파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무장약 균열 유도공을 이용한 제어발파기법을 제안하였다. 무장약 균열유도공의 파단면 제어 유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반 SB발파와 무장약 균열 유도공 적용한 SB발파에서 암반 내 발생하는 파괴과정을 수치해석법으로 모사하여 파단면을 분석하였다. 제발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폭선에 의한 기폭을 고려하였으며, 무장약 균열 유도공을 중심으로 양쪽에 장약공이 설치된 일자유면 발파로 가정하여 암반의 파괴과정해석을 수행하여 SB발파에서 무장약 균열 유도공에 의한 파단면 형성 기구를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격이 40cm 이하에서 무장약 균열 유도공을 사용한 경우가 낮은 파단면 거칠기를 보여 파단면 제어 효과가 있음을 입증 하였다.

SEM을 이용한 출토 견섬유의 손상 형태에 관한 연구 (Fracture Morphology of Degraded Historic Silk Fibers Using SEM)

  • 배순화;이미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67-675
    • /
    • 2013
  • After analyzing excavated $17-18^{th}$ century silk fibers throug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 discovered seven different kinds of fracture morphology. Using Morton & Hearle fiber fracture morphology, we classified the findings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Type I is tensile failure resulting from brittle fracture, granular fracture, and ductile fracture. Type II is fatigue failure caused by tensile fatigue, flex fatigue, and axial split (fibrillation). Type III is bacterial deterioration discovered only in excavated artifacts. Type IV is a combination of the three above. Humid underground conditions and the infiltration of bacteria caused the fibers to swell and weaken its interfibrillar cohesion. Fractures occur when drying and processing an excavated artifact that is already in a fragile condition. Therefore, one must minimize damage through a prompt cleaning process and make sure that the least possible force is exerted on the fabric during any treatment for repair and exhibition.

음향방출 기법을 이용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정량적 손상평가 (Quantitative Damage Evaluation of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

  • 이영오;윤여진;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57-464
    • /
    • 2009
  • 섬유는 가교작용에 의한 시멘트 복합체의 파괴를 조절할 수 있는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중요한 재료로 섬유의 혼입률에 따라 다른 파괴메커니즘을 나타내기도 한다. 일반적인 연구에서 섬유를 보강한 시멘트 매트릭스의 마 이크로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파괴거동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섬 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파괴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복압축, 휨하중 하에서 음향방출 기법에 의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손상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체는 PVA 섬유를 0, 1.0, 1.5, 2.0%를 치환한 총 4개의 실험체를 계획하였 다. 기존 연구의 경우 기본적인 AE 신호에 의한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자들에 의해 제 시되었던 음향방출 기법을 이용한 정량적 손상평가를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펠리시티비에 의 한 손상평가의 경우 기존 연구 결과와 같이 모든 실험체에서 카이저 효과와 함께, 펠리시티비가 0.4~1.1로 나타나 펠리 시티비에 의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손상 정도를 평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휨 실험체의 경우 손상 을 평가하기 위하여 calm ratio, b-value 및 felicity ratio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손 상을 평가하는데 있어 음향방출 기법을 활용한 정량적 손상평가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차후 연구를 위한 기 본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한다.

복합재료 시험편에서의 AE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Acoustic Emission Measurement on the Composite Material (CFRP))

  • 최만용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1-27
    • /
    • 1991
  • Acoustic Emission was monitored during tensile test and loading-holding-unloa-ding cycle test for two types (notched and unnotched) of CFRP specimens. AE activities showed that the fiber breakage during tensile tests depended upon the specimen geometry. We obtained new AE parameter such as the ration (damage ratio= AE events during unloading test / AE events during loading test) and the felicity ratio from which we investigated dynamic fracture process of CFRP specimens. The damage ratio of AE events was shown to be a good indicator to distinguish the generated fracture mechanism, such as fiber breakage and delamination. Also, ultrasonic testing results after loading-holding-unloading cycle test were good agreement with AE test results to detect defects or fiber breakage.

  • PDF

노치 형상 및 장약조건의 변화에 따른 균열발생양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ack Generation Patterns with Change in the Geometry of Notches and Charge Conditions)

  • 박승환;조상호;김승곤;김광염;김동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1호
    • /
    • pp.65-72
    • /
    • 2010
  • 암반발파에서 평활한 파단면을 확보하고 굴착손상영역을 제어하기 위하여 노치장약공을 이용한 균열제어공법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치형상과 장약조건이 균열발생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날개형 노치장약공을 갖는 발파모델을 구축하고 동적 파괴과정 해석법을 이용한 암반 파괴과정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노치 길이가 증가함에 균열의 성장 길이가 증가하며 파단면의 거칠기가 감소하고 장약공 상하부에 손상균열의 발생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석결과로부터 노치 길이 및 개구 폭에 따른 응력집중계수의 변화 및 균열발생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균열제어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자동차 브레이크용 튜브의 끝단 성형 공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Forming Process of Tube-end for Brake of Automobiles)

  • 제원수;예상돈;민병현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5-160
    • /
    • 2008
  • End part of the brake tube formed with the shape of snake head is important for the braking of automobile in safety because it has to prevent crack, fracture and defects occurred during the forming process. Especially, the shape of tube end has influence on the ability of brake. Based on the procedure of process design, in this paper, the forming operation is done by finite element method and the design variables are analyzed by Taguchi method. Design variables such as the outer angle of tube end with the shape of snake head(A), the inner angle to make a hole at tube end with the shape of snake head(B) and the forming distance at tube end(C) are used. Optimization of design variables is performed to minimize the damage factor of the tube end occurred during the forming process. The value of damage factor of 0.327 was obtain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 like $A=114^{\circ},\;B=80^{\circ}$ and C=5.3mm, respectively.

  • PDF

Micromechanical 시험법과 전기저항 측정을 이용한 탄소섬유 강화 Epoxy-AT-PEI복합재료의 비파괴적 손상 감지능 및 계면물성 평가 (Interfacial Evaluation and Nondestructive Damage Sensing of Carbon Fiber Reinforced Epoxy-AT-PEI Composites using Micromechanical Test and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 Joung-Man Park;Dae-Sik Kim;Jin-Woo Kong;Minyoung Kim;Wonho Kim
    • Composites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62-67
    • /
    • 2003
  • Microdroplet 시험법과 전기저항 측정을 이용하여 탄소섬유강화 epoxy-AT-PEI 복합재료의 손상 감지능 및 계면물성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AT-PEI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지재료의 파괴인성은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한 에너지흡수 메커니즘에 의해서 계면전단강도 역시 증가하였다. Microdroulet 시험에서 순수 에폭시는 취성파괴 현상을 그리고 15 phr AT-PEI의 경우에는 파괴인성의 증가로 인해 연성 파단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경화 후에 열 수축에 의한 전기저항 변화는 AT-PEI 함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가변하중 하에서 순수 에폭시에 함침된 탄소섬유의 같은 응력까지의 도달시간과 기울기는 15 phr AT-PEI의 경우보다 더 빠르고 높았다. 경화과정과 가역적인 하중 하에서의 전기저항 측정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기지재료의 파괴인성과 잘 일치하였다.

가역식 냉간 압연기에서 전기강판의 에지 파단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Edge Fracture of Electrical Steel Strip in Reversible Cold Rolling Mill)

  • 변상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2호
    • /
    • pp.1619-1625
    • /
    • 2012
  • 전기강판은 모든 형태의 변압기나 모터의 코어 소재로 사용되고 냉간압연 공정에 의해 생산된다. 본 논문에서는 냉간압연 중에 발생하는 전기강판 에지에서의 파단을 예측할 수 있는 손상역학에 기초한 접근법을 제시할 것이다. 손상개시 판단조건으로 수직 인장응력 조건을 도입하였고 손상진전 기법으로 손상 에너지법을 채용하였다. 전기강판 에지의 초기 노치로부터 크랙 발생과 전파 모사를 위해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였다. 유한요소해석에서 요구되는 물성치는 일반적인 판형 시편과 노치가 있는 판형 시편을 이용하여 인장 테스트를 통해서 확보하였다. 에지 크랙은 롤 바이트의 입측에서 시작되고 롤 바이트 출측에서 급격하게 진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노치의 길이와 강판의 전방 텐션릴 하중이 커짐에 따라 에지 크랙의 성장길이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l 7075/CFRP 샌드위치 복합재료의 강도 및 손상특성에 대한 비파괴 평가 (Nondestructive Evaluation on Strength Characteristic and Damage Behavior of Al 7075/CFRP Sandwich Composite)

  • 이진경;윤한기;이준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6권11호
    • /
    • pp.2328-2335
    • /
    • 2002
  • A hybrid composite material has many potential usage due to the high specific strength and the resistance to fatigue, when compared to other composite materials such as fiber reinforced plastic(FRP) and metal matrix composite(MMC). However, the fracture mechanism of hybrid composite material is extremely complicated because of the bonding structure of metals and FRP. In this study, Al 7075 sheets and carbon epoxy preprags were used to fabricate the hybrid composite. Recently, nondestructive technique has been used to evaluate the fracture mechanism of these composite materials. AE technique was used to clarify the microscopic damage behavior and failure mechanism of A17075/CFRP hybrid composite. It was found that AE paralneters such as AE event, energy and amplitude were effective to evaluate the failure process of Al 7075/CFRP composit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 sign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fracture surface using optical microscope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