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 storage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4초

필댐 보수보강후 시간경과에 따른 효과 분석 (Effect analysis by time passage after Repair & Reinforcement of Fill Dams)

  • 김재홍;오병현;임은상;홍원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697-703
    • /
    • 2008
  • Excessive water leakage phenomenon happens through damage of nation core zone of about 17,000 storage of water facilities or collapse of dam is worried, is being damaged or enforce dilapidated fill dam core zone's repair reinforcement. Example that use grouting method of construction considering construc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etc. recently by repair reinforcement way about defect of dam is increased. Permeation grouting method repair & reinforcement of fill dam countermeasure is preferred in nation. Do that is economical to decide these repair reinforcement effect and grouting effect estimation method that do not give damage to dam is effective. Therefore, observing electricity resistivity Survey change of dam since grouting reinforcement using Electric resistivity Survey inquiry of seismic survey method in this research, Wished to verify grouting effect whether is possible as Electric resistivity Survey, and study whether integrity of dam through repair reinforcement defined.

  • PDF

다목적 댐의 홍수기중 가변제한수위 결정 방안 (Determination Scheme of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during Flood Period of Multipurpose Dam)

  • 권오익;심명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709-720
    • /
    • 1997
  • 다목적 댐의 홍수기 저수지 운영에 있어 댐 규정에 명시된 홍수조절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한정된 저수공간의 탄력적인 이용방안을 강구하여 추가적인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의 기상특성을 반영하여 홍수기를 시기적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홍수기간별로 각각의 이수목적수위와 치수목적수위를 검토하였다. 검토된 결과를 바탕으로 서로 상반되는 이수와 치수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으며, 이로부터 결정된 홍수기 댐 운영수위를 홍수기 가변제한수위라 정의하였다. 홍수기 가변제한수위를 결정하는 일련의 절차에 대해 대청 다목적 댐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자료 분석을 통한 농업용 호소의 수질관리방안 (Water Quality Management of Agricultural Lakes Through Analysis of Agricultural Water Quality Survey Network Data)

  • 김호일;김형중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9-29
    • /
    • 2012
  • The data of the agricultural water quality survey network was analyzed between from 1990 to 2010 in order to propose effective plan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lakes and the change of water quality.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items that can be a function of water depth such as dam height, dam length, dam height/dam length ratio and active storage/surface area of lake ratio. This means that, Korean agricultural lake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water depth. Water quality of the lakes that have lower than 5m of active storage/surface area of lake ratio (effective water depth) especially tends to get worse rapidly. The Chl-a and COD concentration of Korean agricultural lakes have a tendency to increase between June and September. Therefore, we recommend first taking a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ject for the lakes preformed watershed management project, and taking a preventive short-term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ject for the unperformed lakes before June among lakes that have lower than 5m of effective water depth.

  • PDF

Stability analysis on the concrete slab of the highest concrete-faced rock-fill dam in South Korea

  • Baak, Seung-Hyung;Cho, Gye-Chun;Song, Ki-Il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3권5호
    • /
    • pp.881-892
    • /
    • 2017
  • Design and management of concrete slabs in concrete-faced rock-fill dams are crucial issues for stability and overall dam safety since cracks in the concrete face induced by stress, shrinkage, and deterioration can cause severe leakage from the reservoir into the dam. Especially, the increase of dam height to a certain level to enhance the storage capacity and to improve hydraulic stability can lead to undesirable deformation behavior and stress distribution in the existing dam body and in the concrete slabs. In such conditions, simulation of a concrete slab with a numerical method should involve the use of an interface element because the behavior of the concrete slab does not follow the behavior of the dam body when the dam body settles due to the increase of dam height. However, the interfacial properties between the dam body and the concrete slab have yet to be clearly defined. In this study, construction sequence of a 125 m high CFRD in South Korea is simulated with commercial FDM software. The proper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 concrete slab are estimated based on a comparison to monitored vertical displacement history obtained from the concrete slab. Possibility of shear strength failure under the critical condition is investigated based on the simplified model. Results present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 concrete slab.

화천댐의 홍수량 및 수위에 미치는 평화댐의 영향 분석 (Influence of the Peace-Dam Construction on the Flood Discharge and the Flood Stage of the Hwachun-Dam)

  • 전병호;신현석;이재철;윤용남
    • 물과 미래
    • /
    • 제26권1호
    • /
    • pp.93-101
    • /
    • 1993
  • 화천댐 상류에는 최근 금강산댐과 평화댐이 건설되었으며 이로인해 홍수유출 및 수위에 큰 변화를 보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한 유역 자료를 사용하여 상류조건의 변화에 따른 화천댐으로의 유입량 및 수위 변화를 모의하였다. 모의를 위해서는 수문학적 추적 방법중 저류함수법과 수리학적 홍수 추적 방법중 미국 NWS의 DWOPER(Dynamic Wave Operational Model)Package를 사용하였다. 홍수 추적은 1) 금강산댐과 평화댐 건설전, 2) 금강산댐 유역제외(평화댐 건설전), 3) 금강산댐 유역제외(평화댐 건설후), 4) 평화댐의 수문폐쇄시등의 4가지 경우에 대하여 모의하였다. 그 결과 상류댐의 건설로 인해 화천댐 유역의 유입량과 수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화천댐의 최적운영을 위하여 새로운 댐 조작기준의 설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사료된다.

  • PDF

기간별 저수 관리를 통한 소규모 댐의 밭 관개용수 확보 (Securement of Upland Irrigation Water in Small Dams through Periodical Management of Storage Level)

  • 김선주;이주용;김필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3-12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securement of upland irrigation water using storage level management of small dams. However, it is not new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but securement of water using storage level management of existing dam. This study has enhanced the water utilization coefficient of dam, after extra available water had been calculated by application of periodical management storage level and this water is used to other water like the upland irrigation water demand. As the result of application, it can secure extra available water except the water requirement. Minimum extra available water except flood is about $20,000,000\;m^3$ and crop irrigation water demand of 10yr frequency is about $2,033,000\;m^3$ in Seongju. The utilization of crop irrigation water can be possible. And extra available water is about $3,102,000\;m^3$ in 2000, $1,959,000\;m^3$ in 2001 except flood period and crop irrigation water demand of 10yr frequency is about $2,272,000\;m^3$ in Donghwa. It is judged that extra available water cannot be used to crop irrigation water during the dry season in Dongwha. Consequently, when management storage level is determined and more efficient use of water is gotten like this study, water utilization coefficient will be enhanced.

치수능력 증대에 따른 저수지시스템 분석 (Analysis of Small reservoir system by Flood control ability augmentation)

  • 박기범;이순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1호
    • /
    • pp.995-1004
    • /
    • 2005
  • As a research establish reservoir safety operation for small dam systems. This study presents hydrologic analysis conducted in the Duckdong and Bomun dam watershed based on various rainfall data and increase inflow. Especially the Duckdong dam without flood control feature are widely exposed to the risk of flooding, thus it is constructed emergency gate at present. In this study reservoir routing program was simulation for basin runoff estimating using HEC-HMS model, the model simulation the reservoir condition of emergency Sate with and without. At the reservoir analysis results is the Duckdong dam average storage decrease $20\%$ with emergency gate than without emergency gate. Also, the Bomun dam is not affected by the Duckdong flood control augmentation.

댐하류하천정비사업의 댐 운영개선 효과 경제성 분석 (I) -용수공급 및 발전생산 회복편익 (Economic Analysis of Dam Operation Improvement by Dam Downstream River Improvement Works ( I )-Recovered Benefits of Water Supply and Hydropower Generation)

  • 이광만;이을래;유승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9호
    • /
    • pp.753-763
    • /
    • 2011
  • 댐의 계획과 설계단계에서 설정된 유효저수용량은 여러 가지 이유로 운영단계에서 잘 지켜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댐은 운영과정에서 내 외적인 주변여건의 변화로 본연의 운영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의 목표 달성을 위한 기능회복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하며, 관련 대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댐 하류하천의 부적절한 관리는 댐의 홍수조절기능과 하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국 댐의 다목적 기능을 정상화 시키고, 댐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댐하류하천정비가 댐사업자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댐하류하천정비의 미흡으로 홍수조절을 위해 제약되었던 댐의 유효저수용량의 회복에 의한 이수편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임하, 대청 및 용담댐 등 3개댐에서 용수공급량은 19.9백만$m^3$/년 그리고 발전량은 20.8GWh/년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이수효과 정보는 댐직하류하천정비사업의 전체 경제성 평가 및 비용배분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이수측면에서 평화의댐 활용방안 연구 (Utilization of Peace Dam for Conservation Purpose)

  • 이재응;임동선;이종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8호
    • /
    • pp.653-66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평화의댐을 화천댐과 연계운영하여 치수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이수측면에서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평화의댐은 2003년 2단계 축조공사 완료후 현재 댐 마루표고가 EL.225m에서 증축될 계획이어서 담수능력이 증가될 것이다. 만일 평화의댐 저수용량이 증대되고 수문이 설치된다면 치수뿐만 아니라 이수 측면에서도 한강수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운영 기법을 사용하여 평화의댐 상시만수위 변화, 화천댐 하절기 제한수위의 변화, 그리고 평화의댐으로 유입되는 유입량의 변화를 다양하게 고려한 저수지 운영을 실시하여, 신뢰도 95%시 화천댐 연평균발전량, 상시발전량, 용수공급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평화의댐 상시만수위와 화천댐 제한수위 증대시 발전량은 증가하나 유입량 감소시에는 발전량에 크게 변화를 미치지 않았다. 용수공급능력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유입량 감소시 약 35∼40%가량 감소하므로 일정수준을 유지하려면 평화의댐을 증고하여 상시만수위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합댐 접합부의 안정성 평가 (The Evaluation for Stability at Joint Part in Composition Dam)

  • 김재홍;오병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55-166
    • /
    • 2008
  • 연구대상댐의 우안부는 콘크리트구조물로 축조된 콘크리트 중력식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좌안부는 사력재료로 이루어진 사력댐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댐이다. 이련 형식의 댐 거동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국내는 물론 선진외국의 참고자료도 희소한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약 17,000의 저수시설물중 복합댐 형식은 지자체나 기타 기관에서 관리하는 생 공 용수댐의 경우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설혹 존재하더라도 시설물의 관리자료가 전무한 실정으로, 국내 다목적댐 중 유일한 복합댐을 선정하여 중력식댐과 사력댐 접합부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적 방법에 의하여 복합댐의 동적 상호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댐 축을 기준으로 모델링하여 정적(유사정적법, 수정진도법) 및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지진시 콘크리트댐과 사력댐 접합부의 지진 응답해석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