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st cell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6초

Primary Intracrani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Brain Stem with a Cerebellopontine Angle Epidermoid Cyst

  • Kim, Min-Su;Kim, Oh-Ly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4권6호
    • /
    • pp.401-404
    • /
    • 2008
  • Primary intracranial squamous cell carcinoma is extremely rare, with most cases arising from a preexisting benign epidermoid cyst. We report a rare case of primary intracrani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brain stem with a cerebellopontine angle (CPA) epidermoid cyst. A 72-year-old female suffered from progressive left hemiparesis, difficulty in swallowing, and right hemifacial numbness.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a high signal intensity (SI) lesion in the CPA region and an intra-axially ring-enhanced cystic mass in the right brain stem with low SI. Whole-bo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howed no evidence of metastatic disease. The histological findings revealed a typical epidermoid cyst in the CPA region and a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brain stem. We speculate that the squamous cell carcinoma may have been developed due to a chronic inflammatory response by the adjacent epidermoid cyst. The patient underwent a surgical resection and radiotherapy. After 12 months, she had no evidence of recurrence.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an odontogenic cyst

  • Yu Jae-Jung;Hwang Eui-Hwan;Lee Sang-Rae;Choi Jeong-Hee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4호
    • /
    • pp.235-238
    • /
    • 2003
  •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an odontogenic cyst is uncommon. The diagnosis of carcinoma arising in a cyst requires that there must be an area of microscopic transition from the benign epithelial cyst lining to the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We report a histopathologically proven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a residual mandibular cyst in a 54-year-old woman.

  • PDF

Mxi1 influences cyst formation in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 Yook, Yeon-Joo;Yoo, Kyung-Hyun;Song, Seon-Ah;Seo, Min-Ji;Ko, Je-Yeong;Kim, Bo-Hye;Lee, Eun-Ji;Chang, Eun-Sun;Woo, Yu-Mi;Park, Jong-Hoon
    • BMB Reports
    • /
    • 제45권3호
    • /
    • pp.189-193
    • /
    • 2012
  • Cyst formation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ADPKD and is caused by the abnormal proliferation of epithelial cells. Renal cyst formation disrupts renal function and induces diverse complications. The mechanism of cyst formation is unclear. mIMCD-3 cells were established to develop simple epithelial cell cysts in 3-D culture. We confirmed previously that Mxi1 plays a role in cyst formation in Mxi1-deficient mice. Cysts in Mxi1 transfectanted cells were showed by collagen or mebiol gels in 3-D cell culture system. Causative genes of ADPKD were measured by q RT-PCR. Herein, Mxi1 transfectants rarely formed a simple epithelial cyst and induced cell death. Overexpression of Mxi1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PKD1, PKD2 and c-myc mRNA relating to the pathway of cyst formation. These data indicate that Mxi1 influences cyst formation of mIMCD-3 cells in 3-D culture and that Mxi1 may control the mechanism of renal cyst formation.

치성낭종으로부터 유래된 편평상피세포암종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FROM RESIDUAL ODONTOGENIC CYST;Report of a Case & Review of Literatures)

  • 김용각;박형국;권혁진;현재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2호
    • /
    • pp.209-214
    • /
    • 1997
  • Odontogenic cysts are relatively common pathologic lesions found in the oral and perioral structures, but the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from those cysts are very uncommon. After first reported of that case in 1889 by Herman, Schwimmer collected 56 cases of previously reported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residual odontogenic cyst during about past one century. More than 60% of cases of carcinoma developing in odontogenic cysts arising in inflammatory periapical or residual cyst, and these tumors are usually well-differentiated with relatively good prognosis, and often are diagnosed as benign lesion in radiographic or clinical examination, therefore definitive diagnosis must be made by histologic examintation. We report a case and review the literatures, in our case, 78-year old woman were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diagnosed as residual odontogenic cyst. But in histologic examination after enucleation of lesion, mass of squamous cell carinoma were observed, but in other area, typical cyst wall and lining epithelium were observed. And in some area, carcinoma in situ and invading squamous cell carcinoma into the lining epithelium were also observed.

  • PDF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의 정자형성과정 중 생식세포, Cyst 상피세포 및 간질세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Germ Cells, Cyst Epithelial Cells and Interstitial Cells during Spermatogenesis of the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 전제천;정의영;양영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1-318
    • /
    • 2006
  • 한국 서해안에서 채집한 돌가자미 Kareius bicoloatus의 정자형성과정 중 생식세포, Cyst 상피세포 및 간질세포들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제1차 정모세포에서 연접사복합체(synaptonemal complex)들이 성숙분열 중 전기의 쌍사기에 출현하였다. 특히, 감수분열을 위한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로 알려진 간질세포(Leydig cell)들은 제1차 정모세포 및 정세포 가까이에서 뚜렷하게 출현하였다. 포상핵을 가지는 이들 간질세포들은 소엽 간 간질조직 내의 섬유모세포들에 의해 둘러싸여 출현하였다. 특히, 이들 세포들은 타원형 또는 구상의 미토콘드리아들을 가지는데, 미토콘드리아들은 관상 크리스테(cristae)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활면소포체와 여러 개의 공포들도 세포질 내에서 출현하였다. 성장 발달 중인 정소 내에서 정소소엽 간 간질조직에서 나타나는 잘 발달된 간질세포들(스테로이드호르몬분비세포)은 포상의 핵과 관상 크리스테를 갖는 미토콘드리아를 가지며, 활면소체를 갖는 형태적 특징을 보였다. 정자형성과정 중, 제1차, 제2차 정모세포들은 cyst 상피세포 (Sertoli cell)들에 인접하거나 부착하여 나타났다. cyst 상피세포들의 핵은 길게 신장된 타원형 또는 삼각형의 핵을 가지며 세포질 내에 여러 개의 미토콘드리아가 출현하였다. 성장 발달 중인 정소 내에서 제2차 정모세포들과 정세포 가까이에 위치한 cyst 상피세포의 세포질 내에는 지방적, 미토콘드리아 로제트(mitochondeial rosettes)들과 글리코겐 입자들이 나타났다. 특히, 후기 성장 중인 정소 내에서 cyst 상피세포의 세포질 내에는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작은 지방적 및 다량의 글리코겐입자들이 출현하였다. 정세포 발달(정자변태) 후기에 기부중심립이 핵막에 부착하며, 원위중심립은 편모의 기저체를 형성하고, 편모축사를 형성하였다. 정자 첨체는 다른 경골어류에서와 같이 첨체를 형성하지 않았다. 정자 두부의 길이는 대략 $3{\mu}m$ 정도이며, 미부길이는 약 $30{\mu}m$ 정도이다. 정자 미부편모의 축사(axoneme)는 주변에 9쌍의 주변이중미세관 (nine outer doublet microtubule)이 있고 중앙에 두 개의 중앙미세관(two centrial singlet microtubules)으로 구성되어 9+2구조를 나타내었다. 본 종의 정자는 체외수정 종들이 갖는 두 개의 axonemal lateral fin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 여러 단계의 생식세포들 가까이에서 출현하는 cyst 상피세포(Sertoli cell)들은 영양공급, 식세포작용, 스테로이드형성의 3가지 기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정소 발달단계 중 퇴화 회복기에 출현하는 cyst 상피세포들의 핵은 배정 후에는 모양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며, 식세포작용을 나타내는 여러 특징들이 cyst 상피세포의 세포질 내에서 나타나고 있어, cyst 상피세포들은 배정 후 방출되지 않은 생식세포들의 퇴화 흡수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상어, Neoditrema ransonneti의 정포 형성 및 구조 (Formation and Structure of the Spermatozeugmata of Neoditrema ransonneti(Perciformes: Embiotocidae))

  • 이정식;정선영;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45-150
    • /
    • 2001
  • 인상어 정소는 세관형이며, 각 정소 세관은 여러 개의 정소 소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낭 내의 생식 세포들은 동일한 발달 단계를 보였다. 정자형성과정 동안 소낭 세포에서는 잘 발달된 조면 소포체와 골지체가 관찰되었다. 소낭세포의 분비활성은 후기 정자변태시기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포 내의 정자결합물질은 정소 소낭 세포에서 분비되며, 하나의 정소 소낭에서는 하나의 정포가 만들어진다. 체외로 방출된 정포에서 피막구조는 관찰할 수 없었다. 투과전자현미경 표본에서 횡단된 하나의 정포 내에서는 1,500∼1,700개의 정자 미부가 관찰되었다.

  • PDF

생식주기(生殖周期)에 따른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 정소내(精巢內)의 cyst 세포(細胞) 및 간질세포(間質細胞)의 구조적(構造的), 조직화학적(組織化學的) 변화(變化) (Structural and Histochemical Changes in the Cyst cell and the Interstitial Cell in the Testis of a Teleost Hexagrammos agrammus associated with the Reproductive Cycle)

  • 정의영;이기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3-205
    • /
    • 1994
  • 1992년 1월 부터 12월 까지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의 생식주기(生殖周期)에 따른 정소내(精巢內)의 cyst 세포(細胞)와 간질세포(間質細胞)의 미세구조적(微細構造的) 변화(變化)를 알기위해 전자현미경 및 광학현미경적 조사를 하였다. 성숙(成熟)한 정소내(精巢內)의 cyst 세포(細胞)들은 haematoxylin에 미약하게 염색되나 세포의 크기는 커진다. 이때 이들 세포는 여러개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글리코겐 입자들 및 소수의 지방적(脂肪滴)들이 cyst 세포의 세포질내에 나타나고 있어, 성장기(成長期)의 cyst 세포들 보다 기능이 더 활발하게 보여 본(本) 종(種)의 cyst 세포는 영양공급, 분비 및 스테로이드 합성기능(合成機能)이 큰것으로 추정된다. 성숙(成熟) 및 산란기(産卵期)에 잘 발달된 간질세포(間質細胞)들은 관상의 크리스테를 갖는 간상(杆狀) 또는 구상(球狀)의 미토콘드리아들과 다수의 활변소포체들, 그리고 소포내(小胞內)의 미확인된 전자밀도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本) 종(種)의 간질세포(間質細胞)들에는 포상(胞狀)의 핵(核)과 관상의 크리스테를 갖는 미토콘드리아와 활면소포체가 나타나고 있어 steroid간질세포(間質細胞)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나, 간질세포(間質細胞)들의 Sudan black B에 대한 조직화학적 반응은 음성반응을 나타낸다.

  • PDF

상악골에 발생한 치성낭종에서 유래된 편평상피세포암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MAXILLA ORIGINATED IN ODONTOGENIC CYST - A CASE REPORT -)

  • 민경인;이주현;서경숙;김철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6호
    • /
    • pp.543-546
    • /
    • 2001
  • Primary intraosseous carcinoma(PIOC) is defined as a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within the jaw, having no initial connection with the oral mucosa. The squamous cell carcinoma within the bone can be presumably developed from residues of the odontogenic epithelium, therefore, it is seen in the jaw only. Metastatic carcinoma from another primary site should be excluded in the diagnosis of Primary Intraosseous Carcinoma. This is a case of 62-year-old man, who initially diagnosed as odontogenic cyst on maxilla, but its pathologic examination was diagnosed as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odontogenic cyst. We treated this patient with partial maxillectomy,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mRND),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 PDF

성대 낭종 내부에 발생한 후두 편평세포암종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Arising in the Intracordal Cyst)

  • 이선규;송민정;은영규;이영찬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8-50
    • /
    • 2021
  • More than half of patients presenting with hoarseness show benign vocal cord changes. However, in rare cases with benign mucosal lesions, it can be diagnosed as a malignant disease afte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 53-year-old man with a 30-pack-year smoking history was admitted for the evaluation of hoarseness, and using a laryngoscope, an enclosed, sac-like cystic lesion was detected on the midpoint of the right true vocal cord. The cystic lesion was deemed to be an intracordal cyst and treated with laryngeal microsurgery. However, pathological findings show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arising in the intracordal cyst, which is exceptionally rare. Therefore, even if a benign lesion is initially suspected, a biopsy must be performed on a patient with smoking history to confirm the diagnosis. In conclusion, we report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arising in the intracordal cyst.

MCCF 배지를 이용한 해산 섬모충 Vorticella sp.의 cyst형성 (Cyst formation of the marine ciliate, Vorticella sp. using MCCF medium)

  • 정민민;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7-319
    • /
    • 1999
  • 해산어 종묘 생산과정에서 초기 먹이생물로서 이용되는 로티퍼의 대량 배양조에서 Vorticella는 로티퍼의 증식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배양조내에서 로티퍼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유해한 섬모충과 세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이 연구에서는 Vorticella cyst의 형성과 보존에 MCCF(Marine Ciliate Cyst Formation) 배지가 이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Vorticella의 cyst 형성 과정은 MCCF 배지내의 사육수가 증발함에 따라 여과 섭식 활동의 정지, 배지 표면에의 잠복, 스파스모넴의 탈락 그리고 Cyst의 형성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1년에 걸친 장기 보존후에도 배지중에 해수를 첨가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 활동형 세포에의 복귀가 가능했다. 형성된 Vorticella cyst의 모양은 한쪽 길이가 다른 한쪽의 길이 보다 긴 타원형을 하고 있었으며, cyst의 크기는 장경이 $30.51 \pm1.98\;\mu$m (Avg. $\pm$ SD로 $28.35\~32.40\mu$m의 범위)이였고, 단경은 $28.89 \pm2.12\;\mu$m(범위는 $27\~32.40\mu$m)이였다. cyst로부터 활동형 세포로 복귀한 Vorticella sp.는 배양중인 배지내에 로티퍼 사육수의원심 분리 상등액을 넣어줌으로 16일간의 배양 기간중 최고 밀도가 912 $\pm$64개체/10ml (Avg. $\pm$SD)까지 증식하였다. 이 실험에서 Vorticella의 cyst 형성과 종 보존을 위하여 사용한 MCCF 배지는 cyst를 형성시키고 보존하는데 이용 가능한 배지임을 알 수 있다. 더욱이 Vorticella와 같은 해산 섬모충의 cyst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을 이 연구를 통하여 제시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