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ophosphamide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34초

황기 추출물의 전투여(前投與)가 Cyclophosphamide로 유발된 호중구 감소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stragali Radix on Neutropenia Caused by Cyclophosphamide)

  • 정승민;고성규;고호연;최유경;김동우;박종형;전찬용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
    • /
    • 2007
  • Objective : To study effects of Astragali radix on relieving neutropenia caused by cyclophosphamide. Method : We administered Astragali radixextracts for 7 days before injecting cyclophosphamide 200mg/kg to mice subcutaneously to cause neutropenia. The control group wasn't administered Astragali radix. One test group was administered Astragali radix extracts 500mg/kg and the other was administered 1000mg/kg. We observed WBC, neutrophil, lymphocyte, platelet, RBC, GOT, GPT, BUN, and creatine. Result : WBC, RBC, lymphocyte, neutrophil, and platelet improved more in mice administered Astragali radix extracts. Moreover, the 1000mg/kg group was more affected than the 500mg/kg group generally. GOT, GPT, BUN, and creatine weren't chang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It is shown that Astragali radix extracts can relieve neutropenia induced by cyclophosphamide and we conclude that Astragali radix will be useful for cancer treatment.

  • PD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Carboplatin and Cyclophosphamide in a Dog with Mammary Tumors Metastasized to the Lungs

  • Ryu, Jae-June;Kim, Ill-Hwa;Hwang, Dae-Youn;Kang, Hyun-Gu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395-399
    • /
    • 2016
  • In the present case, the effect and toxicity of carboplatin and cyclophosphamide chemotherapy combined with surgery of mammary tumors in a dog were examined. An 8-year old spayed female Beagle presented with a mammary tumor. Physical examination, radiography,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CT), and laboratory examination were performed. Metastasis of the mammary tumor was confirmed by CT scan. Chemotherapy using a combination of carboplatin and cyclophosphamide was initiated following surgery. The first cycle of chemotherapy was planned to last for 6 weeks; it was planned that carboplatin would be intravenously administered for the first week (1 day) and cyclophosphamide would be intravenously administered for the next 3 weeks (22 days). Between the end of cycle 1 and the beginning of cycle 2, based on CT,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and size of tumors were unchanged and the tumors had not spread to other organs. However, at the end of cycle 2 and the beginning of cycle 3, CT revealed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size of mass in the lung. Chemotherapy was associated with adverse effects such as lethargy, anorexia, leukopenia, and hair loss. In conclusion, this case showed that a combination of carboplatin and cyclophosphamide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new neoplasms as well as metastasi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did not improve the survival time. Although more cases are required, this chemotherapeutic procedure remains challenging.

Cyclophosphamide가 흰쥐 골수의 기질세포에서 Laminin-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Laminin-1 Expression in Bone Marrow Stromal Cells of Cyclophosphamide-treated Rat)

  • 이창훈;정호삼;백두진;황세진;김원규;윤지희;김종관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85-398
    • /
    • 2002
  • 골수내 정상적인 혈구형성은 줄기세포와 주위의 미세환경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의해서 좌우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때 미세환경은 성장요소, 기질세포 및 기질세포가 분비한 세포외기질의 복잡한 망상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골수의 세포외기질은 거대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구성요소의 일부인 당단백이 혈구형성의 조절에 주요한 요소가 된다고 많은 학자들이 주장해 왔다. 골수의 기질을 이루고 있는 망상세포, 지방세포, 섬유모세포, 혈관내피세포 및 혈관주위세포 등이 분비하는 세포외기질에 여러종류의 laminin 동형체가 함유되어 있으며 여러 종류의 혈구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저자는 골수내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빈번히 사용되는 cyclophosphamide가 골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험동물의 혈구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laminin-1의 발현의 변화를 골수의 기질세포에서 추적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SD계 흰쥐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여 cyclophosphamide를 체중 kg당 75 mg을 복강내로 1회 투여하고 3일, 1주, 3주 및 5주 후 희생하여 골수조직을 채취하여 면역조직염색법으로 염색하여 laminin-1의 골수내 분포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일부 조직은 전자현미경표본을 제작하여 1차 항체(rabbit anti-laminin)로 반응시킨 후 직경 12 nm의 금과립이 섞인 제2차 항체(biotinylated goat anti-rabbit IgG)로 다시 반응시키고 uranyl acetate로 단일염색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yclophosphamide 투여 후 3일 경과군의 흰쥐 골수조직은 정맥동이 확장 되었고, 일부 조직이 괴사되었으며, 혈구형성세포가 감소되었다. 망상조직과 지방세포사이의 조직에서 laminin-1의 면역반응이 강하게 나타났다. 2. Cyclophosphamide 투여 후 1주, 2주 및 5주 투여군의 골수에서 laminin-1의 약한 면역반응이 기질조직에 계속되었고 혈구형성세포의 수는 증가되었다. 3. Laminin-1의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금과립은 cyclophosphamide 투여 3일군의 골수 기질세포에서 가장 많은 수가 관찰되었고, 투여 1주, 3주 및 5주군에서는 금과립의 수량이 감소되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결과는 cyclophosphamide가 흰쥐에 투여되었을 때 골수의 혈구형성의 미세환경을 유지하는 기질세포의 laminin-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Paraquat의 편측 기관지 주입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화증에서 Cyclophosphamide와 Methylprednisolone의 투여에 따른 Endothelin-1의 발현의 변화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Cyclophosphamide and Methylprednisolone on Expression of Endothelin-1 in Unilateral Instillation of Paraquat-induced Pulmonary Fibrosis in Guinea Pigs)

  • 이소라;정혜철;김경규;이상엽;이신형;조재연;심재정;인광호;최종상;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6호
    • /
    • pp.775-785
    • /
    • 1999
  • 목 적 : 폐섬유화증 연구의 동물 실험 모델로 paraquat 중독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araquat로 유발된 폐섬유화에서 폐섬유화의 정도에 따른 Et-1의 변화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고 스테로이드나 cyclophosphamide의 치료에 따른 Et-1의 변화를 관찰하여 폐섬유화과정에 Et-1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수컷 Hartley 기니픽을 4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I 군은 paraquat를 투여하지 않은 군이었고, II 군용 paraquat를 폐에 주입한 후 cyclophosphamide와 methylprednisolone을 투여한 군이었고 III 군은 paraquat를 폐에 주입한후 methylprednisolone만 투여하였고, IV 군은 paraquat만 투입하였다. I 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에서는 PE50 polyethylene tube를 이용하여 paraquat를 우측 폐로 주입하였다. 섬유화의 정도는 H-E와 Masson's trichrome 염색을 통해서 섬유아세포의 침윤정도와 교원질의 침윤정도로 판단하였고, Endothelin-1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서 세포의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각 군의 평균값은 median 값으로 표시하였고, 각 군간의 비교는 Kruskal-Wallis oneway analysis로 시행하였다. 결 과 : 1. Paraquat에 의한 폐 섬유화 Cyclophosphamide나 methylprednisolone의 치료로 paraquat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교원질의 침윤은 cyclophosphamide와 methylprednisolone을 병합한 경우 paraquat만 투여한 군보다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5). 2. Endothelin-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Paraquat의 투여로 발생된 폐섬유화증에 대한 치료의 종류에 따른 Et-1의 발현은 methylprednisolone의 단독 투여로도 폐포의 대식세포를 제외한 기관지 상피세포, 제2형 폐포세포, 혈관 내피세포 및 섬유아세포 등에서 Et-1의 발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yclophosphamide와 methylprednisolone을병합한 군에서는 모든 세포에서 의미있게 Et-1의 발현이 감소하였고, 특히 폐포 대식세포와 섬유아세포에서는 methylprednisolone의 단독 투여한 III 군보다 의미있게 감소하였다(Table 2, p<0.05).

  • PDF

항암제에 의한 흰쥐 다형핵백혈구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및 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성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by Anticancer Agents in Rat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 강동준;송승희;김철호;이상길;강정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6
    • /
    • 2009
  • 항암제에 의해 흰쥐에서 다형핵 백혈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s, PMN) 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과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최근 자극유도인자에 의한 PMN의 호흡방출은 protein kinase C (PKC)의 활성, inositol phosphate transduction pathway의 활성, 그리고 intracellular [$Ca^{2+}$]와 관계가 있다고 밝혀졌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항암제(cyclophosphamide, cisplatin, tamoxifen, doxifluridine)중 일부는 화학치료제로써 비특이적으로 면역을 억제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암 치료 시 백혈구의 방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in vitro에서 각 항암제를 처리한 PMN을 배양하여 ROS와 NO의 생성변화와 이차적 신호전달계인 phospholipase C(PLC), D(PLD), PKC, tyrosine phosphorylation kinase (TPK)와 phosphatidylinositol-3 kinase의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PMN에 각각cyclophosphamide, cisplatin, tamoxifen, doxifluridine을 short term(${\leq}4hrs$) 처리시, formylmethionyl-leucy1-phenylalanine (FMLP) 자극에 의해 호흡방출의 증가가 나타났다. 반면, long term (8hrs) 처리 시, ROS의 생성은concentration-dependent 방법으로 감소되었다.

Cyclophosphamide에 의(依)한 mouse의 비장(脾臟)과 임파절(淋巴節)의 조직학적(組織學的) 변화(變化) (HISTOLOGICAL CHANGES OF MOUSE SPLEEN AND LYMPH NODE BY CYCLOPHOSPHAMIDE)

  • 정헌탁;하대유;정동규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62
    • /
    • 1978
  • 항암제(抗癌劑)로 잘 알려진 cyclophosphamide(CY)를 성숙(成熟)한 마우스에 체중(體重) kg당(當) 300mg을 복강내(腹腔內)에 투여(投與)하여 CY가 체중(體重), 비장중량(脾臟重量) 및 말초임파조직(末梢淋巴組織)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실험(實驗)하였다. CY는 마우스의 체중(體重)을 약간(若干) 감소(減少)시켰으나 체중(體重)은 곧 회복(回復)되었다. CY가 비장중량(脾臟重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현저(顯著)하였는데 초기(初期)엔 비장중량(脾臟重量)은 감소(減少)되었으나 곧 회복(回復)되고 그 후(後) 정상(正常)보다 더 증가(增加)되었는데 그 증가(增加)는 CY투여(投與) 20일(日)이 지나서야 정상(正常)으로 되돌아왔다. 비장(脾臟) 및 임파절(淋巴節)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형태(形態)에 미치는 CY의 영향(影響)은 다양(多樣)하였다. 즉(卽), 흉선의존세포(胸線依存細胞)가 위치(位置)하는 비장(脾臟)의 periarterial lymphatic sheath와 임파절(淋巴節)의 paracortex는 골수유래세포(骨髓由來細胞)가 위치(位置)하는 follicles보다 1일(日) 내지(乃至) 2일(日) 늦게 소실(消失)되었으며 비장(脾臟)의 비대(肥大)가 최고(最高)에 달(達죠)하였을때 비장(脾臟)이나 임파절(淋巴節)의 구조(構造)는 동일(同一)한 임파양세포(淋巴樣細胞)로 구성(構成)된 interstitial tissue로 대치(代置)되어 있었다. 비장(脾臟)의 중량(重量)이 정상화(正常化)되어감에 따라 비장(脾臟)이나 임파절(淋巴節)의 구조(構造)가 정상화(正常化) 되어갔다. 이와 같은 본(本) 실험(實驗)의 소견(所見)은 CY는 골수유래세포(骨髓由來細胞) 뿐만 아니라 흉선의존세포(胸線依存細胞)에도 영향(影響)을 미친다고 사료(思料)된다. 저자(著者)들은 전보(前報)에서 CY에 의(依)한 지연성과민반응(遲延性過敏反應)의 항진(亢進)은 suppressor T cell의 제거(除去)에 기인(基因)한 것이라고 시사(示唆)하였는데 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는 이를 뒷받침해준다고 사료(思料)되었다.

  • PDF

Cyclophosphamide와 Prednisolone 병합요법에 치료반응을 보인 다발성근염에 동반된 간질성폐질환 1예 (Interstitial Lung Disease Associated with Polymyositis: Response to Cyclophosphamide and Prednisolone Combination Treatment)

  • 문종호;박준영;이상무;김현태;어수택;정연태;김용훈;박춘식;이경수;강대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197-202
    • /
    • 1993
  • 저자들은 37세의 여자에서 스테로이드치료에 저항을 보이다가 prednisolone과 cyclophosphamide 병합투여로 치료반응을 보인 간질성폐질환을 동반한 다발성근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효소유도제 및 glutathione이 전배자배양된 랫드태자에서 cyclophosphamide의 독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zyme Inducers and Glutathione on the Embryotoxicity of Cyclophosphamide in Cultured Rat Embryos)

  • 한순영;신재호;권석철;강명옥;이유미;김판기;양미라;박귀례;장성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31-36
    • /
    • 1995
  • Cyclophosphamide (CP) must be enzymatically activated by cytochrome P450(CYP)-linked mixed-function oxidation pathway to be either mutagenic or teratogenic. Influences of alterations in hepatic mixed-function oxidase acitivity and glutathione (GSH) content on the embryotoxicity of CP were studied in rat whole embryo culture system. The embryotoxicity of CP was compared using rat S-9 fraction (S-9) pretreated with chemicals inducing different CYP isozymes, acetone (ACE), Aroclor 1254 (ARO), $\beta$-naphthoflavone (NAF) and phenobarbital (PHE). When 10.5 day embryos were cultured in the immediately centrifuged rat serum for 48 hrs using general gas char{ging schedule, CP$(40{\mu}g/ml)$ with S-9 induced by either NAF or PHE increased the incidence of realformations and significantly decreased embryonic growth compared with the non-induced S-9 group. ACE or ARO induced S-9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bryonic growth. These data suggest that PB and/or NAF inducible CYP isoenzymes are mainly involved in the activation of CP. To examine the effect of GSH on the embryotoxicity of CP, 10.5 day embryos were exposed to CP and S-9 after preincubation with 10 mM of GSH for 3 hrs. In the GSH pretreated group the growth of embryo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the untreated group, suggesting that GSH may protect embryos in culture from some toxic effects of CP.

  • PDF

신증후군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충격요법과 경구용 면역억제제 치료 중 발생한 가역성 후백질뇌병증 1례 (A Case of Reversible Posterior Leukoencephalopathy Syndrome during Methylprednisolone Pulse and Cyclophosphamide Therapy in a Child with Nephrotic Syndrome)

  • 서주희;신정욱;김지홍;윤춘식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2호
    • /
    • pp.245-250
    • /
    • 2005
  • 저자들은 정맥 주사용 스테로이드 충격요법과 경구 cyclophosphamide 치료를 받던 신증후군 환아에서 가역성 후백질뇌병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항암제투여가 골절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CYCLOPHOSPHAMIDE ON THE HEALING PROCESS OF THE FRAGURE IN THE MOUSE)

  • 김용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6권1호통권104호
    • /
    • pp.43-50
    • /
    • 197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yclophosphamide on the healing process of fractures of the mice. Tweny-one young adult male mice were used. All of them were experimentally fractured in the left mandibular body areas, and Cyclophosphamide 0.1mg. per 30gr. body wt. was administrated intramuscularly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mice of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1,3,5,7,10,14, and 21st day after operations and microscopic slides were made. The author has observed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pecific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the early stage (1~5th day after operation) of the healing process of the mandibular fracture. 2. In the healing process of fractures 7-10th day after operation, the fibrous tissure formation and osteoblastic activity were poor in the experimental groo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 In the healing process of fractures 14-21th day after operation, the connective tissue and new bone formation were very poo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4. On the whole, cyclophosphamide affected the experimentally fractured wound to delay healing in the jaw bone of the m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