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in B1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8초

WTAP 단백질의 안정성을 통한 CCDC98 단백질의 cyclin B1 발현 조절 (Coiled-Coil Domain-Containing Protein 98 (CCDC98) Regulates Cyclin B1 Expression by Affecting WTAP Protein Stability)

  • 오윤정;이은희;이일규;김경수;김홍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067-1075
    • /
    • 2011
  • CCDC98 단백질은 BRCA1-A 복합체를 DNA 손상 부위로 이동시킴으로써 DNA손상에 의하여 유도되는 G2/M cell cycle checkpoint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CCDC98 단백질의 기능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CCDC98 단백질의 기능을 밝히고자 tandem affinity purification 방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Wilms tumor 1-associating protein (WTAP)을 CCDC98의 결합 단백질로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단백질의 결합을 in vivo and in vitro binding assays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CCDC98 단백질이 cyclin B1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WTAP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CCDC98 단백질이 새로운 세포주기 조절자라는 것을 증명하는 결과이다.

HL60 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Apoptosis와 세포 주기 관련 유전자의 발현 변화 (Expression of Cell Cycle Related Genes in HL60 Cells Undergoing Apoptosis by X-irradiation)

  • 김진희;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77-388
    • /
    • 1998
  • 목적 : 방사선조사에 의한 apoptosis에서 나타나는 각종 세포주기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RNA와 단백 수준에서 분석하여 방사선조사에 의한 apoptosis에서의 세포주기 조절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서 방사선치료의 기전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promyelocytic leukemia 세포주인 HL60 세포주를 배양하여 선형가속기(6MV X-선)로 세포에 8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조사후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Apoptotic DNA Fragmentation Assay법을 이용하여 apoptosis를 확인하고 동시에 세포주기관련 유전자들(cyclinA, cyclin B, cyclin C, cyclin Dl, cyclin E, cdc2, CDK2, CDK4, $p16^{INK4a}$, $p21^{WAF1}$, $p27^{KIP1}$, E2F, PCNA와 Rb)을 단백질과 RNA 수준에서 분석하기위해 western blot analysis와 반정량적 RT-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8 Gy의 방사선 조사에 의해 HL60세포에서 apoptosis가 관찰 되었다. 방사선 조사군에서 cyclin A단백은 조사후 48시간까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cyclin E, E2F, CDK2 및 Rb 단백은 증가되었다가 다시 감소를 보였다. Rb단백의 증가는 대부분 비활성형인 ppRb (phosphorylated Rb protein)의 양적변화에 의한 것이었다. cyclin Dl, PCNA, COC2, CDK4, $p16^{INK4a}$단백은 발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21^{WAF1}$$p27^{KIP1}$ 단백은 검출되지 않았다. cyclin A, B, C mRNA는 방사선 조사 직후 감소하였다가 12시간부터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cyclin Dl mRNA는 조사후 바로 증가하여 48시간에 다시 감소하였다. cyclin E mRNA는 조사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CDK2 mRNA는 3시간째는 감소하다가 6시간부터 많은 증가를 보였으며 CDK4 mRNA는 조사후 6-12시간에 급격한 발현증가를 보였다. $p16^{INK4a}$ RNA는 발현의 변화가 없었으며, $p21^{WAF1}$$p27^{KIP1}$ RNA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방사선 조사에 의한 HL60세포의 apoptosis와 세포의 Gl/S transition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Rb단백의 증가와 활성형 Rb단백의 감소 현상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E2F의 비정상적인 과발현 및 cyclin E/CDK2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p21^{WAF1}$$p27^{KIP1}$는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에는 관여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이 암세포의 성장과 세포주기 조절단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icium erinaceus Extract on Cancer Cell Growth and Expression of Cell Cycle Associated Proteins)

  • 박선희;장종선;이갑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31-93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항암효과를 가진 성분을 포함하여 여러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노루궁뎅이 버섯(Hericium erinaceus)을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저해효과와 세포주기 조절자인 cyclin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노루궁뎅이 버섯의 메탄을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의 사람의 암세포주인 HT29와 HepG2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를 MTT assay로 검토한 결과 노루궁뎅이 버섯의 메탄을 추출물과 헥산, 클로로포름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들이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사람의 정상 간세포인 Chang cell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노루궁뎅이 버섯 메탄올추출물이 간암 세포주인 HepG2의 cyclin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노루궁뎅이 버섯 메탄을 추출물이 cyclin A와 D 단백질 발현을 다소 감소시켰으며 특히 cyclin B1에 대한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 1 mg/mL 농도에서 48시간 처리 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30% 정도까지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노루궁뎅이 버섯은 세포주기 중 G2기에서 M기로의 전환에 관여하는 cyclin B1 단백질의 발현을 크게 감소시키므로 세포주기 진행을 차단시켜 간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Discovery of Anticancer Activity of Amentoflavone o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Bioinformatics, Structure-Based Virtual Screening, and Biological Evaluation

  • Chen, Lei;Fang, Bo;Qiao, Liman;Zheng, Yihu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6호
    • /
    • pp.718-729
    • /
    • 2022
  •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is the most common primary esophageal malignancy with poor prognosis. Here, due to the necessity for exploring potential therapies against ESCC, we obtained the gene expression data on ESCC from the TCGA and GEO databases. Venn diagram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common targets. The 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was constructed by Cytoscape software, and the hub targets were extracted from the network via cytoHubba. The potential hub nodes as drug targets were found by pharmacophore-based virtual screening and molecular modeling, and the antitumor activity was evaluated through in vitro studies. A total of 364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in ESCC were identified. Pathway enrichment analyses suggested that most DEGs were mainly involved in the cell cycle. Three hub targets were retrieved, including CENPF, CCNA2 (cyclin A), and CCNB1 (cyclin B1), which were highly expressed in esophageal cancer and associated with prognosis. Moreover, amentoflavone, a promising drug candidate found by pharmacophore-based virtual screening, showed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effects and induced G1 in esopha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ed that amentoflavone could be a potential cell cycle inhibitor targeting cyclin B1, and is therefore expected to serve as a great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벼의 엽신 및 캘러스에서 Cytokinin 유도성 A-type 및 C-type Cyclin 유전자의 발현 분석 (Expressions of A-type and C-type Cyclins Induced by Exogenous Cytokinin Treatment on Leaf Blades and Calli of Rice (Oryza sativa L.))

  • 이홍근;최승호;황현식;박정안;이택견;박종범;오정균;이석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15-21
    • /
    • 2005
  • 세포 주기의 조절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cyclin 유전자들을의 발현 양상을 벼에서 유도한 캘러스와 엽신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특히 캘러스를 이용한 분석결과 2,4-D와 kinetin이 조합된 배지 러에 7일 동안 암 배양한 후 이를 cytokinin만이 첨가된 배치로 옮겼을 때 A-, B-, C-type cyclin 유전자들의 발현이 더 증가되었다. 또한 벼실생의 각 기관에서 cyclin 유전자의 발현양을 조사한 결과 다른 기관들에 비해 잎에서 A-, B, C-type cyclin 유전자들이 더 많이 발현하였으나 잎에 cytokinin의 종류와 농도를 다르게 처리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한 결과에서는 zeatin을 제외하고는 cytokinin의 종류와 양이 cyclin 유전자들의 발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벼 cyclin유전자의 발현과 식물생장조절제 처리와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Generation of knockout mouse models of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s by engineered nuclease-mediated genome editing

  • Park, Bo Min;Roh, Jae-il;Lee, Jaehoon;Lee, Han-Woong
    • Laboraroty Animal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264-269
    • /
    • 2018
  • Cell cycle dysfunction can cause severe diseases, includ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cancer. Mutations in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s controlling the G1 phase of the cell cycle are prevalent in various cancers. Mice lacking the tumor suppressors $p16^{Ink4a}$ (Cdkn2a,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a), $p19^{Arf}$ (an alternative reading frame product of Cdkn2a,), and $p27^{Kip1}$ (Cdkn1b,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1b) result in malignant progression of epithelial cancers, sarcomas, and melanomas, respectively. Here, we generated knockout mouse models for each of these three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s using engineered nucleases. The $p16^{Ink4a}$ and $p19^{Arf}$ knockout mice were generated via transcription activator-like effector nucleases (TALENs), and $p27^{Kip1}$ knockout mice via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CRISPR-associated nuclease 9 (CRISPR/Cas9). These gene editing technologies were targeted to the first exon of each gene, to induce frameshifts producing premature termination codons. Unlike preexisting embryonic stem cell-based knockout mice, our mouse models are free from selectable markers or other external gene insertions, permitting more precise study of cell cycle-related diseases without confounding influences of foreign DNA.

Anticancer Activity of Sageretia theezans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Kim, Ha Na;Park, Su Bin;Kim, Jeong Dong;Jeong, Hyung Jin;Jeong, Jin Bo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8-108
    • /
    • 2018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cancer effect of extracts of leaves (ST-L) and branches (ST-B) from Sageretia theezans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ST-L and ST-B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SW480. ST-L and ST-B decreased cyclin D1 protein level through the induction of cyclin D1 proteasomal degradation via $GSK3{\beta}$-dependent threonine-286 phosphorylation of cyclin D1. In addition, ST-L and ST-B increased HO-1 protein through p38, ROS and $GSK3{\beta}$-dependent Nrf2 activ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L and ST-B may have grea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anti-cancer drug to treat human colorectal cancer.

  • PDF

Role of Shc and Phosphoinositide 3-Kinase in Heregulin-Induced Mitogenic Signaling via ErbB3

  • Kim, Myong-Soo;Koland, John 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4권6호
    • /
    • pp.507-513
    • /
    • 2000
  • ErbB3/HER3 is a cell surface receptor which belongs to the ErbB/HER subfamily of receptor protein tyrosine kinases. When expressed in NIH/3T3 cells, ErbB3 can form heterodimeric coreceptor with endogenous ErbB2. Among known intracellular effectors of the ErbB2/ErbB3 ar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phosphoinositide (PI) 3-kinase. In the present study, we studied relative contributions of above two distinct signaling pathways to the heregulin-induced mitogenic response via activated ErbB3. For this, clonal NIH-3T3 cell lines expressing wild-type ErbB3 and ErbB3 mutants were stimulated with $heregulin{\beta}_1$. While cyclin D1 level was markedly high and further increased by treatment of heregulin in cells expressing wild-type ErbB3, the elimination of either Shc binding or PI 3-kinase binding lowered both levels. This result was supported by the reduction of cyclin $D_1$ expression by preteatment with MAPK kinase inhibitor or PI 3-kinase inhibitor before stimulation with heregulin. In accordance with the cyclin $D_1$ expression, elimination of either Shc binding or PI 3-kinase binding reduced the heregulin-induced DNA synthesis and cell growth rate. Our results obtained by the comparison of wild-type and ErbB3 mutants indicate that the full induction of the cell cycle progression through $G_1/S$ phase by ErbB3 activation is dependent on both Shc/MAPK and PI 3-kinas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 PDF

옥수수 성 결정에 있어서 세포주기 유전자들의 시간적, 공간적 조절 (Temporal and Spatial Regulation of Cell Cycle Genes during Maize Sex Determination)

  • 이중로;김종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28-833
    • /
    • 2006
  • 옥수수 (Zea mays L.) 꽃은 암술 세포사멸과 수술 세포 성장정지 등을 통하여 양성상태에서 단성 상태로 성결정 과정을 완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옥수수 성 결정 동안 세포주기 유전자들의 시간적, 공간적 발현조절을 조사하였다. 세포주기의 양성조절 인자 즉 cyclin A, cyclin B, cyclin dependent kinase A (CDK A), Mad2 유전자들은 성장하는 암술과 수술에서 높게 발현되는 반면 죽어가는 암술과 성장이 정지되는 수술에서는 이들의 발현이 사라졌다. 이와 반대로, Wee1과 CDK inhibitor (CKI) 같은 세포주기 음성 조절유전자들은 야생형 암꽃과 tasselseed2 돌연변이 수꽃의 성장이 정지하고 있는 수술에서 발현이 증가되었지만, 흥미롭게도, 이들 유전자들은 죽어가는 암술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들을 통하여 옥수수 성 결정 과정 중에서 암술 세포사멸과 수술세포 성장정지는 세포주기조절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성장이 정지하는 수술과 죽어가는 암술에서의 음성 세포주기 조절 유전자들의 다른 발현양상은 이 둘의 성 결정 메커니즘이 구별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Anticancer Activity of the Branch Extracts from Vaccinium oldhamii through Cyclin D1 Proteasomal Degradation in Human Cancer Cells

  • Park, Su Bin;Kim, Ha Na;Park, Gwang Hun;Son, Ho-Jun;Eo, Hyun Ji;Song, Jeong Ho;Song, Hun Min;Park, Ji Ae;Jeong, Jin B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8-227
    • /
    • 201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extracts from Vaccinium oldhamii on cell proliferation and the regulatory mechanisms of cyclin D1 protein level in human cancer cells. The branch extracts from Vaccinium oldhamii (VOB) showed higher inhibitor effect against the cell growth than leave extracts (VOL) and fruit extracts (VOF) in human colorectal cancer, breast cancer, prostate cancer, non-small lung cancer, pancreatic cancer and liver cancer cells. In addition, VOB decreased cyclin D1 level at both protein and mRNA level. MG132 treatment attenuated VOB-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A point mutation of threonine-286 to alanine attenuated cyclin D1 degradation by VOB. In addition, the inhibition of nuclear export by leptomycin B (LMB) attenuated cyclin D1 degradation by VOB. But, the treatment of PD98059 (ERK1/2 inhibitor), SB203580 (p38 inhibitor), SP600125 (JNK inhibitor), LiCl ($GSK3{\beta}$ inhibitor), LY294002 (PI3K inhibitor) or BAY 11-7082 ($I{\kappa}K$ inhibitor) did not affect VOB-induced cyclin D1 degradation. In conclusion, VOB induced cyclin D1 degradation through redistribution of cyclin D1 from the nucleus to cytoplasm via T286 phosphorylation of cyclin D1, which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