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ticle layer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양파(Allium cepa) 외피 추출물이 모발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ltrastructure with Onion (Allium cepa) Skin Extracts on Human Hair Dyeing)

  • 나윤영;정민주;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1호
    • /
    • pp.35-41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양파 외피를 분상의 상태로 제조하여 모발염색의 최적에 조건을 규명하기 위해 V.H.에 4회 탈색 (B.H.)하여 시험모를 제작한 후 양파 외피 추출물을 시간, 온도, 농도, pH, 매염제 처리별로 조건을 달리하여 모발의 염색성과 기계적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모발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모표피층이 완전 용해된 B.H.에 비해 양파 외피 추출물로 염색한 모발에 경우 약간 들떠있는 상태는 보이지만 모표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부터 양파 외피에서 추출한 천연 색소는 분상의 염모제로 제조 시 대량 생산과 보관에 있어 효과적으로 실용화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Ultrastructure of the Developing Epicarp in Fruit of Nerium indicum Mill. (Apocynaceae)-I

  • Thomas, Vinoth;Dave, Yash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1-8
    • /
    • 1991
  • A sequential sub-cellular study of the epicarp of Nerium indicum has been performed. Outer epidermis of the ovary wall is covered externally with a thin cuticle. Cytoplasm possesses most of the cell organelles in the ovary stage itself. Outermost zone of the pericarp is the epicarp, developing from the outer epidermis. In the developing fruit, cell organelles are found with its maximum intensity. In mature fruit, the epicarp becomes multilayered due to additional development of few collenchymatous cells close to the outermost layer. Epicarpic cell possesses large central vacuole, around which a thin layer of cytoplasm is present. Number of cell organelles are considerably reduced in the mature fruit. In the ovary stage starch grains are electron transparent, while in the mature fruit it is fruit it is electron transluscent.

  • PDF

FT-IR Study of Dopant-wool Interactions During PPy Deposition

  • Varesano Alessio;Aluigi Annalisa;Tonin Claudio;Ferrero Franco
    • Fibers and Polymers
    • /
    • 제7권2호
    • /
    • pp.105-111
    • /
    • 2006
  • Coating the fibre surface by in situ oxidative chemical polymerisation of polypyrrole (using $FeCl_3$ as oxidant) is a readily industrial applicable way to give electrical properties to wool with good ageing stability [1], although pre-treatments are required to avoid damage of the cuticle surface due to the acidic condition of the process. FT-IR and EDX analysis reveal that organic sulphonates and sulphates, used as dopants, are absorbed by wool, while chlorine ions are preferably embedded on the polypyrrole layer. The resulting electrical conductivity seems mainly due to the presence of chlorine as counter-ion of polypyrrole; nevertheless, the presence of arylsulphonate in the polymerisation bath increas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ating layer.

생체모사 지질을 이용한 모발 표면에 공유 결합된 지방산 단분자층의 회복 (Recovery of Covalently Linked Fatty Acid Monolayer on the Hair Surface Using Biomimetic Lipid)

  • 김의숙;손성길;이천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9-145
    • /
    • 2012
  • 모발표면에는 독특한 형태의 지방산이 있다. 18-methyleicosanoic acid (18-MEA)는 모발 큐티클의 최외각 층에 공유결합된 특이한 ante-iso 형태의 지방산이다. 18-MEA 층은 CMC의 ${\beta}$-층 위에 위치하면서 모발의 외부 표면에 표면에너지와 마찰저항 을 낮춰준다. 18-MEA 분자의 높은 유동성은 계면 전단력을 감소시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지질들이 쉽게 퍼지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C10 - 40 isoalkyl acid의 말단에 관능기로 N-hydroxyl succinimidyl ester를 도입하여 모발 표면의 공유결합 지방산 층을 회복시켜보고 자 하였다. 모발 표면의 재 소수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서로 다른 습도 조건(40, 55, 70 %RH)에서 모발의 내부 수 분 함유량은 전자 수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Hydroxysuccinimidyl C10 - 40 Isoalkyl Acidate (HCIA)로 처리한 모발의 표면은 큐티클을 접착하는 것과 같이 지방산 단분자층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큐티클의 균열을 채워줌으로써 매끄럽고 균일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접착 효과는 atomic force microscope (AFM) 영상의 라인 프로필(line profile)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모발 내부 구 성 물질과 수분이 쉽게 용출되지 않고, 외기의 습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모발 습도가 항상 유지된다. AFM을 사용한 lateral force microscopy (LFM) 결과에 따르면 HCIA를 처리한 모발 표면의 마찰력이 감소되었고, 이에 대해 15회 샴푸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도 동일한 마찰력 값을 나타내었다.

검은과부거미 (Latrodectus mactans) 피부 색소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Fine Structure of the Cutaneous Pigments in the Black Widow Spider, Latrodectus mactans)

  • 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4호
    • /
    • pp.503-512
    • /
    • 1998
  • Fine structure of the cutaneous pigments in the black widow spider, Latrodectus mactans are studied with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cutaneous pigments are only observed in epidermal layer just beneath the cuticle. These pigments are compactly distributed around the spinnerets which located at caudal area of the abdomen. According to the fi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igment granules, two main types of guanine pigment granules-carotenoid vesicles and reflecting platelets - are observed in the cytoplasm of the epidermal cells.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se pigment granules are characterized as the electron dense carotenoid vesicles and the electron lucent reflecting platelets. Marginal electron density of the carotenoid vesicle is different from that of internal region, whereas the reflecting platelets have laminated crystalline granules. Typiral structures of these pigment granules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invertebrate's chromatophores, especially erythrophores and iridophores. Moreover differentiation of these pigment granules are also originated from the small vesicles of Golgi complexes similarly to those of cutaneous chromatophores.

  • PDF

체리 '좌등금'의 과실표면 구조 관찰과 강우가 열과발생에 미치는 영향 (Structual Observation of Fruit Skin and Influence of Rainfall Inducing Fruit Cracking in 'Sato Nishiki' Sweet Cherry)

  • 윤익구;남은영;신용억;윤석규;문병우;최철;강희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2-386
    • /
    • 2010
  • 체리는 과실성숙기 강우로 인해 해에 따라 열과가 심하게 발생하여 재배 상 문제가 되고 있어 해(2004~2007)에 따른 강우와 열과발생과의 관계와 체리 '좌등금'의 과실표면 관찰 및 과실 크기에 따른 열과반응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실의 열과 형태는 과경부, 과정부 및 측면 열과로 관찰되었고 발생양상은 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2004년은 과정부열과가 2005~2007년은 과경부열과가 많았다. 열과발생이 많았던 2004년(31.8%)과 2006년(28.6%)은 열과 발생이 낮았던 해에 비하여 5월 상순 강우량이 현저히 많았다. '좌등금'의 과피조직 특성중 아표피층은 유과기인 만개후 15일에는 2~3층 이었고 성숙기인 만개후 35일에는 1~2층으로 매우 얇았으며 열과가 많이 일어나는 과경부에는 큐티클층이 그리고 과정부에는 꽃이 탈락되어 생긴 코르크에서 미세균열 현상이 관찰되었다. 과실크기별 구분하여 물에 침지하였을 때 큰 과실(6g 이상)에서 작은 과실(4.5g 이하)에 비하여 열과반응 시간이 빨랐고 열과율도 높았다.

파주에서 발견된 16세기 미라 머리카락의 미세구조과 보존상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servative Condition and the Ultrastructure of Hair of Newly Found Sixteenth Century Mummy in Paju)

  • 이귀영;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24-31
    • /
    • 2005
  • 본 연구는 2002년 9월 묘지 이장 과정 중에 경기도 파주에서 발견된 여성미라 머리카락의 미세구조와 보존상태를 투과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6세기에 만들어진 미라의 머리카락은 완벽한 상태로 관찰되었다. 머리카락의 큐티클층과 피질 및 수질도 분해되거나 부서지지 않은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큐티클층은 윤곽이 뚜렷하게 구별되는데 이 층은 $6{\sim}7$개의 큐티클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큐티클세포는 세포사이막복합체에 의해서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피질은 거대원섬유들에 의해서 채워져 있으며 이들 사이에 멜라닌과립들이 산재되어 있다. 막대모양을 하고 있는 거대원섬유는 머리카락의 종축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특히, 피질에서 멜라닌과립은 큐티클층과 인접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440년 동안 머리카락이 보존된 원인은 머리카락을 피복하고 있는 다양한 물질들에 의해서 일어났는데, 피복물질을 에너지분산분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칼슘성분이 검출되었다. 머리카락 표면을 덮고 있는 칼슘이온은 머리카락에 수분이나 미생물 등의 접촉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산화형 영구 염모제로 처리한 모발의 인장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ensile Strength of Oxidative Permanent Dyed Hair)

  • 이귀영;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4호
    • /
    • pp.339-345
    • /
    • 2008
  • 본 연구는 산화형 영구 염모제로 처리한 모발의 응력과 인장력을 건강모발과 비교하였으며, 인장시험 결과 절단된 모발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염색모발의 인장강도는 $13.69\;g/cm^2$이었고 인장에너지는 $89.62\;erg/cm^2$로 나타났으며, 최고응력은 136.90g로 측정되었고 인장거리는 평균 11.34mm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건강모발에 비교하였을 때 인장강도와 인장에너지, 최고응력이 각각 $0.97\;g/cm^2$, $18.38\;erg/cm^2$, 9.74 g 감소하였고 인장거리는 0.95 mm 짧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염색모발이 건강모발보다 모발의 탄력성과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건강모발과 염색모발의 인장강도 시험 후 절단되어 손상된 모발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건강모발은 표면의 큐티클세포들이 들떠서 분리되어 있었으며, 염색모발의 큐티클세포들은 건강모발보다 더 심하게 분리되어 있었다. 염색모발에서 큐티클세포의 분리는 세포막사이 복합체의 파괴에 의해서 일어났다. 또한, 인장력에 의해서 찢어진 피질에는 거대 원섬유들이 노출되어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였다.

서리태 발효추출물이 탈색을 통해 손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 from Fermented Black Soybean (Glycine max var. Seoritae) on the Hair Damaged by Decolorization)

  • 정희훈;신민규;이수열;이상린;김무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9-15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서리태 발효추출물의 모발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학적 산화를 통해 손상된 모발을 준비한 뒤 서리태 발효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발의 형태학적 특성, 인장강도, 구성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발에 산화제를 처리하였을 때, 표피의 큐티클 층이 손상되고 모발의 인장강도가 $14.32{\pm}0.83g/cm^2$에서 $12.32{\pm}0.79g/cm^2$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T-IR 분석결과 산화제를 처리한 모발은 버진 헤어에 비하여 1,077, 1,041, $801cm^{-1}$에 해당하는 피크가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케라틴 단백질 간의 이황화 결합에 필수적인 시스테인이 산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손상된 모발에 서리태 발효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표피의 큐티클 층의 틈이 메워지고, 인장강도가 $14.27{\pm}0.96g/cm^2$로 회복되었으며, 모발의 성분 중 시스테인의 산화물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발효 서리태 추출물은 산화제에 의해 손상된 모발의 보호 소재로 연구될 가치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Separation of MeOH/MTBE mixtures through chitosan composite membranes using pervaporation

  • Woo, Dong-Jin;Nam, Sang-Yong;Lee, Young-Moo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2-64
    • /
    • 1996
  • Chitin, which is obtained mainly from the cuticle of a marine crustacean, has recently aroused great interest in its industrial and biomedical applications. Chitosan, deacetylated form of chitin, appears to be more useful for biomedical application and dehydration of aqueous solutions than chitin, since it has both hydroxyl and amino groups that can be modified easily. Amino groups on chitosan reacts with dialdehyde to form a Schiff base and then crosslinked, and can be easily neutralized with sulfuric acid and metal ions. Polyfunctional metal ions can form a metal-polyelectrolyte complexes with chitosan. Membranes used in modules so far working in industrial pervaporation plants are generally of composite type. This composite membrane was prepared by coating a porous polysulfone ultrafiltration membrane support of definite structure with a thin, dense layer of permselective chitosan. To apply industrial scale pervaporation process for dehydration of aqueous ethanol and isopropanol, chitosan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and tested at various condi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