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ticle layer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초

탈색시술 조건에 따른 모발의 물성변화 (Physical Properties of Human Hair by the Bleach)

  • 윤종현;김호정;이영주;박차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6-100
    • /
    • 2005
  • The bleaching is one of the worst factors which leads to the damage of the human hair. The cuticle of the human hair is injured by the alkali that is one of the chief ingredients of a bleaching agent. The alkali component of the bleaching solution chemically reacts with human hair, reducing the tenacity and dissolving the cuticle lay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leaching time and temperature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ress-strain curves for human hair indicated the three distinct regions, such as Hookean region, Yield region and post-Yield region. The tenacity of hair is reduced gradually with an increase of bleaching time. Under these same conditions, elongation of the hair increased. 2. The greatest drop in tenacity for hair occured between $40^{\circ}C$ and $60^{\circ}C$ of bleaching temperature. 3. Compared with the virgin hair, bleached hair showed a slower rate of weight reduction in the TGA thermogram. The rate decreased gradually as the bleaching time and temperature increased. 4. As the bleaching conditions reached time and temperature extremes, the human hair cuticle became more damaged. The cuticle layers seemed to have dissolved, as seen in the SEM photographs.

탈색모발의 인장강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ensile Strength of Bleached Hair)

  • 이귀영;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3호
    • /
    • pp.251-257
    • /
    • 2008
  • 본 연구는 탈색회수에 따른 모발의 인장강도 변화를 측정하여 건강모발과 비교하였으며, 인장시험 결과 절단된 모발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형태학적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인장시험에서 건강모발은 인장강도가 $14.66g/cm^2$으로 측정되었고, 탈색 1회, 2회, 3회 모발은 각각 $12.95g/cm^2$, $12.61g/cm^2$, $11.43g/cm^2$으로 나타났다. 결국 탈색모발은 탈색 횟수가 증가할수록 인장강도가 감소하였다. 건강모발과 탈색모발의 인장강도 시험 후 절단된 모발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건강모발은 표면의 큐티클세포들이 들떠서 분리되어 있었으며, 탈색모발의 표면은 건강모발의 표면보다 더 심하게 큐티클세포들이 분리에 있었다. 탈색모발의 큐티클세포들은 모발표면의 바깥쪽으로 심하게 휘어져 분리되어 있었다. 큐티클세포의 분리는 세포막사이 복합체의 파괴에 의해서 일어났으며 큐티클세포의 세포질의 일부인 내큐티클의 파괴에 의한 분리는 일어나지 않았다.

개의 구토물에서 분리한 오디흑연가시(철선충)의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해부학적 소견 (Anatomical Study of Chordodes koreensis in the Parasitic Phase Using Electron Microscopy)

  • 손화영;채준석;김남수;김현철;조정곤;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86-590
    • /
    • 2009
  • 철선충은 주로 사마귀와 같은 곤충에 기생하는 선충류로 사람이나 동물은 우연히 감염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철선충의 생활사는 크게 곤충에 기생하는 기생생활기, 그리고 발육이 완료된 후에 숙주를 죽이고 외계로 나와 자유생활을 하는 자유생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의 구토물에서 오디흑연가시 수컷을 발견하여 이의 횡단면을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전자현미경하에서 표피는 4층(epicuticle, cuticle, epidermis, muscle)으로 이루어졌고, 내강에는 장, 배신경절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고환은 발견되지 않았다. 표피의 최상층에서 여러 형태의 areoles이 관찰되었으며, cuticle은 17열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었다. Epidermis는 1열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muscle층은 여러 개의 근세포가 종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내강에 배신경절이 충체의 정중앙 배측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본 철선충은 기생생활기를 끝내지 못한 미성숙충으로 판단된다.

인종 모발의 형태학적 차이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Ethnic Hair)

  • 이귀영;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3호
    • /
    • pp.265-273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는 흑인종, 백인종, 황인종 여성의 모발을 채취하여 전자현미경으로 모발의 미세구조적 차이를 규명하였다. 흑인종 모발의 횡단면은 납작한 타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었으며 황인종과 백인종 모발은 각각 원형과 타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었다. 흑인종 모발은 두께가 $90{\sim}115{\mu}m$로 굵기가 일정하지 않았다. 황인종모발은 두께가 $100{\mu}m$이었으며 백인종 모발은 두께가 $80{\mu}m$로 측정되었다. 모발의 두께는 황인종 모발이 백인종 모발보다 크게 나타났다. 흑인종 모발은 황인종과 백인종 모발 보다 큐티클층이 많이 손상되어 있었다. 특히 큐티클세포의 내큐티클에는 많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쉽게 부서지는 특성이 나타났다. 백인종 모발의 피질에 있는 페오멜라닌은 내부에 동심원상의 나선구조를 하고 있었다.

울릉도산 갈조식물 고리매과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Account on the Scytosiphonaceae (Phaeophyta) from Ullungdo Island, Korea)

  • 이욱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2호
    • /
    • pp.125-134
    • /
    • 1992
  • 울릉도 갈조식물 고리매과(Scytosiphonaceae)의 5종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Colpomenia peregrina (불레기말사촌)은 한국 미기록 식물이며 외부 형태에서는 C. sinuosa와 매우 유사하지만 전자는 복자낭을 싸고 있는 cuticle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후자와 구분되었다. Endarachne bingahmiae(미역쇠)는 북미산 식물들과 그 분류형질에서 잘 일치하지만 체장과 체폭이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Hydroclathrus clathratus(그물바구니)는 1-2개의 색소가 침적된 피층세포와 크고 불규칙하게 배열된 내피층세포를 갖는 특징을 보였다. Petalonia fascia(개미역쇠)는 1-2개의 피층세포를 가지면 2-4개의 크고 불규칙한 내피층세포를 갖는 특징을 보였다. Scytosiphonia lomentaria(고리매)는 계절에 따라 체형에서 다양성을 보이며 특히 체장, 체폭에서 차이를 보였다.

  • PDF

규소가 벼의 엽신 기공 크기와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icon on Stomatal Size and Frequency in Rice Plants)

  • 강양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0-73
    • /
    • 1991
  • 벼의 기공 분포 밀도에 미치는 규소의 영향을 구명코자 동계 온냉조절온실에서 규소 농도를 달리하여 수경재배한 벼 제 7 엽기의 엽신 부위별 기공수 및 기공세포 크기를 관찰한 결과 규소 농도 증가로 밀양2003 엽신중 기공수가 줄어들고 엽의 전 표면적에 대한 기공수$\times$기공세포 크기로 나타낸 기공세포의 분포 밀도가 낮게 되어 양면 표피의 cuticle-silica 2중층의 존재 이외에도 수분경제면에서 유리한 특성을 갖게 될 것으로 간주되었다.

  • PDF

독나방 (Euproctis flava BREMER) 유충의 발생소침과 독선세포에 관하여 (In the Urticating Spicule and the Gland Cell of the Larva in Euproctis flava BREMER(Lepidoptera))

  • 김창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
    • /
    • 1960
  • Urticating spicules and poison -secreting cells of the last instar larva in Euproctis flava BREMER was studied histologically. Three kinds of cells in the epidermis of tubercles on the lst to 8th abodominal segm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ir nuclei : smallepidermal cells, large gland cells, and elongated trichogen cells. As a result of Mallory's triple straining , the epicuticle , the papila-like structure apart form the tubules inside which are gathered at the base and connected with a middle layer cell through a canal in the cuticle, and the peripheral of the urticating spcicule are yellow. However, the inside of the spicule , the tubules within the papilla-like structure, the canal in the cuticle , nuclei in the pidermal cells and the thin exocuticle are red although the thich endocuticle is blue. Particularly , the large nuclei in the middle layer cells are bright red, the cytoplasms of which are little and stained red, too, and the inside of the spicules apt to be stained red when they are broken. The contents therefore seem to be continuous between the spicules and the large cells. Presumably , the large cell at the middle layer is not te tormogen cell which Tsutsumi (1958) has described , but the gland cell which secretes the poison-substance into spicules as Pawlowsky and Stein 91927) and Tonkes (1933) pointed out. Whether the pisonous substance is secreted from the gland cell into the cytoplasmic processes of the trichogen cells which stick large middle layer cells during the formation of the new spicule as Tsutsumi (1958) has observed, or the gland cell makes a new connection with the spicule after the spicule is formed is not clear.

  • PDF

풍화작용에 의한 정상모발의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 of Men's Hair Shaft by Weathering)

  • 홍완성;장병수;임도선;박상옥;여성문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1호
    • /
    • pp.11-20
    • /
    • 2000
  • 성인 남성의 모발에서 정상 모간과 자연상태에서 손상된 모간의 외부형태와 미세구조적 변화를 광학현미경과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상 모간은 모소피층, 모피질, 모수질 등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모소피층은 $5\sim7$개의 모소피세들이 중첩되어 모피질과 모수질을 둘러싸고 있고, 길게 신장되어 모피질을 둘러싸고 있는 소피세포의 두께는 약 $0.4{\mu}m$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세포사이에는 약 $25{\mu}m$의 세포사이 막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모피질은 잘 발달되어 각질화세포(cornified cell)들로 치밀하게 채워져 있었고, 각질화세포는 직경이 약 $0.5\sim0.8{\mu}m$인 구형 또는 타원형의 macrofibril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약 8 nm 두께의 가는 microfibril이 동심원상의 규칙적인 형태로 배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macrofibril사이에는 약 $0.5{\mu}m$ 크기의 직경을 가진 구형의 melanin과립들이 고르게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모수질은 공기가 채워져 있었고, 직경이 약 $16{\mu}m$의 구형의 형태로 모간의 전체 직경에 1/5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풍화에 의해 손상된 모간은 모소피층이 박리되어 있었으며, 모피질세포의 세포질도 손상되어 melanin과립들이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인 확인되었다. 조직표본상에서 모소피층의 박리과정은 모소피 사이에 공포가 형성되고, 이어서 모소피의 가장자리가 떨어져 나가고, 박리되지 많은 부위는 절단되었다. 모소피가 탈락되어 모피질이 노출된 부위에서는 각질화세포내에 존재하는 macrofibril이 각각 분리되고, 인접된 macrofibril사이에 공기가 채워지게 어 모간의 풍화과정은 더욱 촉진되었다. 그리고 노출된 macrofibril사이에서 탈락 직전의 melanin과립들이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 PDF

장대끈끈이주걱 분비모의 미세구조와 peroxidase 활성 (Ultrastructure and Activity Pattern of Peroxidase in Secretory Trichomes of Drosera capensis)

  • 김은수;오승은;유성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3호
    • /
    • pp.399-414
    • /
    • 1998
  • Glandular trichomes present on the leaf surface of Drosera capensis were examin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 large number of stalked glands exist on the adaxial surfaces of the leaf blade. The secretory head is composed of two layers of secretory cells, one layer of middle cells, and the inner tracheids. The secretory cells contain rough endoplasmic reticulum, mitochondria, plastids, Golgi apparatus, and vacuoles. The secretory cells show prominent cell wall ingrowth, and thick cuticle restricted on the subcuticular wall. Frequently, the cuticle has some pores, canal-like structures, showing electron -dense granules being penetrated through them.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using diaminobenzidine showed the electron-dense deposits in the vacuole. No peroxidase activity was seen in the cell wall and cytolasm. The activity of peroxidase (POX) isozymes in Drosera which isoelectric point (pI) is 3.6 and some anionic POX isozymes which pIs are laid between 3.6 and 4.6 were especi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the formation of glandular trichomes. Also, the activity of some POX isozymes which isoelectric points are laid between 4.6 and 5.1 were increased in the regions of leaves which has trichomes.

  • PDF

Arthrobotrys conoides에 의한 선충포획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trapping of nematode by Arthrobotrys conoides)

  • 박진숙;박용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8
    • /
    • 1984
  • A. conoides에 의한 선충 포획과정을 SEM과 T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1. A. conoides는 점착성 three-dimensional networks에 의해 선충을 포획한다. 2. Trap cell은 영양균사에 비해 세포벽이 두꺼우며 endoplasmic reticulum, mitochondria 및 electron-dense granule이 풍부하다. 3. 포획기관에서만 관찰되는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은 포획기관이 선충을 점착하여 침투하는 과정에서 소실된다. 4. 포획기관과 선충이 부착된 사이에서 osmiophilic layer가 관찰되었고 바로 이 지점으로부터 침투가 일어나며, 한 포획기관에서 두 군데 이상 동시 침투가 가능하다. 5. 포획기관의 선충내 침투시 appressorium이 형성되지 않고 침투되는 경우가 있다. 6. 균주와 선충의 혼합배지를 2~3주 두었을 때, 유충들이 포자에 접착되어 죽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