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ved bridg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9초

지진하중 하에서 교량 곡률과 사각 크기에 따른 받침부의 반력 검토 (Seismic Evaluation of Supporting Reactions for the Bridge with Various Curvatures and Skew Angles)

  • 박성렬;김연태;김상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7-7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LRB 받침을 갖는 플레이트 거더교를 해석 대상 교량으로 하고 편구배별 곡선반경과 사각을 해석변수로 하여 교량받침의 반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지진파로는 El-Centro 지진 기록과 인공지진파를 각각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적용하고 3D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곡선교 내측과 예각부에서 부반력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위치로 나타났으며, 또한, 교축 직각방향으로 지진이 작용하였을 때가 또한 가능성이 높은 조건으로 해석되었다. 그 이외에도 직선교보다는 곡선교이면서 곡률반경이 작고 사각이 작을수록 부반력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량의 부반력 발생여부는 지진파의 종류 및 교량의 편구배, 곡선반경, 사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역량스펙트럼을 이용한 곡선교의 내진성능평가에 대한 비탄성요구스펙트럼의 영향 (Effects of Inelastic Demand Spectrum on Seismic Capacity Evaluation of Curved Bridge by Capacity Spectrum Method)

  • 조성국;박웅기;조양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95-206
    • /
    • 2011
  • 역량스펙트럼방법은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점점 더 이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강도감소계수는 역량스펙트럼방법에서 정의하는 비탄성요구스펙트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양한 강도감소계수 공식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 연구는 강도감소계수의 공식이 비탄성요구스펙트럼의 형상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교량의 지진응답변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기존에 제안된 몇 가지 강도감소계수 공식들이 조사되고, 예제연구를 통하여 분석되었다. 서로 다른 원호각을 갖는 곡선교를 선정하여 서로 다른 강도감소계수 공식을 적용하여 역량스펙트럼방법으로 교각의 변위를 평가하였다. 역량스펙트럼의 결과를 검증할 목적으로 비선형시간이력해석도 함께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역량스펙트럼방법은 더 큰 원호각을 갖는 교량일수록 실제보다 더 큰 교각의 변위를 산출한다. 비탄성요구스펙트럼을 작성하는 많은 방법이 제안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방법들이 산출하는 교각의 비탄성변위응답은 큰 차이가 없다.

곡선 강박스 거더교의 가설중 거동 파악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Steel Curved Girder Bridge during Construction)

  • 길흥배;배창규;강상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통권78호
    • /
    • pp.511-518
    • /
    • 2005
  • 원곡선교의 거동은 일반적인 직선교보다 복잡하여 교량의 해석 및 설계와 시공에 있어서 많은 주의를 요한다. 곡선교의 설계에는 일반적인 구조해석 프로그램이나 전용 프로그램에 의한 격자 해석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들 해석 프로그램의 결과와 실제 곡선 교량의 거동에 대한 정합성을 비교 검토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교량-단경간 교량과 3경간 연속교-을 대상으로 현장 계측 및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3차원 정밀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해석을 실시하여 곡선교의 거동에 대한 연구와 현 설계 방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공정별 계측과 해석 결과는 서로 정량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정성적으로는 유사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플랜지의 횡 방향에 대한 응력의 변화가 관찰되었고, 격자 해석 모델이 3차원 정밀 해석 모델보다 보수 측의 해석 결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3경간 연속곡선교의 지진응답 특성분석 (Analysis of seismic response of 3-span continuous curved bridges)

  • 김상효;이상우;조광일;박병규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0-387
    • /
    • 2005
  • Little has been understood about the seismic behavior of curved bridges due to the differ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straight bridges. In this study, a simple numerical model, widely used for seismic analysis, is modified for a more realistic estimation of the seismic behavior. The seismic response of curved bridges obtained with the modified simple numerical model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using a more sophisticated model to verify the feasibility. Seismic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ree-span continuous curved bridges, which is a structural system widely used in highway structures. Numerical model of the three-span continuous curved bridges were subjected to seismic loads in diverse directions.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of the seismic load have significant effect of the seismic behavior of curved bridges when the central angle exceeds 90 degrees.

  • PDF

곡선 R.C라멘교의 해석적 고찰 (An Investigation on the Analysis of Curved Rahmen Bridge)

  • 오세준;정원기;박명균;최성권;이은호;박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498-501
    • /
    • 2006
  • R.C. Rahmen bridges have been widely constructed in the location of interchange or narrow road crossing. In addition, skewed or curved rahmen bridges are mostly constructed in comparison with normal rahmen bridges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route of road or considering the beauty of bridge. However, due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rahmen bridges are sustained under the direct vehicle loads and the side directional earth pressure so that the stress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the geometrical eccentricity can be occurred if rahmen bridges are constructed in large amount of skew. In this investigation, the behavior of skewed rahmen bridges which is located in curved route has been analysed to investigate the additional effects on the change of stress concentration.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the stress of curved rahmen bridges is more concentrated than the stress of straight rahmen bridges in the region of obtuse angle. However, in the middle of slab, the curve does not affect on the stress concentration.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seismic responses of RC circular column piers in curved bridges

  • Jiao, Chiyu;Li, Jianzhong;Wei, Biao;Long, Peiheng;Xu, Yan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7권5호
    • /
    • pp.435-445
    • /
    • 2019
  • The collapses of curved bridges are mainly caused by the damaged columns, subjected to the combined loadings of axial load, shear force, flexural moment and torsional moment, under earthquakes. However, these combined loadings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is paper firstly investigate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bending-torsion coupling effects, based on the seismic response spectrum analysis of 24 curved bridge models. And then 9 reinforced concrete (RC) and circular column specimens were tested, by changing the bending-tortion ratio (M/T), axial compression ratio,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 and spiral reinforcement ratio,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bending-torsion coupling effects of piers are more significant, along with the decrease of girder curvature and the increase of pier height. The M/T ratio ranges from 6 to 15 for common cases, and influences the crack distribution, plastic zone and hysteretic curve of piers. And these seismic characteristics are also influenced by the compression ratio,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 and spiral reinforcement ratios of piers.

도로의 평면선형을 고려한 전파경로 분석 (A Study on the Propagation Path Considering the Horizontal Alignment of Road)

  • 김송민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4권1호
    • /
    • pp.27-3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차량 이용이 많은 도심지역 편도 2차선의 도로 상에서 차량과 차량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송.수신 차량 좌, 우측 반사체와 인접한 차량들에 의해 발생하는 다중경로파의 영향을 고려한 전파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때 곡선 도로의 반경을 600[m], 곡선도로의 거리는 $5.24\sim471.2[m]$, 도로교각은 $5o\sim45o$, 곡선도로에 위치한 수신차량은 도로교각과 곡선도로의 거리변화에 대응하여 최소 3.3[m]에서 최대 29.5[m]간격으로 변화시키면서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 결과 도로교각이 $5o\sim15o$인 경우 전파경로손실의 경우 수신 차량의 곡선도로 위치에 관계없이 1[dB]이내였고, $15o\sim45o$인 경우 도로교각이 변화함에 따라 대략 $1\sim8[dB]$이었다. 그리고 전파경로의 경우에는 도로교각의 변화에 따라 $0.4\sim120[m]$까지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전파경로 차가 120[m] 발생함에 따른 전파지연시간은 400[nsec]이다.

탄성받침을 가지는 단경간 곡선 강박스거더 교량의 부반력 특성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n Negative Reactions of Simply Supported Curved Box Girder Bridges with Elastomeric Bearings)

  • 김경식;이희정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161-168
    • /
    • 2015
  • 평면내 곡선교량은 편심하중뿐만 아니라 자중만으로도 비틀림하중을 받게 되고, 이는 지점부 부반력 발생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경간장 48.8m를 가지는 단경간 곡선강박스 거더교량에 대해 내부곡률각도를 0.49~1.35rad으로 조정하면서 곡률효과에 따라 지점에서 발생하는 수직반력을 분석하였다. 부반력 발생가능성을 고려하여 반력 크기 및 방향을 예측하기 위해 곡선교량 상부구조를 각 독립된 요소로 분리하여 반력산정식을 해석적으로 개발하였다. 콘크리트 바닥판 및 강재 하부플랜지는 각각 면의 차원을 가지는 기학학적 환형섹터로, 수평면내에서 폭이 좁게 투영되어 나타나는 상부플랜지 및 복부판은 선의 차원을 가지는 기하학적 호로 가정되었다. 제안된 반력산정식의 형식은 비교적 단순하고 그 예측값은 유한요소해석으로 얻은 값과 비교하였을 때 오차가 1% 수준으로 잘 일치하였다.

등·변단면 I-형 곡선격자형교의 영향선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e Line of Curved I-Girder Grid Bridge with Constant Cross Section and Variable Cross Section)

  • 장병순;서상근;류은열;윤정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통권37호
    • /
    • pp.615-627
    • /
    • 1998
  • 곡선 격자형교의 최대 전단력. 최대 휨 모멘트, 최대 순수 비틈모멘트, 최대 뒴비틈모멘트, 최대 바이모멘트를 계산하기 위하여 곡선 격자형교에 작용하는 활하중의 재하위치를 찾는 것이 중요하고 영향선을 이용하면 이 값들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등 변단면 I-형 곡선격자형교를 해석하기 위해. 본연구에서는 Vlasov의 기초미분방정식을 이용하고, 이의 수치적 해석을 위해 유한차분법을 적용하여 등 변단면의 최대부재력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등 변단면의 휨모멘트, 전단력, 순수비틈모멘트, 뒴비틀모멘트, 바이모멘트의 영향선을 구하여 비교 제시하였고 이를 이용해 최대부재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활하중의 재하위치를 구하였다.

  • PDF

지진하중을 받는 I형 곡선거더 단경간 교량의 대리모델 기반 전역 민감도 분석 (Surrogate Model-Based Global Sensitivity Analysis of an I-Shape Curved Steel Girder Bridge under Seismic Loads)

  • 전준태;손호영;주부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976-983
    • /
    • 2023
  • 연구목적: 지진하중을 받는 교량 구조물의 동적 거동은 지진파의 특성 혹은 재료 및 기하학적 특성과 같은 많은 불확실성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모든 불확실성 인자가 교량 구조물의 동적 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진 않는다. 영향성이 낮은 불확실성 인자까지 고려한 확률론적 내진성능 평가는 많은 계산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교량의 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불확실성 인자는 식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I형 곡선 거더를 갖는 단경간 교량의 동적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매개변수를 식별하기 위해 전역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지진파의 불확실성과 곡선 교량의 재료 및 기하학적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결과를 기반으로 대리모델을 작성하였다. 결정계수와 같은 성능평가지료를 이용하여 대리모델을 평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대리모델 기반의 전역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진하중을 받는 I형 곡선 거더의 응력응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불확실성 인자는 최대지반가속도(PGA), 교각의 높이(h), 강재의 항복응력(fy) 순으로 나타났다. PGA, h, fy의 주효과 민감도 지수는 각각 0.7096, 0.0839, 0.0352로 나타났으며 총 민감도 지수는 각각 0.9459, 0.1297, 0.0678로 나타났다. 결론: I형 곡선 거더의 응력응답은 입력운동의 불확실성에 대한 영향성이 지배적이며 각 불확실성 인자 사이의 교호작용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입력운동의 개수 및 intensity measure과 같은 입력운동의 불확실성에 대한 추가적인 민감도 분석과 곡선거더의 개수 및 곡률과 같은 구조적 불확실성까지 고려한 총 민감도 분석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