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ar model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17초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서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교과통합적 접근 재조명 (Review on Cross-curricular Approach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s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 이재근
    • 영어어문교육
    • /
    • 제10권1호
    • /
    • pp.153-178
    • /
    • 200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several types of English teaching/learning models in view of cross-curricular approach in Korean elementary school. Brewster(1992)' model is suitable for younger children as well as the 1st or 2nd graders. For 3rd or 4th graders, Halliwel1(1997)' model seems more proper type in Korean EFL situation. There has been studying for cross-curricular approach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Many studies has recently focus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by cognitive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Among them, Park(1996)'s research talks abou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n(1996)'s research based on the notion of applied to other subjects. Kim(1999)'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nking other subjects. Kim(2003) argued the need of integrating English with other subjects. The elementary education as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NCBC) has the essence of cross-curricular approach, so the English education will be linked with other subject matters more and more, not just as for Communicative function based English education but as both content and function based subject matter.

  • PDF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A Curricular Model of Information Literary for School Libraries in Korea)

  • 박명규;한상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7-194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 학교교육 현장에 체계적으로 정착하지 못한 정보활용 교육의 기반을 확보하기 위하여 교과목명을 정보교과로 규정하고, 국가차원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함으로서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프로젝트 기반학습(PBL) 적용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PBL) Applied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ment)

  • 송명현;김미화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3-13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extra-curricular program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PBL) and to find out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2021 to December 2021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Surveys, t-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ject-based learning was applied to the extra-curricular program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University A and the requirements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Second, project tasks related to education of universities were proposed. Third, the programs were designed as three common courses and four consulting courses. Fourth,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32 students for two months. Fifth, the post-test results of problem-solving skills rose to 0.9 points compared to the pre-t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post-test results of communication skills were 0.5 points lower than befor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th, the satisfaction survey result was high with a rating of 4.59. Lastl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Instruc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College Students)

  • 김성은;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7-200
    • /
    • 2006
  • 이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시행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목의 내용을 분석하여 실제 대학에서 교양 과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활용능력의 새로운 교수학습 형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미국과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의 고등교육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기준과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국외 5개 대학의 5 교과목의 교육내용과 국내 23개 대학에서 현재 정보활용능력 관련과목으로 교수되는 33개 교과목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핵심 요소로 사용되는 정보활용능력의 7개 영역인 정보자원영역, 정보요구영역, 정보접근영역, 정보분석영역, 정보관리영역, 정보전달영역, 정보윤리영역을 추출하여 영역별로 강의할 수 있는 14주 과정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의 내용에는 영역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전략 강의시간. 평가내용, 강의도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범교과 학습주제를 적용한 진로독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Reading Program Applying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 송지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7-2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할 수 있는 범교과 학습주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에 활용할 수 있는 진로독서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주제를 10개 주제로 범주화하고, 진로교육의 세부 내용요소를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범교과 학습 활동을 통해 독서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둘째, 중학생 5개 반 137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범교과 기반의 진로독서 수업모형을 통해 자기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 영역의 진로독서 수업을 실행하였다. 셋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진로독서 평가 자료를 구축하여 분석하였으며 일화기록과 체크리스트의 다각적인 관찰과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독서 스토리텔링과 흥미유형의 진로 멘토 중심 도서목록 자료를 제시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독서 교육 활동을 제안하였다.

협업 필터링을 활용한 비교과 프로그램 추천 기법: C대학 적용사례 (Non-Curriculum Recommendation Techniques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for C University)

  • 전유정;양경은;조완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7-192
    • /
    • 2022
  • 많은 대학교에서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마다 목표와 하고자 하는 활동이 다르다. 따라서 기존에 획일적이고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실제로 학생들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개인화 추천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대학교의 모든 학생에게 일괄적으로 제안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학년 및 학과별로 분류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평점 데이터를 사용하여 협업 필터링 모델 3가지를 구현하고, 성능을 비교해 가장 정확도가 높은 모델로 개인화된 맞춤형 추천을 제안한다.

Virtual to Physical: Integration of Design Computing and Digital Fabrication in Architectural Pedagogy

  • Lee, Youngji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21-30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digital fabrication of scaled physical models in the digital design process and highlights the integration of design computing and digital fabrication in architectural education. Advances in CAD/CAM technologies have increasingly influenced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practices by allowing the production of complex forms that were once difficult to design and construct using traditional technologies. At the advent of digital architecture, schools of architecture introduced digital technologies to their curriculum, focusing more on design computing than digital fabrication, preventing students from completely mastering digital technologies. The significance of digital fabrication for scaled physical models as a design media within the digital design loop is discussed. Two case studies of leading schools of architecture that are successful in building the bridge between both areas are given. These focus on the curricular structure to integrate both areas within design studios. Finally, a curricular structure offering students a balanced approach to these areas of knowledge is proposed based on what was learned from these case studies.

교과기반 학습성과 평가시스템 개발: 군산대학교 공학인 건축공학심화프로그램 사례 연구 (Framework for Course-Embedded Outcomes Assessment: A Case Study of Architecture & Building Engineering Program at KSNU)

  • 박성신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47-58
    • /
    • 2020
  • Kunsan National University obtained accreditation for its Architecture & Building Engineering Program from the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ABEEK) in 2004 and has offered an ABEEK-accredited degree pathway ever since. Then, in 2018, the university introduced the course-embedded outcomes assessment system as per ABEEK's KEC2015 accreditation criteria. One year into its implementation, the new system allows the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10 program outcomes covering 19 curricular modules and 1 non-curricular licensing examination. The system incorporates the four areas of specialization within architectural engineering as well as the three course categories of the math, science, and computer; liberal arts; and engineering core modules under the accreditation scheme. It also takes the students' academic years into account, especially for the mandatory modules offered to all students. Its rubric clarifies the performance criteria, performance level, assessment tools, objectives, and modules. The 2018 course-embedded outcomes assessment system is an ever-evolving structure with regular CQI: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s along the circular process of system establish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as per the virtuous cycle model required for an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를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Develop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Children's Librarians)

  • 정혜미;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81
    • /
    • 200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사서 양성과 관련된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어린이사서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사서들의 교육 경험과 향후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필요한 관련 교과목 및 교과내용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사서를 위한 교과목의 개설 방향을 제시한 후, 구체적인 교과과정 모형 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