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content

검색결과 3,484건 처리시간 0.045초

Optimization of Monochamus alternatus media and culture period for cordycepin production in Cordyceps militaris culture using solid-state fermentation

  • Ha, Si Young;Jung, Ji Young;Yang, Jae-Kyung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6-133
    • /
    • 202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lid culture medium on the production of cordycepin in Cordyceps militaris. The regression equation was expressed as follows: Y1 = 755.3-58.6625X1+4.79432E-14X2-46.6625X3-5.66269E-14X1X2-0.025X1X3+1.62475E-14X2X3-160.6625X12+0.0125X22-206.9625X32, where, Y represents the value of cordycepin content (㎍/g), X1 corresponds to the weight of M. alternatus in solid culture medium (g/bottle), X2 to the water content of the solid culture medium (%), and X3 to the culture period (day). The solid culture medium was optimized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was as follows: the weight of M. alternatus in solid culture medium and water content were 16.2% and 100.7% (20.14 mL water/20 g solid culture medium), respectively, with a culture period of 39 days. Under these conditions, the cordycepin content of the fruiting bodies reached 150.0 ㎍/g (actual value). The supplementation of M. alternatus in solid culture for improved cordycepin content of C. militaris seems to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wild and solid cultivation.

A new type of multimedia content with Chinese characters as the core-Barrage

  • Pan, Yang;Kim, KiHong;Yan, JiHu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2호
    • /
    • pp.118-127
    • /
    • 2022
  • Barrage language is a new media language based on Internet video. It is a representative expression of the Internet environment regardless of its format and content. As a unique movie viewing characteristic provided by the barrage function, the timeliness of feedback, entertainment, and interactivity of the content are excellent. Characteristic. Barrage language itself is closely related not only to the value of linguistic research, but also to the spread of the Internet in the Internet environment.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video sites, this thesis explores how Barrage is an organic cycle of culture and consumption in a specific platform and group, and analyzes its propagation methods and effect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production patterns unique to the barrage culture, implications and reference values for production activities of other cultures, the effect of popularization on viewers an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barrage' culture of the industry is studied, and furthermore, the 'barrage' culture is It was designed to be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platform, internet culture, and animation industry culture.

기내 환경에 따른 거베라 'Beauty' 배양묘 잎의 구조적 특성과 탄수화물 함량의 차이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Carbohydrate Content of Propagules Grown at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in Gerbera hybrida 'Beauty')

  • 이현숙;임기병;정재동;김창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7-121
    • /
    • 2001
  • 배양환경을 달리하여 생산한 3가지의 유묘 (타가영양묘, 혼합영양묘, 자가영양묘)를 대상으로 잎의 형태적 특성 및 탄수화물 함량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온실묘, 자가영양묘와 혼합영양묘는 하표피층에 왁스의 결정형이 관찰되었으나 타가영양묘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기공수와 크기에 있어서는 타가영양묘가 자가영양묘에 비하여 기공이 크고 많았다. 특히, 자가영양묘의 기공형태와 크기는 온실에서 자란 유묘와 거의 유사하였다. 식물체의 탄수화물함량은 자가영양묘가 혼합영양과 타가영양묘에 비하여 많았으며 유리당도 역시 자가영양묘가 가장 많았고 모든 배양묘에서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 PDF

인공지능 기반 문화예술 콘텐츠 창작 기술 분석 및 도구 설계 (Analysis and Design of Arts and Culture Content Creation Tool power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 신춘성;정희용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489-499
    • /
    • 2021
  • 본 논문은 콘텐츠 창작에 새로운 방법과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문화예술 콘텐츠 창작기술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인을 위한 직관적인 창작도구를 제안한다.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창작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지만, 정해진 목적으로 개발 및 서비스되고 있어서 창작과 융합 측면에서 확장성과 활용성에 매우 제한이 많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데이터 분석과 처리, 콘텐츠 생성 및 창작 및 시각화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인 창작자를 위한 직관적인 창작도구를 제안한다. 제안된 창작도구는 사용자, 창작환경 및 인공지능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문화예술 콘텐츠 창작과정에 문화예술 데이터를 처리 및 변환하면서 인공지능 모델을 접목해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창작 도구는 방대하고 다양한 문화예술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 및 구조화하고 다양한 생성 및 창작 모델을 적용하여 창작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동시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험하도록 지원한다. 제안한 문화예술 콘텐츠 창작도구는 창작자들이 인공지능과 관련 기술을 쉽게 다루면서, 주어진 데이터를 다각적으로 이해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성을 발현하기 위한 초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등학생의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 - 제 7차 교육과정의 기술.가정교과 차용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Educational Need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Among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

  • 심지영;이귀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57-172
    • /
    • 2006
  • 본 연구는 현행 7차 교육과정 중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있어서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교과내용을 분석하고,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및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실천적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구성에 기여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있어서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내용은 중학교 3학년의 '상차림과 식사예절', 고등학교 1학년의 '초대와 행사의 계획과 준비', 고등학교 2-3학년의 '음식문화와 음식마련'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고등학생들은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해 자긍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제 가정생활에서는 적용하지 못하였고 특히 '명절과 세시풍속의 의미'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전통 음식문화의 교과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가정 내에서의 계승여부, 인식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요구도의 하위변인(필요도, 흥미도, 활용도)간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 전통 음식문화의 교육은 고등학생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교육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내용으로는 만드는 방법이, 교육방법으로는 조리실습과 음식문화 체험활동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온라인 유통 채널에서 컨텐츠의 성과는 사회적 거리에 의해 항상 증가하는가? YouTube의 문화별컨텐츠를 중심으로 (Does Social Distance Always Increase Content Performance in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 손정민;강성호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8호
    • /
    • pp.97-104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positive impact of the social distance between producers and users of online content,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ost popular Web content. In addition, it tries to elicit the matching effect that appears when the individuals'cultural background is consistent with social dist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collected and analyzed actual data about 4,981 videos clips on YouTube, looking at six countries in order to verify the content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behavioral measurements on popularity, social distance, culture, and user engagement.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content and we collecte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producers and the content records. We controlled the views, comments, likes, calendar dates, and ages in the empirical models. The data was collected in 2011, with the records coming from South Korea, Japan, China, U.S., German, and France. A total of 4,980 elements were analyzed in the model. The empirical model estimated is the bivariate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NBD) model. Results - It turns ou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tching effect can be diminished by variables that reflect the psychological involvement of user engagement. This study propos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 shows the positive effect of social distance between users and producers on the increased performance of the online content. We find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to be a stronger tendency in collectivism. The collectivists follow their sense of friendship and intimacy in their culture and, the social congruence effect can be found there as well. The effect, however, could erode in a social case where users are motivated by strong intrinsic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addition, user engagement complicates the process of user decision making regarding the information. Conclusions - This study examines how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ocial distance caused by culture could disappear through user commitment as a complicated user motivation. Some potenti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 firm in the collectivism culture has to communicate based on the social distance. In fact, most online channels do not have a function that indicates the social distance as measured by favorites or subscribers. This function could help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content in online channels, but this increasing effect can only be found in a collectivist culture. Based on this, the firms have to communicate and announce to users the actual social distance between users and producers. Second, firms should develop a system that discovers the social distance and culture and shows these measures to users and producers, since the congruence effect between social distance and culture is found only for low user engagement. The firms can take the advantage of the congruence effec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distance and culture visualized system.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러시아어 문화 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Russian Cul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Changes)

  • 어건주
    • 비교문화연구
    • /
    • 제29권
    • /
    • pp.479-501
    • /
    • 2012
  •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russian cultural content of the russian textbook according to curriculum chang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russian textbooks on russian culture. Our education of russian language begins in high school as a second language. And russian education in high school entirely depend on the textbook. In these circumstances, Russian textbook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Russian language learning. For a practical and efficient language learning, acquisition of cultural knowledge is very important. Because cultural content can be learning motivational factors. But the contents of a textbook is not satisfactory enough to teach russian culture. More efficient textbook must be developed to advance student's linguistic ability.

차(茶)문화의 콘텐츠화를 통한 문화콘텐츠 육성 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Foster Cultural Contents through Contentization of Tea Culture)

  • 김미경;곽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9-67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의 차(茶)문화를 국내의 문화를 담은 하나의 문화콘텐츠로 육성하여 국내의 문화경쟁력을 높이며, 콘텐츠 시대 속 새로운 문화적 제재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콘텐츠산업의 성장세와 국내 문화의 흐름을 보아, 오늘날의 '한류'로 대변되는 문화콘텐츠는 현재 부재한 실정이기에 보다 한국적인 콘텐츠에 대한 개발을 통해 시대에 발맞추기 위한 움직임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 고유의 차(茶)문화를 조명했으며 차(茶)문화의 근원지로 알려진 중국의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 차(茶)문화의 콘텐츠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일은 국내 차(茶)문화에 대한 정체성과 가치를 규명하는 일이며, 이어 차(茶)문화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고 수익구조를 다각화하여 한국만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차(茶)문화의 재발견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했다.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 연구 - 안동시 중구동 사례로- (A Study on Urban Regeneration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 Case of the District of Junggu-dong, Andong City)

  • 김용남;홍형철;권기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5-386
    • /
    • 2018
  • 본 연구는 안동시 중구동을 사례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내용은 관광상품개발, 체험프로그램, 축제이벤트, 스토리텔링, 영상콘텐츠개발, 환경정비가 있다.

  • PDF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기초연구: 디지털 아카이브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A Basic Study for Digital Archiving of Hallyu Popular Culture Conten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Archives)

  • 백재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5-238
    • /
    • 2021
  • 전 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는 사회적 발전의 원동력을 제공한 콘텐츠로, 문화적 자산으로서 충분한 보존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장기 보존에 대한 인식은 아직 부족하고 디지털 아카이빙의 진행도 본격화되지 않는 상황이다.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해서는 먼저 콘텐츠의 개념, 특징, 구조, 형식, 매체, 다른 콘텐츠와의 관련성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특히,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경우, 여러 기관에서 다매체, 다양한 유형으로 제작되고 하나의 콘텐츠에서 새로운 콘텐츠가 생성 및 재제작되기 때문에, 콘텐츠의 다양화, 복잡한 콘텐츠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리 및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기초연구로,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개념, 특성, 보존 대상에 대해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아카이브(시스템/기관)를 조사하여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와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문제 요인을 토대로 기본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