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service

검색결과 1,058건 처리시간 0.027초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Empathy and cultural impac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attitude)

  • 박지영;조경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39-448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문화적 공감능력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Y지역의 전문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65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이해 및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를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양한 요인을 매개로 변화되므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문화 교육,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에의 접근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전반적인 부분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커피전문점의 문화 마케팅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카페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ultural Marketing on Customer Satisfaction of Coffee Shops: Focused on Jeju Island Cafe)

  • 이진주;왕채연;현미희;한상호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0권1호
    • /
    • pp.33-42
    • /
    • 2019
  • Purpose - Since the number of cafés operated by using cultural marketing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increasing,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ultural marketing, which is a different strategy of specialty coffee shops, focusing on Jeju Is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brand 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cultural market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ultural marketing of specialty coffee shops, and how the positiv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brand image brought through cultural promotion, culture support, cultural support, cultural enterprise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is study, Jeju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 using cultural marketing conducted in coffee shops in Jeju Island are targeted. The cafe in Jeju area, which runs from April 4 to April 14, 2018. A total of 1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the final 100 copies were used as final empirical analysis data. Result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and culture business activities have positive influence on brand image. Second, production and cultural business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Third, brand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Conclusions -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as: First, if you want to grow into a cultural enterprise in the province by enhancing your brand image, you need to prioritize cultural direction and business direction for cultural companies among sub-factors of cultural market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brand image considering the composition of the stores in the city, the facilities and the atmosphere, and the consumer tendency such as product and customer age.

An Integrated Model for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Telepresence on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in Virtual Museum

  • Hong, Kyung-Wan;Kim, Hyeon-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2호
    • /
    • pp.44-52
    • /
    • 2022
  •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lepresence on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in the context of virtual museum. We determined the effect of telepresence on visitors' aesthetic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how these experiences affect visitors' perceptions of virtual museum service value. Moreover,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virtual museum service value on museum attachment and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A total of 143 visitors were sampled through an online survey focusing on Chinese virtual museum visitors.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 paths presented significant effect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elepresence indirectly influences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through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ived virtual museum valu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provided. An important implication is that online virtual museum is essential to raise visitors' education experience and their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Thus, virtual museum should take initiative to enhance virtual reality to ensur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nd formation their cultural heritage attachment.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과 인식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Culture Diversity Educ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y)

  • 정은지;노영희;강정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1-233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일반가정 어린이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세계의 여러 다른 문화와 다양한 가치,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 차이, 실험집단-비교집단의 인식 차이, 도서관 서비스와 이용률 및 서비스 활성화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인식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 수용, 배려, 존중 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Impact of Cultural Contact Service on Brand Equity

  • SHIN, Ok-Chul;PARK, Jin-Woo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6호
    • /
    • pp.15-24
    • /
    • 2020
  • Purpos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irect service experience on brand equity components and continuance intention by focusing on cultural marketing at airport, as a huge market place. Design/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ultural contact experience of an airport's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affect the brand equity components, as well as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continuance intention. A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for airport users and a total of 31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a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ultural contact service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awareness, brand meaning, and perceived value, and all factors of brand equity compon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tinuance intention. In addition, MTE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ance intention. Conclusions/i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contact and brand attachment of tourists experiencing airport cultural marketing services on the composition factors of airport brand equ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not only as basic data to help establish a cultural marketing strategy at an airport, but also as to aid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 long-term marketing strategy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an airport.

예비 교사들의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과 교육의 필요성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Geological Heritage and the Necessity for its Education)

  • 김태형;공달용;임종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2호
    • /
    • pp.32-4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의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과 이해정도, 지질유산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지질유산 교육을 위한 학습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충청북도 소재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예비 교사 학생 총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예비 교사들은 지질유산을 주로 방송매체를 통해서 처음 접해 알고 있었으나, 지질유산에 대한 설명과 인식의 정도는 낮은 편이어서 지질유산에 대한 지식과 설명에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교사들은 대부분 지질유산 교육을 받지 못하였지만, 일부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들은 초등학교 시절이나 중학교 시절에 학교에서 교사로부터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질유산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들마저도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였다. 지질유산의 우수성과 중요성을 높이 인식하여 지질유산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현행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 지질유산 교육은 다루고 있지 않으며, 지질유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비 교사들은 학교에서 교사가 중심이 되어 지질유산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효과가 높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지질유산 교육은 학습능력이 갖춰지고, 가장 호기심이 많은 초등학교가 가장 적절한 시기라고 응답하였으며, 지질유산 교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에는 부정적인 측면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 교사들은 현행 개설된 교과내용에서 현장체험 형태의 지질유산 교육을 진행하는 것을 희망하였으며, 지질유산 관련 기관이 제공하는 동영상 자료를 주로 학습에 이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교사들에게 지질유산의 가치와 소중함을 올바르게 알리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Implementing Pedagogy of Cultural Studies to Service Learning Project: Service Learning at the Korean School in the U.S.A

  • OH, Eunjoo;KIM, Jungsub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9권2호
    • /
    • pp.143-16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xistential meanings of the culturally marginalized community organiz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examined the issues related to operating the organization and found the ways of helping such organization through service learning programs.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chose the Korean school of Knoxville in the USA as a service community organization.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method using narrative construction in the nature of the text shapes with first-person point of views.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observations and participation in the organiza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Korean school plays a role as a cultural liaison connecting the Korean culture to other cultures while enabling students to critically accept their native systems, values, and customs through understanding of their native language. However, problems were found in operating the school due to the lack of skills and knowledge of the school administration. Suggestions were made and implemented to the school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chool.

A Cross-cultural Analysis of Online Satisfaction,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An E-A-S-QUAL Approach

  • Park, Min-Jung;Kim, Min-Jeo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00-711
    • /
    • 2011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online service attributes that contribute to online consumer experiences of satisfaction, service failure, and service recovery and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hese attributes between U.S. and Korea. E-A-S-QUAL provided a useful framework for the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and web surveys were conducted by utilizing college students in both countries. No significant cultural differences were found in online service dimensions of service satisfaction. Personaliz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online service dimension of service satisfaction both in the U.S. and Korea. The findings showed significant cultural differences in terms of online service dimensions responsible for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For Korean consumers, merchandising was one of the key online service dimensions of service failure, while efficiency was the important service dimension resulting in service failure for the U.S. consumers. In addition, for U.S. consumers, efficiency and personalization were the two most frequently mentioned service dimension for service recovery, while Korean consumers put more importance on the contact and information dimensions for service recovery. This study provided a comprehensive list of online service attributes important to online apparel retailing.

DMZ(Demilitarized Zone) 접경지역의 문화서비스 평가 (Cultural Services Assessment in DMZ(Demilitarized Zone) Border Areas)

  • 고하정;권혁수;김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46-60
    • /
    • 2023
  • 본 연구는 접경지역 문화서비스 평가를 통해 지표와 방법론의 적절성을 고찰하고, 국내 핵심 생태자산인 접경지역의 생태계서비스 기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평가지표와 방법을 바탕으로 7개 시군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문화서비스 평가 결과, 여가·관광은 파주시, 경관미는 인제군, 교육은 양구군, 유산은 인제군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문화서비스의 종합적인 평가를 위한 향후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 및 광역 단위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해서는 문화서비스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서비스 평가 지표 체계 구축시 평가대상지역 스케일에 따른 지표 간의 상·하위 개념 단위나 일관성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생태계 유형에 따라 문화서비스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DB 구축 및 활용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의 문화서비스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상황에서 비물질적이고 정성적인 인식을 포함한 문화서비스 평가를 위해서는 기초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향후 광역단위의 문화서비스 평가를 위해서는 생태계 유형별로 추가적인 기초 연구 결과 축적이 필요하며, 적절한 평가지표와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여행객들의 문화적 차이 공유를 위한 공항 내 서비스 디자인 제안 (Service Design in Airport for Sharing the Cultural Difference Among Tourists)

  • 구민희;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15-421
    • /
    • 2016
  • 국제적으로 경제적 교류뿐 아니라 문화적 교류도 엄청난 성장 속도를 가지고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경제적, 사업적 부분에 있어 문화적 차이 해소를 위한 연구는 많이 되어 왔지만, 여행객을 위한 문화적 차이 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행객의 문화적 교류의 허브인 동시에 문이 되는 공항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문화적 차이 해소를 위한 공항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문화적 차이를 해결하는데 커뮤니케이션과 공유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고, 공항 애플리케이션, 와이파이 연계 사례 등을 분석하여 본 제안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행객들 스스로 문화적 차이를 문자를 통하여 공유하고, 이를 공항 내 와이파이 서비스, 기존의 공항 애플리케이션과의 연계를 통하여 자연스러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가 간의 문화 차이를 해소함과 동시에 서로 간의 발전과 국가 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