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property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7초

근현대 조경유산 보존을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reserv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 권예지;김민선;김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282-294
    • /
    • 2023
  • 국제적으로 근현대 유산의 조경적 가치에도 주목하고 이를 전승하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근현대 조경유산의 등록문화재 등록이 미미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근현대 조경유산도 법제도권 내에서 보호받고 그 가치가 조명될 수 있도록 등록문화재 제도의 등록기준과 분류체계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등록문화재의 등록기준은 유산의 유형별로 규정되어 있지 않고 포괄적인 단일 기준으로 규정되어 있다. 유산의 조경적 가치가 검토될 수 있도록 등록기준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영국과 일본의 유사 제도를 참조하여 등록기준은 첫째, 조경문화의 발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둘째 시대를 반영하거나 특징짓는 조경이 잘 남아있는 것, 마지막으로 주요 작가의 작품, 중요한 인물 또는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것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분류체계는 기연구된 대분류-중분류-소분류의 건조물 문화재 분류체계와 정합성을 이루면서 근현대 조경유산의 세부 유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대분류는 건조물 분류체계를 따르되 중분류에 단일 조경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공원 및 녹지, 광장, 정원이 추가되어야 한다. 건조물 유산과 결합된 정원 등의 조경유산은 건조물의 중분류를 토대로하여 소분류에 세부 유형이 명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향후 전수 조사되어야 할 등록 가능성이 있는 근현대조경유산의 분류 근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재 비파괴 분석법의 현황과 문제점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methods for cultural property)

  • 강대일;홍종욱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9호
    • /
    • pp.35-60
    • /
    • 1998
  • Cultural properties are valuable objects, which have exposed insevere environment and inherited for a long time but we don’t have correct information concerning materials, structure and skill of manufacture. Because the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destroyed by the deterioration elements as like wind, this must be carefully treated for investigation of exhibition and storage. Even if the observation is scientific research, we must not take actual sample from the object for obtaining information concerning the nature materials and skill of manufacture. so it is elementary principle to use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method as analytical methods for cultural property. This contribution discusses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 of X-ray fluorescence acting as a representative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method and the difference of statistics to be connected with determination and finally explains the intend facts for analysis of data.

  • PDF

이북5도 무형문화재의 전승현황과 발전방안 (Current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Ibuk 5-do and Proposal for its Development)

  • 차지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653-666
    • /
    • 2019
  • 본 연구는 현행 국가정책으로서의 무형문화재 보호제도를 살펴보고 이북5도위원회 소속 무형문화재의 정책적 지원현황을 토대로 전승지속 차원에서 근본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여 미래비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이북5도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자의 고령화와 불완전한 전승체계의 극복 둘째, 국가적 차원에서의 전승 보호정책 및 재정지원의 당위성 셋째, 이북5도무형문화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문화자원화를 위한 창의적인 발전방안 제시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인터뷰자료 그리고 해당 기관의 자료 등을 분석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령화된 예능보유자의 예우와 동시에 전승능력이 인정되는 보유자의 복수지정제도 적용 둘째, 전승의 지속성을 위한 전승자들의 육성체계 확립 셋째, 교육프로그램과 학교교육 현장의 확장으로 이북5도무형문화재 전승의 중요성 인지 넷째, 기록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응용체계에 이르는 영역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이러한 발전방안이 효율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산림화재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는 소방시설에 관한 연구 -미분무수설비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uppression System based on the Fire Protection System the Korea Cultural Property due to the Forest Fire -About Water Mist System-)

  • 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4-51
    • /
    • 2007
  • 우리나라 대부분의 문화재인 사찰은 목조 건축물로 가연성이 높고 도심과 떨어진 산속에 있어 화재 진화에도 소방력의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아 초기 진화가 어렵다. 또한 장기 지속적인 화원으로부터 문화재 보호를 위한 수원의 확보 및 자체 소방시설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로 인한 화재의 초기 진화 및 장기 지속적인 화원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고자 기존의 수계설비보다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미분무수 설비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문화재의 지형적 위치를 고려한 가연물의 발화에너지를 제거하는 방식의 소방시설과 차단벽을 활용한 방식의 소방시설을 제안하였다.

백제시대 흑색마연토기의 산출과 재현연구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Paekche Burnished black pottery and their Reproduction)

  • 최석원;이남석;이재황;이현숙;채상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4권
    • /
    • pp.4-18
    • /
    • 2001
  • Paekche black potteries are earthenwares begun to be produced at the beginning of Paekche Dynasty, around 3-century. They have typical Paekche style. Representative Paekche earthenwares are burnished black pottery, long oval shaped pots and shoulder pots. Among these, burnished black potteries are limited to Paekche in the occurrence site and age. Their numbers are a few. To reproduce black pottery, their composi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X-Ray analysis, quarts, feldspar, illite, muscovite, and anorthite were found on their surfaces and imsides spinel and vermiculite were found on their surfaces. Since same constituent minerals were found on surfaces and their insides, special other materials were not added to make surface black. With the showing vermiculite, they were made higher than $800^{\circ}C$. As a result of analysis, fine grained clay bad been influenced by the black smoke. Its luster was appeared by polishing with a big flat wooden spoon. The black color was made of smoking when the hot pot taken off from burning oven was covered with the wet pine leaves.

석조문화재 에폭시수지 개발 시험 연구 (Studies on the epoxy resins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 김사덕;김순관;김창석;홍정기;강대일;이명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0호
    • /
    • pp.139-154
    • /
    • 1999
  • We tested to obtain the excellent Epoxy resins on the property of matter. Existing Epoxy resins is tested to regulate the viscosity, color and hardening time etc. Benzen-ring structure of Bisphenol A type (AY 103) is replaced by Hydrogenated B.P.A type. And hardener is replaced by Polyoxyalkylene Amine. So we are developed into the two resins(L-30, L-40).To know if this Epoxy resins was fitted to repairing and restoration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Three kinds of Epoxy resins (AY 103, L-30, L-40) are tested on the artificial weathering test, freezing-melting test, exposure test etc. As a result of test, L-30 is less the discoloration than that of other Epoxy resins and was superior to the excellent property of matter.

  • PDF

문화재 지정 전통 상류주택의 문화자원적 활용을 위한 전시기념관으로의 리노베이션 계획 연구 - 민속자료 27호 공덕귀가를중심으로 - (A Study of renovation for the cultural resourceful utilization of traditional high-class housing designated as a cultural property - Focusing n the No.27 National Folklore Resource Kongdukguiga -)

  • 안주영;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8-121
    • /
    • 1999
  • Traditional housing must be conserved simultaneously with not only the building itself, but the circumstances of the surroundings. Hence, traditional housing should be developed as a product of a culture environment. However, most cultural properties have recently been treated as only a piece of property by irresponsible maintenance practices and damage placed on private traditional housing. Apparently, it has not always been a result of dweller's negligence. Thus, various policies must be needed to effectively preserve traditional housing. To do so, this study will indicate a new direction for the circumstance of preservation through cultural employment of traditional high-class housing as well as reduce maintenance and damage for dweller's convenience. Furthermore, this study will propose a renovation for popularization of Korean cultural assets through the gradual implementation of both economic value and public worth.

  • PDF

A Comparative Functionality Evaluation of Paulownia Wood Storage Boxes and Acid-free Archival Boxes to Store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ontrols, and Heat Release Rate -

  • Park, Hae Jin;Kim, Seong Eun;Lee, Jin Kyung;Chung, Yong Jae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2-79
    • /
    • 2022
  • A paulownia wood has been widely used with various advantages as its low weight, permeability, convenient workability and aesthetic patterns for a long time. However, the related empirical researches and simultaneous evaluations of functionality are insufficient compared with acid-free archival boxes for now. In this study,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ontrol and heat release rate were evaluated under the controlled and uncontrolled circumstance in 2018. The paulownia wood storage box showed superior control effect of relative humidity than the acid-free archival box in constantly uncontrolled environment. Also, the possibility of the flame diffusion from the surface of the materials was higher for the paulownia materials, and the acid-free archival box showed more dangerous patterns in the early stages of the fire.

목재 유물 돈궤의 미생물 제어를 위한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한 감마선 조사 연구 (Study of Optimal Gamma Irradiation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for the Control of Fungi on Wooden Cultural Property)

  • 윤민철;정용재;강대일;김익주;김광훈;이윤종;이주운;최종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7-134
    • /
    • 2011
  • 본 논문은 목조문화재의 생물학적 제어를 위하여 몬테카를로(Monte Carlo) 방법을 이용한 감마선 조사선량의 예측과 실증에 관한 연구이다. 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는 목재 유물 돈궤의 미생물 오염을 조사한 결과 채집된 곰팡이들은 대부분 Aureobasidium pullulans로 동정되었으며 돈궤를 20 kGy의 감마선 조사한 결과 모두 불활성화 되었다.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하여 돈궤의 방사선 조사선량 분포를 예측하였으며, alanin dosimeter를 이용하여 돈궤의 앞, 뒷면에 각각 7 지점에 대한 방사선 조사선량 분포를 실측하였다. 그 결과 몬테카를로 모사값과 실험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마선의 높은 투과력과 모사 예측을 통하여 최적 방사선 조사선량으로 목조 유물의 미생물학적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해외 소재 불법 문화재의 환수를 위한 법정책적 연구 (Study on the Legal Policy for Restitution of Illegally Exported Cultural Properties in Foreign Countries)

  • 송호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4호
    • /
    • pp.24-43
    • /
    • 2015
  • 2011년 프랑스로부터 병인양요 당시 약탈되었던 외규장각 도서가 반환된 것을 계기로 해외에 소재하는 우리 문화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폭발적으로 늘어났으며, 이들 문화재를 국내로 환수해야 한다는 여론 또한 매우 높아졌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해외에 소재하는 우리 문화재는 총 20개국 160,342점에 이른다. 그 가운데 약 절반가량이 불법 반출된 문화재로 추정되며, 이들 문화재가 환수의 대상이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불법 반출되어 해외에 소재하는 문화재를 환수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며, 이를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재 환수 방안이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해외에 소재하는 불법 반출된 우리 문화재의 환수를 위한 법정책적 방안을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I에서 본 연구를 하게 된 계기와 목적을 서술하고, II에서는 문화재의 반출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와 현황 및 문화재 환수에 관한 방식과 방법에 관해서 개관하고, III에서는 문화재 환수 문제를 둘러싼 분쟁에 간여되는 국제규범과 국내규범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기반으로 본 논문의 핵심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IV에서는 문화재 환수를 위한 9가지 법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해외 소재 문화재에 대한 실태조사, 문화재의 통일적인 관리와 반출 증명서 제도의 도입, 문화재 환수 방법의 다양화를 위한 재원 마련, 문화재의 현지 활용, 다자 협약의 가입과 양자 협약의 확대, 국제기관을 통한 환수와 공조, 소송과 중재를 통한 환수, 문화재 환수 전문가의 양성, 외국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크 구축 등이다. 마지막으로 V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탐구하면서 체득하게 된 필자의 의견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