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political economy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9초

예멘과 에티오피아의 문화이해와 지역협력 방안 연구 (A study on cultural understanding and regional cooperation in Yemen and Ethiopia)

  • 서대성;임헌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47-154
    • /
    • 2021
  • 본 연구는 커피를 선호하는 한국인들에게 예멘·에티오피아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지역협력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슬람지역은 직접 협력을 할 수 없어 커피산업을 통한 교류방법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역적 교류 모델과 선행연구를 조사하였고, 초기 문화와 종교의 특징을 알아보고 문화완충과 예멘의 이슬람 분쟁역사를 통한 정치종교적 지역 관계를 알아보았고 마지막으로 커피지역을 비교하기 위해 지역 커피산업과 문화에 대해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슬람 연구에 대한 지역 협력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첫째, 문화 충돌 극복, 둘째, 새로운 전략적 지역협력, 셋째, 종교보다 문화적 접근, 넷째, 새로운 기술적 지역협력, 다섯째, 예멘 난민 지역협력 병행, 여섯째, 에티오피아에서의 교두보(예멘 교역지역협력) 등의 방식을 제안하였다.

1990년대 대전의 신도시화 과정과 도시 공간의 변화 (The New Urbanization Process and Changing Urban Space of Daejon in the 1990s)

  • 최금애;강현수;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7-8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이후 경제, 정치, 사회문화, 도시 공간 및 환경 등 제 측면에서 전개되고 있는 대전의 새로운 도시화 과정을 경험적으로 확인하려는 것이다. 선진국의 경우 1980년대 이후 세계 경제 구조의 변화 속에서, 이른바 포드주의적 사회경제체제에서 탈포드주의적 사회경제체제로의 전환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선진국의 주요 대도시에 영향을 미쳐, 사회 부문별 및 도시 공간적 측면에서 새로운 도시화 과정이 전개되도록 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도시에서도 이러한 선진국 대도시들에서 경험하고 있는 새로운 도시화 과정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대전을 사례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측면에서 대전은 1990년대 이후 탈산업화와 경제의 서비스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도 기존 경제구조가 근본적으로 전환된 것은 아니며, 기존 산업 유형과 새로운 첨단산업 경제가 공존하고 있다. 둘째, 정치적 측면에서 대전에서는 지역 정당인 자민련의 독점 구조가 해소되고 있으며, 시민운동의 활성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도시 공간적 측면에서 원도심의 쇠퇴가 진행되는 반면, 둔산과 유성의 신도심 지역의 발전이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대전에서 새로운 도시화의 단서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서구의 대도시들에서 나타나는 현상보다 훨씬 약하며 다소 상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PDF

NFT 예술의 탈중앙화와 지식재산권 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 :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centraliza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IP) construction strategies in NFT art: Focusing on the Chinese case)

  • LIN LI;Rui Zhan
    • 트랜스-
    • /
    • 제16권
    • /
    • pp.33-68
    • /
    • 2024
  • 급성장하는 디지털 경제 환경 속에서 NFT가 예술계 내에서 화제의 중심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NFT 예술이 중국의 정치경제, 사회문화적 상황과 관련된 제약으로 인해 발전이 더딘 상황이다. 엄격한 관리 및 통제로 인해 암호 화폐의 유통이 제한되어 있고, NFT 예술에 대한 대중의 인식 및 수용 수준, 시장의 성숙도도 아직 낮은 편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에서는 중국 미술 창작자와 시장 참여자가 중국 시장의 특성에 맞는 온라인 개인 미술 IP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고 전망하여 그 현황과 가능성을 모색한다.

고구려인의 복식문화고찰-집안지역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 양경애
    • 복식
    • /
    • 제25권
    • /
    • pp.183-199
    • /
    • 1995
  • Among many different approaches of study of history of Kokuryo clothing cultur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stume by including political , militarial , economical , cultural , and religious aspects of Kokuryo society. It also included pictures in mural tumbs and old studies in Kokuryo costume. Clothing culture related to political life clearly differenciated social status by restricting styles and colors of clothes according to peoples social status. Generally people in high social status wore clothes with detailed decorations invariety of colors, and also used more fabrics than people in low social status. Costume was also affected by military life style that needed to meet the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High rank worriors wore iron scaled shielded clothes with red decoration on it which identified different ranks of the worriors. Economy also contributed it role to affect the clothing styles in Kokuryo. Based on old studies of costume, this study focused on people's life styles that included hunting and weaving . Hunting clothes were differentiated by decorating wit feathers . Jowoguan(조우관) is one of the examples. Since weaving was a major economic power or factor, silk and flax were very popular. People even used those fabrics to pay tax. Regarding cultural aspect , this study emphasized on song and dance wear along with active wear. Song and dance wear specially decorated with poka dots, however men and women wear were claryly distinguished. Unlike other clothes that were restricted in colors and styles, song and dance wear were decorated in variety of colors. Lastly this study presents religious aspects of Kokuryo costume . Monks wore black clothing (내의) that was influenced from China and the Western Regions(서역). To emphasize their religious power, Gods in the pictures of mural tumbs wore clothes with wings and feathers. God of fire and agriculture wore simple dresses without much decorations which represented simple life style of working class.

  • PDF

The Effects of Censorship and Organisational Support on the Use of Social Media for Public Organizations in Mongolia

  • Erdenebold, Tumennast;Kim, Suk-Kyoung;Rho, Jae-Jeung;Hwang, Yoon-Mi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2호
    • /
    • pp.61-79
    • /
    • 2020
  • Purpose - This articl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socio-political factor of censorship precondition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 mediating performance expectancy of public sector officials' behavioural intention to utilise social media in a post-communist country, Mongolia.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ed 212 survey data from public sector organisations in Mongolia. Using the Partial Least Squire (PL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proposal model grounded on the UTAUT model. Findings - There are still communist footprints in the form of censorship, which remained as a negative precondition factor, and this has an indirect negative influence, and organisational support mediates to enhance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factors have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he use of social media systems in the government domain of Mongolia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model of public employees' intention to examine the post-communist countries' cultural,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s, government organisational environment of the former communist sphere. The cultural factors, censorship and organisational support, to the existing IT adoption UTAUT model were also identified to test the situation of a post-communist country, Mongolia.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new theoretical involvement with social media by testing a new social media-based third-party intercommunication channel, including intent to use in the public service for post-communist countries. This study practically provides the guidelines to promote social media usage for public sector in the post-communist situation.

인도의 문화코드와 글로컬문화콘텐츠 (Indian Culture Code and Glocal Cultural Contents)

  • 김윤희;박치완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4호
    • /
    • pp.79-106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글로컬문화콘텐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골드만삭스의 BRICs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는 중국과 더불어 미래 글로벌 경제의 성장 동력이자, 문화콘텐츠 소비시장의 새로운 블루칩으로 주목 받고 있다. 글로컬문화콘텐츠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각 나라의 문화를 체계적·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인도의 경우 단일문화권인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복합·다문화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 중국, 일본을 대표하는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하지 않아 문화적 거리감도 큰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도 진출을 목적으로 한 한국기업들을 위해 글로컬문화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인도의 문화코드를 이해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인도는 정치와 사회 그리고 문화 분야에서 대략 다음과 같이 9가지 문화코드가 발견된다. 먼저 정치와 사회 문화코드로는 다음 5가지가 있다: i) 지속적 민주주의와 서민구제, ii) 권력지향적 권위주의, iii)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성향을 동시에 지닌 집단적 개인주의, iv) 생활종교의 정착, v) 미래보다 현재에 충실한 '카르페 디엠'. 그리고 경제 문화코드는 vi) 12억 인구가 모시는 또 다른 신인 돈, vii) 과소비를 지양하는 실용적 구매라는 2가지 코드로 요약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인도인이 선호하는 문화콘텐츠 코드로는 viii) 인도의 국민문화콘텐츠라고 할 수 있는 맛살라 무비를 들 수 있다. ix) 그리고 이 맛살라 무비의 공통된 주제인 해피엔딩을 꼽을 수 있다. 결론에서는 <대장금>, <괴물>, <디워>를 앞서 제시한 9가지 인도의 문화코드에 적용하여 어떤 점이 부합하고 또 어떤 점이 부합하지 않는지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인도를 상대로 한 비즈니스는 결코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일차적으로 인도라는 나라가 문화적으로 다양성을 기초로 이루어진 국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인도의 현존하는 문화적 거리를 좁히는 것이 우리나라의 문화콘텐츠산업이 인도에 진출하는데 있어 가장 큰 과제라 할 수 있으며, 현지화 과정에 있어서는 인도인이 선호하는 콘텐츠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국내의 자동차 디자인 발전과정의 체계화와 자동차 박물관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atic approach of the Korean automotive design developing and the necessity of an automotive museum)

  • 구상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57-64
    • /
    • 2001
  • 한국의 자동차산업은 1980넌대와 1990년대 초까지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자동차메이커의 수가 일곱 개에까지 이르는 등 급격한 양적 팽창을 하였으나, 1990년대 후반 이후에 밀려온 자동차산업에서의 전 세계적인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면서 내실을 기하기 위하여 인수와 합병 등의 방법을 통하여 변화되기에 이르렀다. 산업규모의 양적인 팽창에 치우쳤던 과거의 발전 방향에 비추어 볼 때, 단순한 기계제품, 또는 산업제품 이라기보다는 문화적 인식과 조형적 접근이 요구되는 자동차라는 독특한 공업제품은 그를 뒷받침 할만한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자동차에 대한 문화적 이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것은 자동차 산업을 수출 중심의 경제 발전을 위한 도구로써 인식한데서 기인한 한계로 볼 수 있다. 오랜 역사와 굴지의 규모를 가진 자동차 선진국의 예에서 살펴보듯이 자동차는 단순한 기계제품이나 상품으로써 가 아니라, 문화적 배경을 가지는 생활 도구로써의 접근이 요구되며, 그러한 인식을 통해서 세계시장에서 독자성을 가질 수 있는 품질과 디자인의 개발이 가능하다 글로벌 경쟁 체제에 들어간 21세기 한국의 자동차디자인과 산업의 당면과제는 외곽상품의 모방적인 개발 방식에서 탈피하여 한국 사회만의 문화적 특성을 정립시켜 대중적 인식 확대를 통한 독자성의 확보이며, 이를 위한 사회의 간접부분으로써 박물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 PDF

Labour of Love: Fan Labour, BTS, and South Korean Soft Power

  • Proctor, Jasmine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79-101
    • /
    • 2021
  • With the steady rise in global popularity of the Korean music group BT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surrounding industries have swiftly begun utilizing their image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for specific nation branding purposes. While K-pop soft power strategies are not novel to the South Korean state, what is new is the rapid speed at which BTS have become a beacon for South Korean culture, language, and symbolism in the international arena. However, few scholarly works have sought to investigate the role fans have played in this heightened position for the group as state representatives, with minimal research conducted into the work fans do within the framework of ARMY fan culture. This paper will thus aim to fill the gap in scholarship on ARMY as an organized labour network, focusing on the role fans play as labourers in online spaces that work to promote, disseminate, and cultivate wider recognition for BTS as artists. Through the conjunct engagement of a political economy framework and theories of participatory culture, this paper will explore the manner through which the free labour of ARMY, premised on affect, has constructed the fandom as active agents of soft power alongside BTS themselves.

A Research of the Logistics Legal System in China-Korea FTA

  • Zhang, Fan;Su, Shuai
    • 융합경영연구
    • /
    • 제6권1호
    • /
    • pp.25-30
    • /
    • 2018
  • Purpose - This paper mainly studied the role of the logistics legal system in promoting international transport logistics, building marine economy international cooperation demonstration zone and deepening the economic and financial cooperation etc between China and Kore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China and Korea's 2012-2017 years data. After empirically analyzing the data, we believe that cultural industry in Korea and China will maintain its growth momentum. Results - This study explored the way to establish an integrated logistics system between China and Korea to match the e-commerce certification system, online payment system and logistic distribution, thereby gradually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and logistics integration in Asia. Conclusions- China-Korea FTA can encourage private flow to take on enterprises. In terms of improving logistics efficiency, reducing logistics costs and establishing a unified logistics industry standardization system. This will accelerate logistics industry integration in Northeast Asia, build a unified logistics management center in Northeast Asia, and promote a new model of integrated logistics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erefore, it has a practical and reference significance.

중의학의 발전모형에 대한 연구 -전문화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Development Model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 - Centering on the Process of the Professionalization -)

  • 이현지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11-616
    • /
    • 2003
  • Through the whole period of the twentieth century,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been affected by the political and cultural changes of Chinese society. Before the 1949 Communist Revolution,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was regarded as a dark past which should be cleared off. But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been reevaluated as a national medicine and spreaded quickly since the 1949 Communist Revolution. Moreover, 'the bare foot doctor' who received short term training appeared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It enhanced the status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At the same time, it was estimated as a model of the self-reliant development of Third World countries. B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was changed again recently. Chinese government has adapted the open-economy policy since the late 1970s. Accordingly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also has been changed. Nowadays it pursue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y. This paper inquir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historical changes i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happened? Second, how much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accomplished the professionalization? Third, what kind of problems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met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ization? Finally, why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adapte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