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landscape

검색결과 1,093건 처리시간 0.028초

한강(漢江)의 역사문화경관 연구 - 조선시대 경강(京江) 동호(東湖)지역(地域)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Han River - Around East Lake of Kyung River in Joseon Dynasty -)

  • 김선화;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5-67
    • /
    • 2014
  • 조선시대 경강 동호지역은 역사와 문화적 요소가 풍부하여 역사문화경관의 명승명소가 많았으나 현대 한강은 자연경관에 비해서 문화성과 역사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강이 지니고 있는 역사문화적 요소를 한강의 경관에 적용하고자 조선시대 문화공간의 경관 특성을 린치의 시각적 이미지요소에 적용하여 경관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호를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적용했을 때 '통로'로서 높게 인식되었고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경계'의 명료성 또한 동호가 높게 인식되었다. 방향 전환점인 '결절점'은 두모포가 인지도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린치의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서 '랜드마크'를 문화공간에 적용했을 때 경강 동호, 압구정, 제천정이 우월한 인지도를 보임으로써 역사문화경관의 지명도와 명성은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비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문화공간의 패턴, 구조, 의미가 명료하고 정체성이 확실할수록 '랜드마크'와 '지역'요소가 높게 인식되었다. 공간의 지명도가 높을수록 역사문화경관의 인지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한강의 역사문화경관 복원 시 시각적 인지도를 고려하여 조사하고 사례연구 함으로써 장소의 복원과 함께 역사성과 문화성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압구정의 역사경관의 문화 콘텐츠적 가치 (The Value of Culture Contents on Historical Landscape of Apgujung Pavilion)

  • 김선화;이재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28-441
    • /
    • 2014
  • 한강은 한양도성 성저십리 남쪽 경계를 흐르는 승경지여서 별서지로 유명하였다. 연구는 15c 중엽 한명회가 강 남쪽에 세웠던 압구정에 관한 고찰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압구정이 세워졌던 한강은 문화적인 풍류지역이었다. 둘째, 서호의 정자는 1454-1456년 조성된 초정, 동호의 압구정은 1469-1473년에 조성된 별서였다. 서호의 정자는 잊혀졌고 동호의 정자는 압구정동 이름에서 기억되고 있다. 셋째, 압구정 역사문화경관에는 시대별 경관의 특성과 유래가 담겨 있어 압구정동은 지명의 스토리와 함께 인식된다. 압구정이 세워졌던 한강은 현대적인 도심의 경관에도 불구하고 수경관이 아름답다. 넷째, 압구정지에는 한강을 조망하는 시각적 경관과 문헌을 통한 역사문화적 경관의 향유가 있고, 경관은 한강이 가장 중요한 경관텍스트이다. 압구정 역사문화경관은 변하지만, 서울의 중심을 흐르는 한강이 있는 한 역사문화적인 경관을 문화콘텐츠로 활용할 때 경관적 가치는 향상될 것이다. 연구를 통해 한강 수계의 역사경관 복원 시 압구정 스토리와 다양한 문화콘텐츠 활용은 함양될 수 있다.

근현대 조경유산 보존을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reserv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 권예지;김민선;김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282-294
    • /
    • 2023
  • 국제적으로 근현대 유산의 조경적 가치에도 주목하고 이를 전승하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근현대 조경유산의 등록문화재 등록이 미미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근현대 조경유산도 법제도권 내에서 보호받고 그 가치가 조명될 수 있도록 등록문화재 제도의 등록기준과 분류체계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등록문화재의 등록기준은 유산의 유형별로 규정되어 있지 않고 포괄적인 단일 기준으로 규정되어 있다. 유산의 조경적 가치가 검토될 수 있도록 등록기준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영국과 일본의 유사 제도를 참조하여 등록기준은 첫째, 조경문화의 발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둘째 시대를 반영하거나 특징짓는 조경이 잘 남아있는 것, 마지막으로 주요 작가의 작품, 중요한 인물 또는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것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분류체계는 기연구된 대분류-중분류-소분류의 건조물 문화재 분류체계와 정합성을 이루면서 근현대 조경유산의 세부 유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대분류는 건조물 분류체계를 따르되 중분류에 단일 조경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공원 및 녹지, 광장, 정원이 추가되어야 한다. 건조물 유산과 결합된 정원 등의 조경유산은 건조물의 중분류를 토대로하여 소분류에 세부 유형이 명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향후 전수 조사되어야 할 등록 가능성이 있는 근현대조경유산의 분류 근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의령 입산마을의 중층적 경관 특성 (A Study on the Over-layer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Ipsan Village, Uiryeong Area)

  • 임의제;소현수;배수현
    • 농촌계획
    • /
    • 제24권1호
    • /
    • pp.113-127
    • /
    • 2018
  • This study comprehends that the landscape of Ipsan Village is the accumulated output of the landscape management and social behavior by the historic personages through the reference research and field surveys. And the study sorted out the over-layer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Ipsan Village by analyzing the dispersed landscape elements as follows. First, right before the start of Japanese invasions to Korea(1592-98), Tamjin(耽津) An(安) Family moved into Ipsan and started establishing the a single clan village. At a site with mountain background and facing the water(背山臨水), the village used to be a typical farming one with an organically planned road-system and housing area following the traditional order. However, the landscape has changed drastically since the 20th century with the construction of banks, roads and readjustment of arable land etc. Second, the original landscape, which can be figured out through the 'Gosanjaesibyukgyeong(高山齋十六景)' in the 18th century, shows its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 mountain & valley, stream & field, traditional trees, etc, cultural landscape: village, well, spring, etc, and momentary landscape: seasons, time, weather phenomena, sound, behavior, etc. Third, based on the second, 16 natural landscape elements: mountain & stream, planting, etc. and 25 cultural landscape elements: housing spaces, self-cultivation & ceremony spaces, community spaces and modern education & enlightenment spaces were selected and interpreted as landscaping meanings. Fourth, the over-layered landscape which stems from the compositive functions and inter-connectivity of landscape elements which consists Ipsan Village is regarded as 'Natural geographical and Fungsu landscape', 'Rural production and livelihood landscape', 'Confucian ceremony and symbolic landscape' and 'Modern education and enlightenment landscape.'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경관선호에 관한 비교 문화적 연구 (A Cross-cultural Comparisons for Landscape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Garden)

  • 정성혜;심우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4-112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ross-cultural comparison of landscape preferences among Korean, Japanese and Western groups, and to get some clues to be used in judging this cultural influence.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fundamental data for design theory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Natural factors including vegetation, water and rock, structural factors and spatial factors could be significant variables o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The mean preference scores for both landscape element and landscape spa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1, p(0.05) with the Korean most perferred, the Western in the middle, and Japanese least. There were both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landscape preference among Korean, Japanese and Western groups.

  • PDF

역사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경관협정 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andscape Agreement Project for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 신민지;신지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29-139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의 경관관리를 위해 경관협정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 역사문화경관을 보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관협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경관협정의 내용이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제점 및 경관유형에 따른 경관관리 방법과 경관협정내용의 일반화가 필요하다는 문제에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역사문화경관 보전 관련 가이드라인 고찰 및 주민자치 및 참여에 의한 경관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 내외 지역 사례 등을 고찰하여 도출된 항목들을 통해 지역민이 직접 참여하여 스스로 지킬 수 있는 지속적이고 실효성 있는 경관관리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역사문화경관 보존을 위해 지역 주민이 자발적으로 지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관협정 항목으로는 역사문화경관 주변의 조성에 있어 건축물 외형 및 외부공간 등이 역사문화경관을 모티브로 하여 접근성과 상징성이 나타나도록 조성할 것으로 고려해야 하며, 가로환경에서 보행 친화적인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옥외광고물 및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주의를 기울이고, 기존의 역사문화경관과 조화로운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중요도가 낮아 필요시 포함될 수 있는 사항으로 제안할 수 있는 내용은 건축물의 규모를 제한하고, 건축설비시설의 은폐 및 집약화로 노출을 막는 세부 사항과 외부공간의 유지관리, 자연친화적인 재료의 사용 및 야간경관의 네온표지판관리 및 야간조명시간 운영에 대한 사항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전통성이 나타나는 역사문화경관의 경관관리를 위해 지역민이 스스로 추진하여 경관향상 및 지역민의 경관에 대한 의식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n Evaluation on Citizens' Satisfaction with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in Gyeongju Historic Areas - The Case of Wolseong District -

  • Park, So-Yeong;Heo, Sang-Hyun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186-19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itizens fo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in Gyeongju Historic Areas registered as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in November 2000 and thereupon,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the design of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for the cultural propert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ditions of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in Wolseong Zone of Anapji, Banwolseong, Dongbu Sajeokji, Cheomseongdae and Gyerim, there were found 391 lighting fixtures of 12 types in Anapji, 138 lightings of 4 types in Banwolseong, 38 lightings of 6 types in Cheomseongdae, 28 lightings of 3 types in Dongbu Sajeokji and 54 lightings of 5 types in Gyerim. As a result of analyzing citizens' satisfaction with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it was found that citizens were satisfied more or less with the nightscape image changed by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their satisfaction scored 3.836 on average for Anapji on a 5-point Likert type scale, 3.516 for Banwolseong, 3.446 for Dongbu Sajeokji, 3.650 for Cheomseongdae and 3.479 for Gyerim. However, citizens' satisfaction with the originality of the nightscape was generally low: 3.055 for Anapji, 2.914 for Cheomseongdae, 2.877 for Banwolseong, 2.847 for Gyerim and 2.665 for Dongbu Sajeokji. On the other hand, since most of the lighting fixtures were installed as inserted lights or floodlights, the color tones of light source were relatively highly distinctive, but the peripheral spaces around the cultural properties were rather dark, which means that citizens were feeling inconvenient more or less for using the amenities such as bench or waste box. All in all, their satisfaction with the outdoor landscape at the sample zone at night scored 2.981, lower than the normal level.

문화재의 전통조경설계용역 발주실태 연구 (A Study on the Ordering Status of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Service in Cultural Heritage)

  • 김민선;김충식;이재용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3-41
    • /
    • 2021
  • 문화재 설계용역을 수급하기 위해서는 현행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제5조(문화재수리 및 실측설계 제한)에 따라 건축사가 운영하는 문화재실측설계업자만 입찰에 참가할 수 있고, 전체 설계에서 일정 비율이나 금액의 전통조경설계가 포함된 경우 조경기술자가 제한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법의 실측설계 제한에 대한 문제점은 2010년 제정 당시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정부기관에서 발주한 1037건의 문화재실측설계용역을 분석하여 전통조경설계가 차지하는 규모(발주건수, 설계금액)를 파악하고, 주요 사례를 중심으로 전통조경설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년간 문화재실측설계용역에서 전통조경설계의 발주건수는 연간 차이를 보였으나, 설계금액은 연평균 근사(近似)하게 나타나 매년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설계에서 3년간 조경기술자의 책임 또는 참여가 요구된 전통조경설계의 건수는 약 26%의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조경설계는 건축사로 구성된 문화재실측설계업자가 대체할 수 없는 조경기술자의 전문지식과 경험이 요구되었다. 전문성은 공사의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기반조성 공사를 위한 지형설계는 땅의 형상과 높낮이에 대한 이해, 토공량 계산, 유구정비기법 등에 관한 전문지식이 요구되었다. 식재공사를 위한 설계는 수목의 생육특성과 생육환경에 대한 기본지식과 과거 식생경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였다. 한편, 전통포장 및 전통조경구조물과 시설물공사를 위한 설계는 전통 재료와 가공 및 시공기법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였다. 계곡, 하천 등 수체계 정비를 포함하는 생태조경공사를 위한 설계는 물길과 생태계의 변화, 유체(流體)의 원리, 유체의 유형별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었다. 이 밖에 문화재지정구역 또는 보호구역과 등록문화재 내 공원조성 및 주변정비를 목적으로 시행된 복합설계는 문화재공간의 특수성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상시로 이용하는 공원의 기능을 충족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대조경공간의 설계 능력이 겸비되어야 했다. 이처럼 전통조경설계는 전체 문화재 설계의 약 1/4을 차지하는 규모이며 설계에서 타 분야와 차별화된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이는 현행 법령의 실측제한관련 조항을 개선하여 모든 전통조경설계를 조경기술자가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조경기술자가 직접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전통조경설계업체의 신설 필요성을 시사한다.

제주(濟州) 향토(鄕土) 돌문화경관(景觀)자원의 인지적 특성 분석 -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Resources of Je-ju Local Stone Culture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

  • 임진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2-141
    • /
    • 2020
  • 본 연구는 세계적 유산 가치를 지닌 제주도 돌문화경관자원에 대한 기초적 조사로써 다양한 제주 향토자원의 우수성과 앞으로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 제공에 궁극적 목적이 있다. 제주 돌문화자원의 경관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문헌연구와 함께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돌문화자원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이에 한·중국인이 가지는 있는 제주돌문화경관의 인식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제주의 대표적 향토자원은 돌이고, 그것의 큰 특징은 자연성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돌문화자원의 이미지에 있어 "조화로운", "매력적인",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높게 평가하였고, 밭담을 "아름다운", 돌하르방을 "친근한"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한·중인이 가장 선호하는 돌문화자원은 밭담과 돌하르방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선호도에는 서로 차이가 존재하였다.

정비사업을 통해 본 부여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 (A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of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from Perspective of Maintenance Project)

  • 김미진;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49
    • /
    • 2021
  • 정림사지 정비사업은 사찰을 구성하는 건물의 원형복원을 목표로 하였으나 점차 사역의 경관을 조성하는 조경 정비로 이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첫째, 문화재 조경은 문화재보호법상 지정된 문화재와 주변에 지정된 문화재 보호구역을 공간적 범위로 하여 경관을 조성, 유지, 관리하는 조경 행위로서 유구 보호 및 정비, 기능별 공간 배치와 동선계획, 문화재 보호를 위한 구조물 설치, 방문자 편의를 위한 시설물 도입, 식생경관 조성을 포함하는 작업이다. 둘째,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은 일제의 문화재 지정과 발굴조사로 사찰명이 밝혀진 '고적조사사업', 광복 이후 '백제탑공원 조성', 사적으로 지정된 '백제문화권 개발사업', 고증의 어려움으로 전각의 복원 대신 공원과 박물관 건립으로 이행된 '백제문화권 특정지역 종합개발사업', 백제 창건 당시 가람 배치를 회복하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정림사지 복원사업'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부여신궁(扶餘神宮) 외원(外苑)과 연계된 기념공원 조성, 일제강점기의 시가지계획 실현, 발굴 유구와 사역의 보호환경 조성, 가람 배치의 원형복원, 문화재의 진정성 회복과 활용이라는 정림사지 경관 변화의 배경을 확인하였다. 넷째, 정림사지 경관은 문화재 지정대상과 범위, 토지이용, 동선·포장, 유구정비 수법, 구조물, 시설물, 식생으로 결정되는데 이들의 정비 양상을 고찰한 결과, 문화재 영역의 시각적 차별화로 위계성 부여, 문화재 지정 범위 확장을 고려한 과정적 경관 조성, 가역성을 고려한 유구 정비로 진정성 확보, 역사문화경관에 어울리는 식생경관 조성, 오픈스페이스 제공으로 문화유산 향유가치 증진이라는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