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heritages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안동시 하회마을과 필리핀 일로코스써 비간시의 건축 문화유산 (Architectural Heritage of Hahoe Village in Andong City, South Korea and Vigan City in Ilocos Sur, Philippines)

  • 유영찬;김곤
    • KIEAE Journal
    • /
    • 제8권2호
    • /
    • pp.47-52
    • /
    • 2008
  • A nations' cultural heritage embodies its intellectual and spiritual contributions to its civilization of mankind. Cultural properties, whether tangible or intangible, represent both the essence and the basis of national cultures. Both the Philippines and South Korea's cultural heritages have survived various unfortunate chapters of their long histories. This study's purpose is to explore and evaluate the phenomenon of the architecture of Hahoe village in Andong city, Korea and Vigan city of Ilocos Sur, Philippines and to understand and cherish the cultural heritage of both countries. The historic city of Vigan has a unique architecture that blend Ilocano, Filipino, Chinese and Spanish styles in a tropical Asian setting, with a typical Spanish colonial urban layout as specified by the Ley Delas Indias. Hahoe village also represents a masterpiece of human creation and exhibit an important interchange of human values in architecture, monumental arts, town planning and landscape design. Though diverse in milieu, Hahoe village and Vigan city share a common phenomenon which is architecture that is called cultural heritage.

영양 사암을 대상으로 한 에틸실리케이트 계열 처리제의 강화효과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for Effectiveness of Consolidation Treatment by Using the Chemical of Ethyl Silicate Series for the Sandstone in Yeongyang)

  • 이장존;한민수;송치영;전병규;도민환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0호
    • /
    • pp.125-136
    • /
    • 2009
  •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have a severe damages from chemical and biological weathering because most of them have been situated in outdoors without any suitable protection systems, and this in turn causes deformation and structural damage. To counteract these problems and increase durability, various kinds of conservation materials are used i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reatments. However until now there are not many practical and technological experiments on this subject. This paper attempts quantitativ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about chemical of ethylsilicate based resin for sandstone in Yeongyang-gun. It takes a long time to evaluate durability and side effect after conservation materials treatment. So we use artificial weathering through freezing§ thawing experimental method.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porosity and absorptance increased, and elastic wave speed, elastic modules,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decreased more than before. This study plans to make a scientific method study about weathering factor and mechanism, and to deduce correlation between artificial weathering and natural weathering.

  • PDF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석조문화재 표면오염물 분류 및 정확도 평가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을 중심으로 - (Accuracy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of Surface Contaminants of Stone Cultural Heritages Using Hyperspectral Image - Focusing on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Gyeongju -)

  • 안유빈;유지현;최명주;이명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3-81
    • /
    • 2020
  • 초분광 이미지 분석은 석조문화재 손상지도 제작 시 화학적·생물학적 오염의 정량적인 면적산출이 어려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표면오염물이 나타나는 경주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을 대상으로 초분광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화학적·생물학적 오염은 색상과 형태에 따라 10가지 범주로 구분하였고 범주의 참조 이미지 제작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오염물을 분류하기 위해 SAM 알고리듬을 사용하고 관심영역을 사용한 분류방법(Method A)과 영상에서 추출한 분광정보를 라이브러리로 구축하여 분류하는 방법(Method B)을 적용하였다. 분류된 이미지를 참조 이미지와 비교한 결과, 정확도는 분류 방법에 따라 52.07%와 63.61%, Kappa 지수는 0.43과 0.55로 산출되었고, 분류시 오분류 화소는 동일한 계열의 오염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인다.

석조문화재 해체에 따른 표면 손상부분 보강방안 연구 - 승화성(가역성) 강화처리제 적용실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of the Damaged Stone Surface by Dismantling of Stone Cultural Heritages - Focusing on the Experiment of a Sublimation(Reversibility) type Consolidant -)

  • 이태종;오정현;조하진;김사덕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1-360
    • /
    • 2015
  • 본 논문은 석조문화재 해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표면 손상부분 보강방안 마련을 위해 승화성 강화처리제인 시클로도데칸을 사용한 임시 강화처리제를 연구한 결과이다. 기존 발포성 우레탄 폼을 사용한 보강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클로도데칸을 용제에 희석하여 표면 및 박리 내부를 보강하여 부재를 해체한 후 $60^{\circ}C$ 내외의 열을 가해 승화시키는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시클로도데칸이 전량 승화되는 뛰어난 가역성과 손상된 표면의 보강과 강화에 필요한 강도를 담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용제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석유에테르에 희석하는 방법 또는 중탕하여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현장에서의 작업여건을 고려하여 박리부분 주입 및 충전은 석유에테르 중탕 방법, 표면 도포는 석유에테르에 희석한 시클로도데칸으로 임시 강화처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통한지의 제조 기술 및 우수성에 관한 논고(論考) (A study on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excellenc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 정선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1호
    • /
    • pp.96-131
    • /
    • 2015
  • 한지는 우리의 옛 선조들의 뛰어난 기술과 장인정신으로 오늘날에도 그 가치와 기술을 높게 평가받고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이는 그 시대의 장인정신과 축적된 기술, 한지제조에 적합한 천혜의 자연조건인 닥섬유와 물과 햇빛과 더불어 환경친화적이고 보존성이 우수한 천연자숙제 및 점질물 등이 잘 어우러진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한지는 닥나무 껍질(저피(楮皮))을 가공하여 손으로 만든 종이를 일컫는 것으로 조선 말엽 일본을 통하여 서양식 기계로 제조한 종이가 생산되면서 그간의 종이는 한지라 하고 서양의 종이를 양지라 구분하여 부른다. 한지는 재료 및 초지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고 사용되어져 왔으며, 그 기능 또한 다양하게 활용되어져 왔다. 또한 한지는 과거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동양 3국(한국, 중국, 일본) 중에서 독특하고 우수한 품질로 각광을 받아왔고, 오늘날 한지 특유의 우수한 보존성으로 수많은 국가지정 지류문화재들이 지금까지 잘 전승되고 있다. 아울러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한 UNESCO 세계기록유산에 한국은 모두 11건이 등재되었는데 그 중 전통한지로 구성되어 있는 기록물은 8건으로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직지심체요절,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의궤, 동의보감, 일성록, 난중일기"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한지의 우수한 보존과학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 사업들이 진행되어져 왔다. 한지에 대한 분석기술과 제조기술개발, 복원기술연구 등을 통하여 우리 전통한지에 대한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재입증하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유산의 하나로써 그 명맥을 유지해 나가야할 것이다.

도포방식에 따른 밀랍지 시제품의 특성 분석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Wax-treated Paper Depending on Coating Methods)

  • 서진호;최경화;박지희;강영석;윤경동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2호
    • /
    • pp.64-69
    • /
    • 2009
  • Cultural heritages represent the histories and intellectual level of a country.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are regarded as the most valuable resources containing the record of Korean history. In some periods, wax-treated paper wa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Many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paper used as the material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but the manufacture method of wax-treated volumes and the degradation mechanism of wax have been not fully understood yet.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produce various kinds of wax-treated paper using by different coating methods and to analyse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wax-treated paper. The analysis of SEM demonstrates that beeswax treated paper made by brushing method produces flatter surface and more excellent penetration. Wax layer is produced on the cross section of beeswax treated paper as the increase of coating amount.

뒤채움재의 물성과 지반의 강성에 따른 석축 문화재의 구조 안정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of masonry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fill material and the stiffness of the ground)

  • 이가윤;이성민;김재영;이기학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53-63
    • /
    • 2024
  • The cultural heritage of fortresses is often exposed to external elements, leading to significant damage from stone weathering and natural disaster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cultural heritage, dismantling and restoration are often impractical. Therefore, the stability of fortress cultural heritage was evaluated through non-destructive testing. The durability of masonry cultural heritage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ck-fille material. Dynamic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and endoscopy was used to inspect internal fillings. Additionally, a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surrounding ground through elastic wave explor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oss of internal fillings in the target cultural heritage site could lead to further deformation in the future, emphasizing the need for careful observation.

GIS에 의한 국가지정 목조문화재 기반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층별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Geologic Age and Rock Type of Bedrocks at the National Wood Culture Heritage Site by GIS)

  • 윤현수;이진영;김용원;홍세선;김은경
    • 암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7-364
    • /
    • 2015
  • 본 연구는 국가지정 목조문화재 재난안정성 평가항목에서 지질분야 요소에 기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대상은 전국 333 건의 목조문화재 분포지 기반암류의 GIS 해독에서 한 개의 구성암층으로 해석된 304 건의 문화재가 해당된다. 이들 대상문화재 기반암류의 지질시대별 지질구 및 구성암층의 분포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질시대 분류에서는 쥬라기, 백악기, 제4기, 선캠브리아기, 시대미상 캠브로-오도비스기 석탄기 그리고 제3기의 순으로 그 분포값이 감소한다. 그 중 전자 넷이 285건(93.8%)를 차지하여 목조문화재 기반암류의 거의 대부분을 이룬다. 지질구는 모두 15개로 분류되며 그 중 대보관입암류, 충적층, 경상누층군, 불국사관입암류, 영남육괴, 경기육괴 등의 순으로 감소하며 이들이 도합 271건(89.1%)을 가져 그 대부분을 이룬다. 문화재 기반암류는 모두 52개의 구성암층을 이루며, 그 중 우세 분포그룹인 6개 구성암층 쥬라기 화강암류(Jgr), 제4기 충적층(Qa), 백악기 반암류(Kp), 백악기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Krt+Kav+Kav1+Kav2), 백악기 흑운모화강암(Kbgr) 및 선캠브리아기 경기변성암(편마암)복합체(GC2)가 도합 182건(59.9 %)를 이루어 비우세 분포그룹인 나머지 46개 암층과 뚜렷이 구분되는 경향을 보인다.

국내 9기 석조문화재의 생물오염피복도 및 기중조류 군집 (The Community of Aerial Algae and the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at 9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 김용진;김옥진;이옥민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5-154
    • /
    • 2011
  • 본 연구는 2008년 6월에서 11월까지 국내 9기의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색에 따른 오염등급의 평가와 생물오염피복도를 조사하였다. 생물오염피복도는 홍천물걸리삼층석탑, 수타사삼층석탑 및 수타사홍우당부도에서 90% 정도로 나타났으며, 선태류의 생물오염피복도가 15~23%의 범위로 생물오염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에 따른 생물오염등급은 괘석리사사자삼층석탑, 수타사삼층석탑, 수타사홍우당부도가 등급 5로 오염등급이 가장 높았으며, 여주창리삼층석탑이 등급 2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생물오염등급과 지의류의 생물오염피복도는 높은 상관성(r=0.91)을 나타냈지만, 기중조류와 선태류의 생물피복도와는 상관성은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각 출현종과 생물오염피복도(선태류, 지의류, 기중조류)의 상관분석결과 선태류의 생물피복도와 Cosmarium decedens, Chlorella ellipsoidea, Anabaena fertilissima, Botryococcus braunii, Chroococcus turgidus, Navicula cryptocephala 및 Xenococcus acervatus가 상관계수 0.56~085의 범위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지의류의 생물피복도는 Trebouxia sp. 및 Chroococcus varius와 상관계수 0.50 및 0.43으로 나타났으며, 기중조류의 생물오염피복도는 Achnanthes laterostrata 및 Ulothrix zonata와 상관계수 0.76 및 0.57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생물오염피복도와 상관성이 높은 기중조류는 출현 경향성이 대체로 뚜렷하게 나타나, 지표종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3차원 형상정보 처리기술을 이용한 환두대도의 디지털 원형복원 (Digital Restoration of Ring-Pommeled Sword by Using Technology of 3D Shape Information Processing)

  • 김영원;전병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33-140
    • /
    • 2005
  • 문화기순(CT)은 좁은 의미로 문화콘텐츠를 만들어내는 데 기본이 되는 기술로 각 국은 세계적 문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콘텐츠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을 응용하는 다양한 콘텐츠가 생성될 때 창의적이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되며, 이를 위해 문화원형 복원기술은 필수적인 핵심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찬란한 문화유산을 가진 백제시대 유물인 금동용봉환두대도를 3차원 형상정보 처리기술과 고고학적, 과학적 분석 자료를 토대로 디지털의 원형복원한다. 먼저, 3차원 스캐닝 작업을 통해 취득된 데이터는 샘플링과 특징추출 및 정합과정 후 홀 채움 및 스무딩을 이용하여 보정하고, NURBS와 B-Spline 방법을 이용하여 곡면으로 모델링한다. 그런 다음, 환두대도 구성요소의 색상과 재질을 추정하여 텍스쳐를 편집한 후 맵핑한다. 제작되어진 원형 모델은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수정 보완되었다. 디지털 복원된 환두대도는 IT기술과 결합하여 디지털 박물관 구축 및 시대별 지역별, 유형별 환두대도의 정형화 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손실 유물의 원형 추정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고고학이나 보존과학의 교육 컨텐츠 및 영화, 방송,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문화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