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factor

검색결과 1,082건 처리시간 0.03초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Model for Digital Contents of Cultural Archetype)

  • 황동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5-62
    • /
    • 2003
  • 우리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를 위한 조작적 개념 정의와 디지털기술의 발전에 따른 문화콘텐츠의 디지털화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문화원형과 디지털콘텐츠기술을 접목하여 우리 문화에 담겨진 원초적 아이디어와 이미지를 원형으로 한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원형콘텐츠의 요소 추출과 문화원형콘텐츠의 가치사슬 점검을 통하여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개발 모형을 도출하였다.

  • PDF

항공 및 관광서비스 전공 여대생의 공감능력,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of College Femal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and Tourism Service)

  • 주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63-174
    • /
    • 2016
  • 본 연구는 항공 및 관광서비스를 전공하는 여대생의 공감능력 및 문화적 역량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274명이며, 자료는 SPSS 20.0을 통해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공감능력의 평균평점 $3.72{\pm}0.35$, 문화적 역량의 평균평점 $3.48{\pm}0.47$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및 문화적 역량의 차이정도를 살펴보면, 공감능력 정도는 해외 방문목적, 외국어 실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문화적 역량 정도는 종교, 외국어 실력, 외국인 친구, 외국인 교류경험, 해외 문화 교육경험, 해외문화 교육방법, 해외문화 교육필요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상관관계는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r=.425, p<.001)이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하위속성의 경우 공감능력의 인지적 요소, 정서적 요소는 문화적 역량과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 간의 상호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문화적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조선왕릉의 역사지리적 경관특징과 풍수담론 (Historical Geography and Pungsu(Fengshui) Discourse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 최원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5-150
    • /
    • 2016
  • 조선왕릉의 분포 입지 배치에 나타나는 역사지리적 경관 특징과, 조영을 둘러싸고 전개된 권력집단 간의 공간정치학과 풍수담론, 그 속을 관류하고 있는 풍수적 경관 조성 및 관리 양상 등에 대해 검토했다. 조선왕릉의 천릉(遷陵) 과정은 왕조집단의 세력 관계가 풍수를 정략적인 수단과 외피로 하여 나타난 정치적 결과물이었다. 조선 왕조의 정치권력은 왕릉을 정치적 권위를 높이는 상징적 수단으로 활용하였고, 풍수는 정치권력의 의도를 논리적으로 뒷받침하거나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적 공간담론으로 기능하였다. 한국풍수사에서 왕릉풍수는 유교이념과 결합된 정치사회적 속성을 지닌 조선시대적인 풍수담론으로 규정할 수 있다.

  • PDF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mpathy on Cultural Competency in Dental Hygiene Students

  • Hwang, Ji-Min;Han, Ji-H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4-31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and empathy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s. A total of 529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and included as subjects. PASW Statistics for Windows ver. 18.0 was us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Among the critical thinking sub-domains, cognitive integration was the highest and the lowest. Empathic ability had the highest acceptance factor among the sub-domains. Cultural competence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domains, while cultural knowledge was the lowest.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 age, grade, religion, and economic level influenced the cultural capacity. Cultural awareness and sensitivity were high when there were foreign visiting experiences. Cultural awareness, sensitivity, skills, and knowledge were high when subjects had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 (p<0.05). Cultural awareness, sensitivity, skill, experience, and knowledge were correlated with critical thinking and cultural competence, among which cultural sensitivit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p<0.001).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wareness and sensitivity, skill, and experience among the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y sub-domains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awareness included intellectual integration, openness, prudence, and perspective-taking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ensitivity included intellectual integration, openness, and empathic concern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kill included intellectual integration, creativity, and conductivity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experience included prudence, objectivity, perspective-taking, and personal distress (p<0.001). Fi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knowledge included creativity and conductivity (p<0.001). The results indicate that dental hygiene students should be equipped with cultural competence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nd empathy required by the modern society and optimized dental hygiene courses should be provided for multicultural subjects.

질적연구조사를 통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과 한국인 배우자의 영양불량 원인 규명 (Identifying the Causes of Nutrition Inadequacy in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and Korean Spous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 조미영;황지윤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5권1호
    • /
    • pp.59-73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le causes of nutritional inadequacy in Vietnamese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 husbands.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sample of 34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17 Korean spouses participating in or having experienced Nutrition Plus from four Community Health Centers in Seoul, Kore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nutritional staus of the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affected by the unfamiliar Korean food (cultural factor), low household income (economical factor), difficulty in purchasing Vietnamese food (environmental factor), and low accessibility to nutrition support systems (social factor). The Korean husbands' nutritional status was affected by the unfamiliar Vietnamese food (cultural factor), low household income (economic factor), and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social factors). Nutritional interventions as a public service to the community need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Suggestions are presented regarding the future efforts to better understand and meet the nutrition needs of intermarried couples to respond to their heterogeneous needs and deliver adequate nutrition service to ever increasing intermarried families.

문화유적지의 관광자원화 특성에 관한 연구 -경주와 교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Tourism Resources on the Historical Sites -In case of Kyungju and Kyoto-)

  • 전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93-101
    • /
    • 2006
  • 경주와 교토는 역사적인 고도(古都)로서 문화유산 관광에 관심을 가진 관광객에게 문화유적지로서의 관광매력을 제공한다. 문화유적지의 관광자원화는 관광자원의 고유성과 역사성 주변 환경의 진정성 및 종교성과 예술성으로 구성된 관광자원의 특성과 관광인프라의 구축, 관광마케팅 전략이 조화를 이루어 관광자원화한 것이 특징이다. 경주와 교토는 8C를 중심으로 한 시대적 배경과 불교관련 예술품들이 관광자원으로 작용하며 두 도시가 가진 독특한 이미지와 경관, 분위기가 어울려 관광상품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문화유산의 보존정책과 관광자원 유적지의 원형보존을 통한 전통숙박공간과 전통음식, 쇼핑자원의 개발이 어울려 문화유적지 관광지로서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 PDF

경주 "양동마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연구 -QOL/TQOL index를 이용하여- (A Study on Effect of a Designation of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as World Cultural Heritage on Residents' QOL, and Its Sustainable Development)

  • 오정학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4호
    • /
    • pp.793-824
    • /
    • 2011
  •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through identifying effect of its designation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on residents' quality of life.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achieved by empirical analysis. First, eight valuable factors of placeness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bout which residents were especially conscious in terms of "living condition", "cultural environment", "economic QOL",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sense of community", "cooperative facilities", "control over increasing population", "transport environment". Second, the importance -satisfaction scores of identified 8 factors were found very high in importance showing relatively low level of low level of satisfaction. Especially, what caused residents's low QOL was economic status-concerned factor showing the lowest QOL index, and other factors such as cooperative facilities and transport environment negatively impacted on resident's QOL as well. Also, it was revealed that resident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entering of their village into UNESCO world heritage sites with hope that it would improve their economic QO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ustainability of Yangdong Village and research limita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was supposed.

측정도구의 심리계량적 속성 2: 구조타당도, 내적일관성 및 교차문화타당도/측정동일성 (Psychometric properties of an instrument 2: structural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cross-cultural validity/measurement invariance)

  • 이은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9-74
    • /
    • 2021
  • 측정도구의 구조타당도는 내용타당도 이후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할 측정 속성이다. 이를 위해 국내 간호학에서는 주로 CFA를 사용하는데, CFA로 얻을 수 없는 정보들을 제시하는 IRT/라쉬 분석도 같이 적용해 볼 것을 추천한다. 구조타당도 이외에 내적일관성 및 교차문화타당도/측정동일성 또한 측정도구의 내적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간호학 측정도구 연구에서 교차문화타당도/측정동일성에 대한 검증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이에 대한 평가도 시행되기를 바란다.

Cross-cultural Service Variation: Airline Service Quality

  • Nam, Sung-Jip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9호
    • /
    • pp.19-27
    • /
    • 2015
  • Purpose - In a global economy, marketers are required to understand service quality from an international consumer viewpoint. Despite the increased need for cross-cultural research, few studies have developed service quality research international in scope.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variations in airline service quality among international consum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Conducting crosscultural research, this study compares airline service quality variations, investigating an international consumer group and a Korean consumer group. T-test and factor analyses are applied to examine mean scores and factor structure of the airline service dimensions.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The international consumers indicate significantly higher service perception scores than the Koreans. Further, we fin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airline service quality diverges between the groups. The international group considers airline service quality in four dimensions, while Koreans consider it in two. Conclusions - The study sheds new light on international service variations and suggests that the field of airline service quality may differ by nations and/or cultures.

중국 소비자의 자기일치성과 대중문화 관여도가 한류콘텐츠 평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effects of China consumers' self-congruence and public-cultural involvement on Hallyu contents evaluation and attitude)

  • 박세정;최지연;노전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377-38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 이미지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자기 일치성이 한류콘텐츠 제품 평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소비자 개인의 심리적 변수에 따른 중국 시장 세분화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현실적 자기 일치와 이상적 자기 일치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한다. 이는 한류 콘텐츠 제품에 대한 소구에 있어, 적합한 심리적 근접성 전략을 사용하게 하는 근거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대중문화 관여도에 따른 속성에 선호에 차이가 있는지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한류 콘텐츠의 다양한 속성을 구분가능하게 하고 중심속성과 지엽적 속성을 구분하는 단서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 현실적 자기 일치는 한류콘텐츠 속성 중 콘텐츠 요인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이상적 자기 일치는 한류콘텐츠 속성 중 인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 평가는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콘텐츠 요인과 문화적 요인이 구전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중문화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인적 요인과 콘텐츠 요인에 대한 평가가 유의하게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