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contents planning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1초

역사문화환경의 도시적 재생을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 - 경주 황남·인왕 한옥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Plan for Urban Regener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case of Hwangnam and Inwang Hanok district in Gyeongju -)

  • 김남희;이희정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4호
    • /
    • pp.91-102
    • /
    • 2021
  •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system improvement measures for urban regener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example areas are Hwangnam and Inwang Hanok districts in Gyeongju City, which operate various systems to solve the urban decline problem caused b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regul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resident support programs and district unit planning systems under the advanced promotion system established in the case area. As research methods, literature studies, field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introduction of each system, major plan contents, and problems of the system application process were analyzed.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First,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omote the urban regener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lated systems in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manner. Second, in order to resolve the policy distrust of local residents in the historic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 wider variety of planned alternatives to narrow the difference in interest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hould be presented.

경주시 역사문화환경지구 내 상업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User's Satisfaction at the Commercial Street of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al Districts in Gyeongju)

  • 최무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9-2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iden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condition at the commercial street of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al Districts in Gyeongju. To achieve this, the study relied on empirical study method and additionally, present condition survey was performed with a user interview. residents'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pres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s. This work has completed a total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treet factors among various factors which influence residents' satisfaction level including physical street equipments and street view factors which are main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and street improvement project. Using statistical analysis, each factor's significance was verified quantitatively.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s prior consideration points before planning the commercial street improvement project and the region development project.

광고콘텐츠의 기호분석 (Advertising Contents based on Semiotic Methodology)

  • 김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87-93
    • /
    • 2015
  • 광고에 대한 접근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설명된다. 즉, 마케팅 관점과 커뮤니케이션 관점이다. 광고학자 오조(Ozoh, 1998)는 광고가 마케팅의 도구라는 관점과 광고가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라는 관점으로 구분해 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두 가지 관점은 광고의 메시지가 어떤 내용과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다양한 논쟁을 제시하기도 한다. 광고는 기본적으로 광고주로부터 소비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고, 다시 피드백을 받는 설득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속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 두 범주가 보여주는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브랜드가치를 측정하는 문화코드의 개념에서는 상호 보완의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두 관점을 양적 소구와 질적 소구로 분류한 뒤, 광고 텍스트의 소구방법으로 시도되는 스토리텔링 장치를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즉 상품의 의미가치가 상품에 대한 사용가치로 표출되어 소비자들의 욕구충족을 어떻게 만족시키고 있는가를 기호화 과정으로 분석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그레마스의 의미생성모델을 실제 사례로서 커피광고에 적용시켜본 뒤, 프랑스 커피 광고와 한국의 커피 광고의 차별화 전략의 상이점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UCI 상호참조에 기반한 참조연계시스템의 구현 (Establishment of Reference Linking Systems on UCI Cross-Reference)

  • 박승범;이상원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5-130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Cross reference services in Knowledge contents based on UCI. Cross references are effective features that can increase the value of the contents. Knowledge contents include academic papers, research reports, archives,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professional databases. Cross references are consists of reference-to and cited-by links which can be made by reference list in article. Some of cross reference services provided are considered. We designed cross reference services for knowledge contents in Korea and prototype services are provided. The reference linking service in the area of national R&D will enable the linking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produced at different sources.

한국정원의 전통성 구현을 위한 설계방법론에 관한 연구 -EXPO '90 오사카 꽃전시회 한국 전시장 출품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for the Embodyment of Tradition in Korean Garden)

  • 이재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1-8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method to embody the cultural heritage and to reproduce th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these days. For this purpose, to begin with, the major element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lanning and design were extracted by to study on the prototyp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and the process and the outcome for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garden were presented by design proposal for the Korean Garden in the exhibition space of EXPO '90, the International Garden and Greenary Exposition, Osaka, Japan, 1990. The study on the prototype of Korean Garden is focused on the spatial organization, the facilities allocation, and the gardening technic of traditional garden, and the major contents of the case study are as follow ; (1) To investigate the constraints and the opportunities of site development by the analysis and the synthesis of the site condition for the case study, (2) To study on the planning technic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ite, (3) To establish the planning models which can be introduced into the site and to choose the final model by the comparison and valuation of them, (4) To set up the Master Plan on the basis of the final model.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ethod and the contents have a lot of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ossibility to reproduce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these days, moreover to grope for the opportunities to propagate it internationally.

  • PDF

사례분석을 통한 문화재 활용사업의 적정대가기준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ptimum Cost Estimation of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Business by Case Study)

  • 이미영;오세욱;안방율;박희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19-131
    • /
    • 2017
  • 최근 문화재청에서 시행하는 문화재 활용사업은 예산편성이나 사업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들의 적정대가기준을 지급할 수 있는 기준체계가 마련되지 못한 채로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사업을 주관하는 문화재청과 수행하는 지자체 또는 민간단체 간의 예산편성 집행 정산 과정에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사업의 기획부터 종료까지 예산편성 항목이나 세부기준 등이 불명확하여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결과적으로는 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단순히 일회성에 그치는 경우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재 활용사업의 발전 및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현재 문화재 활용사업의 전반적인 운영현황 및 체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타 분야 또는 유사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는 예산편성 항목 및 세부기준을 벤치마킹, 그리고 실제 수행한 사례를 분석 종합하여 합리적인 수준의 예산편성 기준체계를 제안하였다.

환경성 평가시 도시보전용도지역 확보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Criteria for Designation of Conservation Zones in Urban Area)

  • 이상문;전영옥
    • 환경영향평가
    • /
    • 제14권6호
    • /
    • pp.403-413
    • /
    • 2005
  •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targeted zoning in urban planning process has been functioned as securing a ecological core in urban green spaces management. Hence, the designation of conservation zones in land use planning is considered as a key task to achieve the sustainability of urban planning. The recently introduced pre-environmental review system for the proposed urban plan, by which the conservative measures for urban ecosystem and landscape are suggested in aspect of environmental impact mitigation, has played an active role in enhanc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degraded by wide range of development pressure. This study is aimed at drawing out of objective criteria for designation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zones, which can be applied to urban planning establishment and also to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s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adopted the following methods; pre-study review, analysis of existing official opinion statement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ntents analysis of related laws, and experts' panel discussions on the finally arranged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criteria of 48 are drown out with categorizing into environment-ecological and socio-cultural sectosr. Second, the environment-ecological part is composed of 33 criteria such as vegetation, animal, geomorphology, watershed, environmental land suitability, and etc. Here, the Degree of Ecological Function, Degree of Environmental Land Suitability, and Vegetation Map are mainly utilized. Third, the 15 socio-cultural criteria relating to the history, social ecology and landscape have such components as forest around relics, Seo-won(school), castle, tomb, landmark, skyline, natural landscape, and etc. Forth, these individual criteria can be applied to designation of each conservation zones among total of 11 conservation areas(or districts).

지역특성을 고려한 추사김정희문화상품화사업 사례분석 (A Case Study on Chusa Kimjeonghee Cultural Assets Commercialization Projec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 정남수;윤혜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46-457
    • /
    • 2019
  •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과거와 같은 대규모 산업화보다는 각 지역에 전래해 온 고유문화와 기술, 특정지역에 뿌리를 두고 지역주민의 삶과 밀접히 관련된 지역명 또는 지역의 상징물이나 정체성을 상품화, 수익화 하려는 지역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향토산업육성사업이 시작되었으나 아직까지 향토자원의 조사에서 산업화까지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사김정희문화상품화 사례 연구를 대상으로 지역의 특징, 고용, 수요를 바탕으로 향토자원의 발굴, 사업화 방향의 결정, 사업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연구 방법과 내용은 향토자원의 평가, 관련 주요산업의 결정, 사업내용의 도출 등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 첫 번째 작업으로 향토자원의 목록을 작성하고 관련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산업화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중심자원을 설정하였다. 두 번째로 입지계수를 응용하여 사업체수와 고용인원으로 대상지역의 보조사업계수를 설정하여 주요 관련 산업을 결정하였다. 세 번째로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향토자원에 대한 인지도조사와 사업내용을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업추진결과를 정리하였으며, 향후 향토자원산업화사업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조선왕릉 역사경관림 수목 정비 계획의 특성 (A Characteristics of Maintenance Planning of Trees in Historical Landscape Forest of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 소현수;이종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88-99
    • /
    • 2018
  • 문화재청은 조선왕릉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2009) 이후 조선왕릉관리소를 신설(2012)하고 "세계유산 조선왕릉 보존 관리 활용중장기계획 수립 연구(2015)"를 진행하였다. 결과 보고서는 실행 방안으로서 조선왕릉 정비사업의 구체적 내용을 제공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조선왕릉 역사경관림 수목 정비 계획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중장기계획"에서 조선왕릉 40기의 역사경관림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6년을 기점으로 하여 단계별로 구분된 계획에서 단기 계획은 수목의 벌목과 이식 및 식재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제공하였다. 반면에 장기 계획은 왕릉마다 추상적 내용을 반복하여 제시하는 대신 개별 왕릉이 지향해야 할 식생경관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왕릉의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공간들이 정비 계획의 대상이 되었으므로 역사경관림이라는 포괄적 개념 대신 기능별 공간을 구분하여 정비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셋째, 조선왕릉 역사경관림 수목 정비 계획은 숲을 지속시키는데 필요한 밀도 조절과 수형유지 등 일상적 관리가 기본이 된다. 또한 식생 원형경관이라고 인식한 소나무림을 보전하려는 목표로 인하여 외래 수종과 타 수목에 대한 벌목의 비중이 높다. 대규모 녹지에서 초화류가 배제된 한정된 교목을 다룸으로써 심미적 경관에 대한 지향이 미약하다는 특성을 보인다. 넷째, 능역을 기능에 따라서 진입공간, 제향공간, 능침공간, 외곽숲으로 구분하고, 영역별 수목 정비 계획 내용을 원형성, 생태성, 기능성, 심미성이라는 관리의 전제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세부 영역별 수목 관리 특성을 고찰하고, 관리 방안으로 원형경관을 만드는 수목의 다양성 이해, 생태 환경에 적응한 다양한 숲의 지속성, 조선왕릉을 특징짓는 제향 및 안전성 외에 요구되는 편의성, 조선왕릉에 대한 심미적 경관으로의 접근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나타난 오래된 도시 환경에 대한 태도 변화 - 1966년 기본계획에서 2030 서울플랜까지 - (Changes of Attitudes towards Old Urban Environments in the Comprehensive Plans of Seoul, from 1966 through 2014)

  • 기세황;박소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2호
    • /
    • pp.11-2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ing attitudes towards old urban environments, represented in the comprehensive plans of Seoul, from the first 1966 plan through the most recent one of 2014. The results of analyzing all 6 Seoul urban comprehensive plans are as follows. The contents for considerations and actual planning actions for old urban environments were presented from the third comprehensive plan of 1990. The term 'historical heritage' was first applied in the urban park planning of the 1996 plan. In the 4th comprehensive plan of 1997, it began to regard historical landscapes as 'precious heritages' to make plans for using historical heritages in parts of landscape, education, and tourism. The scope of 'historical heritage' in the comprehensive plans has been expanded. This tendency continued to expand in the 5th plan of 2006, and again in the 6th plan of 2014. At the same time, in pursuing the identity of Seoul, 'historical heritage' in old urban environment came to be materialized further as planning o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