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adjustment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3초

미국으로 간 탈북자들의 정착과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North Koreans' Lives in the United States)

  • 전명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89-111
    • /
    • 2012
  • 최근 탈북자들이 한국 뿐 아니라 영국, 캐나다, 미국 등 난민 인정이 가능한 서구사회에 정착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탈북자들의 입국이 허용된 미국에 정착한 탈북자들이 정착지 결정과 적응 과정에서 어떤 경험들을 하게 되는지를 보다 심도 깊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탈북자들을 돕는 일을 하는 실무자 1명의 면접 자료를 보조적으로 사용하였다. 탈북자들의 미국 정착 및 적응에 관한 내용을 근거이론 접근방법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89개의 범주들과 19개의 상위범주를 파악하였고, 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분석도 시도하였다. 연구의 중심 현상은 "정착지에 대한 자발적 선택"이었으며, 정착지의 결정과 적응 과정에서 이러한 선택에 따른 탈북자들의 적응 과정의 상호작용과 결과들이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삶의 방식이 욕구결핍의 해결과정으로서의 정착 과정을 밟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언으로는 미국 내 거주 탈북자들의 삶을 통해 한국 사회가 탈북자 적응문제에 대해 재고해보아야 할 복지적 함의도 제시하였다.

  • PDF

재혼 노인이 겪는 어려움과 대처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Difficulties experienced and Coping process of Remarried elderly)

  • 이도영;이혜진;정은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77-58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재혼한 노인들이 겪는 경험의 세계를 사고방식 및 생활양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연구대상자는 자신의 경험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65세 이후 재혼한 부부 3쌍을 임의표집 하였다.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며, 참여자 진술로부터 86개의 의미 있는 문장을 도출하고 30개의 주제로 구분하여 13개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중심현상은 '결혼생활에 대한 양가감정'이었으며, 이를 조율해 나가는 중재조건은 '배우자와 가족들의 인정과 신뢰', '적절한 보상'이었으며 이를 대처하도록 고안된 작용/상호작용전략은 '배우자를 이해하려고 노력하기'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재혼 노인의 결혼생활 적응과정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성공적인 재혼생활을 영위하고 홀로된 노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국제이주이론: 기존이론의 평가와 행위체계론적 접근의 제안 (Theori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 Review and Proposal)

  • 석현호
    • 한국인구학
    • /
    • 제23권2호
    • /
    • pp.5-37
    • /
    • 2000
  • 이 글에서 저자는 국제이주과정에 대한 경험적 연구에 준거해 볼 수 있는 이론적 지침으로서 행위체계론적 접근을 제안하고 있다. 이 제안은 다음과 같이 일련의 이론적 검토와 평가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먼저 국제이주과정의 국면별 연구, 즉 이주의 발생 과 영속화 및 이추자의 적응과 정착 연구에 적용되어 온 주요 이론적 관점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검토를 통해서 이주의 각 국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상호배타적이 아니기 때문에 관련된 모든 주요 요인들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론적 접근이 요구된다는 것이 주장되었다 국제이주 연구에서 행위론적 접근을 주도하여 온 신고전 경제학적 접근은 그 기본 가정 , 즉 합리적 행위 가정의 한정성 때문에 맑스주의 정치경제학에 뿌리를 둔 구조론적 접근에 의해서 강한 도전을 받았다. 그 도전을 주도하여 온 노동시장분절론과 세계체계론적 접근 등은 이주의 큰 흐름을 결정하는 거시구조적 요인을 구명하는 데에는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주행위의 상황적 요인, 특히 사회문화적 요인을 탐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의 저자는 국제이주과정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주현상을 행위체계론적 관점에서, 즉 이주자의 지향 대상이 되는 모든 상황, 즉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및 문화적 상황을 상호연관해서 총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게 되었다.

  • PDF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학업 적응에 관한 연구 (The narrative inquir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djustment in College Life)

  • 정연숙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4권1호
    • /
    • pp.57-83
    • /
    • 2024
  •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등급이 학업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IRB의 승인을 거쳐 모집한 학생은 모두 7명으로 이들의 면담 내용은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절차 (이동성, 김영천, 2014)의 6단계를 활용해 분석했으며 그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업, 생활, 심리·정서의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학업적 측면에서 인터뷰 대상자들은 적응하기 힘들었던 전공 용어와 전공 공부를 지적하였고, 한자 및 한자어에 큰 어려움을 경험했다. 다음으로 생활 측면에서는 고급 수준의 토픽 등급 소지자인 연구 참여자들도 대학 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있었고 한국 생활에 제대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실용적인 표현과 풍부한 어휘 지식이 필요함을 토로했다. 마지막으로 심리·정서적인 범주에서는 이들이 한국인들과의 대화나 발표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사회 문화 및 일상 생활 문화에 관한 지식도 부족했기 때문에 한국어를 잘하더라도 화용적인 면에서 실수나 오류를 범하기도 했고 이것이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에 처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근거로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적응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의 다양한 기회 부여라는 목표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전공 관련 학업 능력 강화, 한국어 숙달도 향상, 학내 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연구자는 이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계획·설계하여 시도해 볼 것을 제안했다.

부산지역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과 지원방안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Acculturation of School-aged Immigrant Adolescents and Policy Support in Busan)

  • 조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12-422
    • /
    • 2018
  • 다문화가족정책이 결혼이민자의 초기정착 지원에서 다문화가족자녀의 성장지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에서 태어난 국제결혼가정의 국내출생자녀에 비해 외국성장 배경을 가진 중도입국청소년은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이 한국 사회 적응 시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고 문화적응을 위한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중도입국청소년, 이민자 학부모, 학교 내 실무자 및 학교 밖 실무자를 포함하여 총 17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이 겪는 적응의 어려움과 지원방안을 도출하였다.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은 문화 인종적 차이, 이름의 차이, 언어적 차이 및 나이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으며, 적응을 위해 한국어 교육, 교과 멘토링, 진로지도 및 학교 내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주민 및 외국인주민에 대한 결핍 모형에 근거한 문화적 동화주의적 접근법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으며, 다양성 모형에 근거하여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적응 지원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Meta-synthesis Exploring Barriers to Health Seeking Behaviour among Malaysian Breast Cancer Patients

  • Yu, Foo Qing;Murugiah, Muthu Kumar;Khan, Amer Hayat;Mehmood, Tahi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호
    • /
    • pp.145-152
    • /
    • 2015
  • Barriers to health seeking constitute a challenging issue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The current meta-synthesis aimed to explore common barriers to health seeking among Malaysian breast cancer patients. From the systematic search, nine studies were found meeting the inclusion criteria. Data extraction revealed that health behavior towards breast cancer among Malaysia women was influenced by knowledge,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edical system factors. In terms of knowledge, most of the Malaysian patients were observed to have cursory information and the reliance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media was limiting. Among psychological factors, stress and sense of denial were some of the common factors leading to delay in treatment seeking. Family member's advice, cultural beliefs towards traditional care were some of the common sociocultural factors hindering immediate access to advanced medical diagnosis and care. Lastly, the delay in referral was one of the most common health system-related problems highlighted in most of the studies. In conclusion, there is an immediate need to improve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alaysian women towards breast cancer. Mass media should liaise with the cancer specialists to disseminate accurate and up-to-date information for the readers and audience, helping in modification of cultural beliefs that hinder timing health seeking. However, such intervention will not improve or rectify the health system related barriers to treatment seeking. Therefore, there is an immediate need for resource adjustment and training programs among health professional to improve their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to develop an efficient health system.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ESD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수송 기술 영역 중 자동차 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by Analyzing Contents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in Technology.Home Economic Textbooks in High School - Based on Vehicle Chapter in Transportation Fields -)

  • 김병욱;문윤섭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1호
    • /
    • pp.97-10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m Technology Home Economic teachers in high schools, to analyze contents related to the ESD within the textbooks, and to propose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textbooks. As a result, first, the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ESD was less than about 30.1% in Technology Home Economic teachers. Second, the content and factor criterions for the ESD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They are suitable for applying to the Vehicle Chapter in the textbooks and are including 9 contents and 7 factors, respectively. Thir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SD within a Technology. Home Economic textbook showed 36.1% in Technology, 33.8% in Home Economics including social and cultural(44.7%), environmental(47.1%), and economic contents(8.2%). But they in the Vehicle Chapter within the textbooks presented 69.1%, 4.8%, 26.1% i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ntents, respectively. Finally,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new textbook for the Vehicle Chapter is to adopt issued factors including the suitable adjustment on the vehicle structure and safety as well as the supplement of environmental contents related to the ES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ain the contents such as the developing process of environment-friendly vehicles, the economically sustainable consumption strategy, and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with the global warming in the new textbook.

  • PDF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한 문화재의 3차원 모델링에 관한 연구 (The 3D Modelling of Cultural Heritage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 김진수;박운용;홍순헌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5-371
    • /
    • 2003
  • 고해상도의 디지털 카메라는 근거리 수치사진측량에서 널리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진측량 장비의 급속한 발전으로 정밀도가 많이 향상되었고 컴퓨터를 이용한 지형공간정보체계기술의 발달로 더욱 정밀한 3차원 지형의 재현과 면적 및 토공량 산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가 간편하고 수치영상의 자체저장능력을 지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조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위치오차를 분석하였으며 광속조정을 통하여 높은 정확도의 화소 좌표를 획득하여 3차원 지형의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근거리 수치사진측량기법의 국부지역모형생성과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수치 정보 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봉분의 3차원 구현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 노동력의 질적향상이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The Change in Quality of the Labor Force and Its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 Song, Wi-sup
    • 한국인구학
    • /
    • 제11권1호
    • /
    • pp.159-184
    • /
    • 1988
  • 미국사회에서 노인의 거주지 적응양식은 인종간에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소수인종노인은 백인 노인에 비하여 자녀와 함께 사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대하여 문화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백인에 비하여 가족부양규범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 경제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그들의 생애를 지배하는 빈곤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가계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확대가족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노인이 질병과 빈곤에 적응하는 방식에 있어 인종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기존의 경제학적 논의와 문화적 논의의 적합성을 검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거주지 적응에 대한 문화적 영향과 관련하여 두가지 가설을 검정하고 있다. 첫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빈곤과 질병상황에서 가족으로부터 더 오랜기간 보호를 받는지를 검토한다. 둘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건강이 악화될 때 더욱 신속하게 가족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분석을 위해서 1984년에서 1990년기간 동안 실시된 "고령화에 대한 종단적 조사(Longitudinal Survey on Aging)"를 이용하여 마르코비안 다중생명표 모형과 사건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수인종 노인은 가족부양규범의 문화적 이점을 그다지 크게 다지고 있지 않다. 인종간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보다 흔하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형태로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거주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백인 노인은 소수인종에 비하여 질병상태와 관련하여 자녀와 동거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인종간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노인이 백인노인보다 쉽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로 이행하는데 이는 소수인종에서 가족부양체계가 불안정함을 의미한다. 또한 빈곤시에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쉽게 자녀와 떨어져 살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인종 노인에 대한 가족의 지원은 그 가족의 경제적 제약속에서 매우 안정적이지 못함을 시사한다. 못함을 시사한다.

  • PDF

다문화 가정 학령기 아동의 우울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among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문소현;이민경;이미정;심하진;조헌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34-442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Data from 1,812 school-ag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the 2015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based on complex sample analysis using SAS 9.4. Results: Significant predictors for experiencing depression were lower self-esteem, lower Korean proficiency, less time spent conversing with the father, lower degree of parental interest, poorer school adjustment, greater difficulties with schoolwork, and experiencing violence at school.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factors related to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 influenced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Based on a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to prevent depression by establishing high-risk criteria for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