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ion region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4초

강원남부지역의 지황 재배 적정성 평가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Cultivation of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in the Region of Souther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 이상훈;구성철;허목;이우문;장재기;한종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71-477
    • /
    • 2019
  • 본 연구는 지황이 강원도 남부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한 대체 작목인지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수량의 경우 음성 1,848 kg/10a, 정선 1,571 kg/10a, 평창 1,485 kg/10a로, 2015년부터 2017년 지황 평균 단수인 838 kg/10a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황은 근경 굵기가 15 mm 전후가 되면 상품(上品)의 등급으로 팔리는데, 강원도 재배지역 모두 15 mm가 넘어 상품성(商品性)에도 문제가 없었다. 그러므로 생산량과 품질 조건을 고려해 볼 때, 현재 강원도에서 지황 재배는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기에는 강원도의 여러 제반 사항을 고려한 경제성 분석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재배지역별 청양고추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yang pepper (Capsicum annuum L.)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

  • 황인국;김하윤;이준수;김행란;조명철;고인배;유선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340-134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양고추를 13개 지역에서 노지재배된 것을 채취하여 재배지역별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단백질함량은 12.74~19.98%, 지방함량은 4.54~7.17%, 회분함량은 6.07~9.81% 범위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무기성분 함량은 지역별 차이를 보였지만 주요 무기성분은 K이었다. pH 및 총산도는 각각 4.86~5.26 및 2.10~4.25% 범위였다. 청양고추의 유리당은 fructose 및 glucose가 주요 유리당으로 검출되었고 각각 8.55~17.06% 및 3.25~10.47% 범위로 지역별 큰 차이를 나타냈다. 색도 중 a값은 28.89~37.12의 범위였고, ASTA값은 76.54~139.57의 범위로 a값에 비해 넓은 분포를 나타냈다. Capsaicin 함량은 100.27~261.54 mg%, dihydrocapsaicin 함량은 51.01~84.58 mg% 범위였고 capsaicinoid 함량은 11개 지역에서 200 mg% 이상의 함량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청양고추는 재배지역에 따른 심한 함량 변이를 나타냈으며, 추후 다양한 품종을 대상으로 재배지역에 따른 품종 특성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평년기상을 활용한 우리나라의 콩 재배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Cultivation Region for Soybean (Glycine max [L.]) in South Korea Based on 30 Years of Weather Indices)

  • 윤동경;박재성;서진희;원옥재;최만수;이현수;이채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49-60
    • /
    • 2024
  • 우리나라 주요 밭작물의 하나인 콩 재배에서 기상에 맞는 재배 양식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콩 작황시험 생육 및 수량 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콩에 영향을 끼치는 기상요소를 추출하고 재배지역을 구분하였다. 1. 밀양과 수원지역의 콩 10년 동안의 작황시험 결과와 기상자료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콩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를 분석한 결과, 생육 특성과 영양생장기 기상과의 상관관계는 일교차, 강수량과 최저온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수량특성과 생식생장기 기상과는 일교차, 강수량, 최고온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추출한 기상요소와 위도, 해발고도를 포함해 콩의 재배지역 구분을 위해 k-means clustering을 실시한 결과, 지역은 세 가지로 나누어졌으며, zone 1은 중부내륙지역과 경기도 남부지역, zone 2는 서해안 남부지역, 동해안 남부지역과 남해지역, zone 3은 경기도 동부 일부지역과 강원도 및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이 포함되었다. 3. 세 가지 지역 중 위도의 범위가 넓은 zone 1을 세 가지 지역으로 세분한 결과, Zone 1-1은 다른 두 지역에 비해 위도가 낮았으며, 강수량이 적은 특징을 가진다. Zone 1-2는 다른 두 지역에 비해 짧은 일조시간과 높은 기온이 특징적이었다. Zone 1-3은 위도 상으로는 두 지역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일조 시간이 길면서 일교차가 큰 특징이었다. 4. 본 연구에서 콩 재배를 위한 한국의 재배지역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작게는 5가지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기상 요소 및 생육 정보를 기반으로 한 재배지역을 구분함으로써 국내 콩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였다.

Evaluation of Forage Production of Maize with Different Sowing Dates and Ridge Shape for Silage at Paddy Fiel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 Youngchul Yoo;Dae-Woo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0-100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21 using Kwangpyeongok and Gangdaok, that showed good yield performance both under upland and lowland conditions in the previous year.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sowing on April 22, May 14, May 30, June 19, and July 10, with aim to determine optimum sowing date in central region of Korea. The growing degree days (GDD) required to read the flowering stage were 1375.5-1725.3℃ for upland and 1582.7-1982.4℃ for lowland condition. The lowest GDD was observed in July 10 sowing regardless of ridge formation both under lowland and upland conditions for Kwangpyeongok. However, Gangdaok showed the lowest GDD under no-ridge in lowland and high-ridge in upland, both of which were sown on June 19. The difference in GDD between no-ridge and high-ridge treatment was little depending on the sowing date. In both lowland and upl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idge and high-ridge treatments in stover dry matter, ear dry matter, and TDN between no-ridge and high-ridge treatments. Under upland con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mass and TDN was observed among sowing date treatments and between varieties. Under lowland condition, biomass production was severely reduced in May 30 sowing treatment, whereas no varietal difference was observed. Reduced biomass in May 30 sowing treatment may be due to excess waterlogging and lodging by rainfall.

  • PDF

국내 중서부지역 갯방풍의 자생지 생육환경에 따른 재배적성 고찰 (Optimum Cultivation Conditions from Habitat Status of Glehnia littoralis in Korean Midwest Region)

  • 강희경;김성민;송홍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2-107
    • /
    • 2017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content and habitat conditions of Glehnia littoralis in the Korean midwest region. Methods and Results: The emergence area of G. littoralis was 36.1 m from the coastline at an elevation of 4.2 m and slope of 4.3%. The soil of the habitat was sandy, the pH was 8.4, organic matter content was 0.4%, $P_2O_5$ content was 9.1 mg/kg and the content of K, Ca, Mg and Na were 0.09, 9.31, 0.43 and $0.23cmol^+/kg$, respectively. Other plants growing in this area with G. littoralis included 16 taxa. Plant with high coverage and frequency were Carex kobomugi, Elymus moll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Lathyrus japonicus, Calystegia soldanella and Carex pumila. In the seeds of G. littoralis, the maximum fatty acid content was 65.5% oleic acid, 28.7% linoleic acid, 4.3% palmitic acid, 1.5% stearic acid, and 0.2% linolenic acid. Conclusions: In G. littoralis of Korean midwest, the scope of collection and cultivation for medicinal purposes was broad, because differences in associated vegetation, soil composition, and fatty acid content owing to habitat conditions was low.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른 양파의 맛 관련 품질인자 설정 (Quality Factors of Freshness and Palatability of Onion by Cultivation Region and Variety)

  • 전현진;김병삼;이상훈;김윤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59-867
    • /
    • 2014
  • 본 연구에서 양파의 맛에 관련된 품질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국내 주요 양파 생산지인 전남 무안, 경남 창녕, 경북 안동의 세 지역에서 재배된 5가지 품종(수라볼, 하드볼, 황용볼, 터보 및 카타마루)과 경북 문경의 뉴마르스 품종을 이용하여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양파의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건조중량, pH만이 재배지역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비롯한 색도, 비타민 C, quercetin, 폴리페놀 함량, pyruvic acid은 품종별, 재배지역별 값의 차이를 나타냈다. 관능평가 중 지역별 양파의 맛에 대한 기호도에서는 품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전체적으로 맵고 아린 양파 품종보다는 단맛이 높은 품종에서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양파의 맛을 판정할 수 있는 품질지표를 선정하기 위해 각 품질특성들 간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맛에 대한 상관관계는 $Z_{11}$(아린맛)이 -0.914로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고,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신맛과 아린맛의 두 변수가 양파의 맛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