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ed soybean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3초

콩나물 재배방법에 따른 생장 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Cultivated by Three Methods)

  • 신동화;최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0-245
    • /
    • 1996
  • 1994년도산 백태 준자리콩을 이용하여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거꾸로 뒤집은 상태(방법 1)및 정상적인 방법 (방법 2)으로 5일간 재배한 콩나물과 일반적 인 방법(방법 3)으로 9일 재배한 콩나물과의 외형적인 특징, 수율, 부패율 등을 비교하였고, 관능경가를 통하여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고온($23{\sim}29^{\circ}C$) 다습(RH 85-96%)한 상태에서 주기적(8회/1일)으로 정온($17^{\circ}C$)의 지하수를 살수하민서 5일 등안 거꾸로 재배한 콩나물이 정상적 방법(방법 2)으로 재배한 콩나물에 비해 개체의 무게는 떨어지나 수율, 부패율 및 수분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법 1로 재배한 콩나물의 수율($699{\pm}8.14%$)이 방법 3($771{\pm}11.8$)에 비하여 떨어지고 있으나 부패율($0.83{\pm}0.070$)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고온 다습한 상태에서 거꾸로 속성 재배한 콩나물의 품질은 색택, 향 및 종합적인 맛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장기간 재배한 콩나물(방법 3)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여 생장촉진제나 살균제를 처리하지 않고서도 우수한 청정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었다.

  • PDF

콩나물의 향기 성분 분석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Soybean Sprouts)

  • 김용호;이경애;김희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14-319
    • /
    • 2009
  • 특성이 다른 나물콩 4종을 재료로 콩나물을 재배한 후 SDE 법으로 콩나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총 52개의 향기 성분이 분석되었으며, 품종별로 $46{\sim}50$ 개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2. 향기성분은 알콜류 16종, 알데하이드류 17종, 케톤류 10종, furan 류 2종, acid류 2종 및 기타 5종이 분석되었으며, 오리알태는 알데하이드류, 다원콩은 알콜류의 성분 수가 타 품종보다 적게 나타났다. 3. 품종별 향기성분의 상대적 함량은 오리알태가 가장 높았으나 동정된 성분의 갯수는 풍산나물콩과 녹채콩이 많았다. 4. 다원콩은 알콜류와 알데하이드류가 비슷한 함량 조성을 보였으나 기타 품종들은 알데하이드류가 알콜류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5. 4 품종 모두 2-hydroxybenzaldehyde, hexanol, 1-octen-3-ol 등이 상대적으로 함량이 높았다.

천연 항균복합제재용액을 침지 및 재배용수로 처리한 콩나물의 선도유지 효과 (Preservative Effect of Soybean Sprouts Pre-soaked and Cultivated in the Solu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Mixture)

  • 정준호;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1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식품의 미생물작용에 의한 변질의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성천연항균제품(botanical antimicrobial agent)에 천연보조제(인삼추출물, 알로에, 매실추출물)를 첨가하여 paper disk법에 의한 항균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인삼추출물을 첨가한 천연복합항균제재(BAAG)에서 생육저해환이 가장 크고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천연 항균복합제재 용액에 콩나물용 콩을 농도별로 각각 침지 처리하여 냉장 및 상온에 저장하면서 대장균수, 총균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외관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수도수로 침지처리한 대조구와 비교하면서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대장균은 BAAG의 침지처리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처리농도가 증가시킬수록 균증식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고, 총균수도 BAAG 처리구의 콩나물이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외관상의 변화와 상품 가치를 측정한 결과는 수도수처리구인 대조구 콩나물이 저장 3일 후부터 부패취와 함께 표피의 점질성 갈변이 형성되어 상품가치가 크게 떨어진 상태였다. 위와 같은 결과, BAAG용액 속에서 콩나물 콩을 발아시켜 침지 처리함으로써 콩나물의 유통기간을 상당기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명재배가 토양선충밀도와 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cultivation of Cassia tora on Soil Nematode Population and Soybean Growth)

  • 조선행;김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0-225
    • /
    • 1991
  • 콩을 연작해온 밭토양에 경명을 재배하므로써 토양선충밀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것이 콩생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기 위하여 콩단작구, 결명단작구, 콩-결명혼작구 및 간작구를 만들어 1년간 재배한 후 그 자리에 3년동안 콩을 재배하면서 선충밀도와 콩의 생육을 조사하엿다 1. 콩단작구에 비하여 결명혼작구 및 간작구에서 토양선충밀도는 크게 낮았고 결명단작구에서는 결명의 생육이 왕성해지면서 토양선충이 완전히 없어 졌다. 2. 결명단작구에 이듬해부터 콩을 계속 재배했어도 토양선충의 밀도는 아주 낮았고 결명혼작고 또는 간작구에 콩을 계속 재배하여도 3년차까지는 콩연작구보다 선충밀도가 훨씬 낮았다. 3. 결명의 뿌리에는 뿌리혹이 착생하지 않는것이 특징인데 콩과 결명을 혼작 또는 간작하여도 콩뿌리에 형성된 뿌리혹의 수는 콩단작구와 차이가 없었다. 4. 콩 성열기의 주당입수, 주당입수 및 주당입중은 결명과 혼작 또는 간작하여도 콩단작구와 차이가 없었다. 결명단작구, 혼작구 및 간작구의 뒷자리에 이듬해부터 콩을 재배한 결과 2년차까지는 콩연작구보다 생육이 더 좋았다.

  • PDF

인삼 재배 예정지의 Arbuscular 균근균(AMF) 번식체 밀도 향상 (Improvement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Propagule at the Preplanting Field for Ginseng Cultivation)

  • 손보균;진서영;김홍림;조주식;이도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0-176
    • /
    • 2008
  • 대학 부속농장의 밭 토양을 선정하여 토양 중 AMF 밀도 향상과 토양 물리성 개선을 위하여 기주작물로서 겨울작물인 보리와 호밀, 여름작물인 수단그라스와 콩을 재배하는 작부체계 유형별로 AMF 밀도 변화와 토양특성을 조사하였다. 재배작물의 생산량은 겨울작물 중 호밀을 재배한 포장 ($3,045kg\;10a^{-1}$)이 가장 높았으며, 호밀 재배 후 여름작물 중 수단그라스를 재배한 포장 ($2,757kg\;10a^{-1}$)과 보리를 재배한 후 콩을 재배한 포장 ($1,628kg\;10a^{-1}$) 순으로 건물 생산량을 보였다. 유기물 함량에서는 큰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입단화율은 보리를 재배한 포장이 45.7%, 호밀을 재배한 후 수단그라스를 재배한 포장에서 45.1%로 높아졌다. 포자밀도는 겨울작물을 재배한 포장이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여름작물은 수단그라스를 재배한 포장에서 건토 1 g당 64개로 콩을 재배한 포장보다 증가하였다. AMF 외생균사 길이는 겨울작물이 건토 1 g당 1.5~2.0 m 수준이었으며, 여름작물은 수단그라스를 재배한 포장이 건토 1 g당 2.6~2.9 m, 콩을 재배한 포장이 건토 1 g당 1.7~2.2 m 수준으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토양 중 Glomalin 함량은 작물을 재배한 포장이 대조구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도 보리를 재배한 후 이어 콩을 재배한 포장에서 건토 1 g당 1.7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삼 재배 예정지의 토양관리를 위한 작부체계는 겨울작물의 보리를 재배한 다음 여름작물의 수단그라스를 재배하는 유형이 AMF 포자밀도 향상과 토양 물리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콩나물 부패병 방제를 위해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길항균 Pseudomonas fluorescens의 이용 (Isolation and Utilization of Antagonistic Pseudomonas fluorescens from Soils for the Protection of Soybean Sprouts Rot)

  • 김진호;주길재;최용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0-56
    • /
    • 2001
  • 부패된 콩이나 콩나물에 존재하는 33종$(K-1{\sim}K-33)$의 각종 미생물로부터 콩나물 부패에 관여하는 세균(K-17)과 진균(K-28)을 각각 1종류씩 분리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Erwinia carotovora와 Fusarium sp.로 동정하였다. 콩나물 부패균에 길항하는 미생물은 각종 토양 균원시료로부터 분리한 350여종의 세균을 이용하여 콩나물 부패세균인 K-17 균주와 진균인 K-28 균주에 각각 길항력을 나타내는 J-232 세균을 최종 선발하였다. 길항균 J-232는 Pseudomonas fluorescens로 동정되었다. 콩나물 부패균 E. carotovora K-17과 Fusarium sp. K-28의 배양액으로 재배한 콩나물은 시루 아랫부분이 부패하였으나, 길항균 P. fluorescens J-232는 PDA 한천배지에서도 부패균들의 생육을 억제하였을 뿐만아니라 길항균 배양여액을 단독으로 콩나물재배에 처리할 경우에도 시루 내 콩나물은 부패되지 않았다. 콩나물 부패균 E. carotovora K-17과 Fusarium sp. K-28의 배양액에 길항균 P. fluorescens J-232의 배양액을 원액 또는 500배까지 희석하여 침지한 후 재배한 콩나물도 전혀 부패되지 않았으며 생육이 약간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 PDF

국내 산지별 대두와 이를 이용한 두부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s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and the Accompanying Soybean Curd Properties)

  • 서유진;김민경;이슬;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1-449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경쟁력을 갖춘 대두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차별성을 살펴보기 위해 경기도 파주, 경상북도 안동, 전라북도 무주, 경상남도 하동에서 재배되어 2009년 6월 15일에 파종한 대원콩, 대풍콩, 선유콩, 청자 2호와 이들로 만든 두부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성분에서는 대두의 산지별 특성이 두부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두의 isoflavone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안동지역의 함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고, 하동지역은 낮았다. 두부의 isoflavone 함량에서도 이와 같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대두의 지방산 조성은 하동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oleic acid의 조성이 높았으며,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의 조성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는 두부의 지방산 조성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산지별로 재배된 대두의 이화학적 특성이 산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이로 만든 두부에서도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콩에서 두부로 제조될 때 산지별 대두의 특성이 최종 가공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콩 가공제품을 제조할 때 산지별로 재배된 원료 콩의 이화학적 특성 차이를 고려한다면 보다 용도별 적합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콩 가공제품의 제조와 가공적성평가 항목의 설정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존수 살수(撒水)에 의한 콩나물의 성장조건 최적화 (Optimal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Soybean Sprouts by Ozone Water Watering)

  • 김일두;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9-224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soybean sprouts by ozone water watering. Optimal conditions for ozone water watering of soybean sprouts during cultivation at 2$0^{\circ}C$ were evaluated with ozone concentration(0.1~O.5 ppm) and watering frequency(1~9 time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al conditions for growth of soybean sprouts were ozone concentrations of 0.20~0.32 ppm, ozone treatment frequency of 3.0~4.4 times. Germination rates, hypocotyl weights and hypocotyl lengths in the soybean sprouts cultivat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increased by 13.3, 10.1 and 11.9%, respectively, whereas root weights decreased by 89.0%.

  • PDF

Studies on the Soybean Cyst Nematode (Heterodera glycines) in China

  • Liu, Wei-Zhi;Liu, Ye;Duan, Yu-Xi;Hong, Quan-Chun;Wang, Ke-Ning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3-88
    • /
    • 1995
  • Soybean has been cultivated in China for 5,000 years. The soybean cyst neamtode (SCN), Heterodra glycines, was recongnized in Northeastern China in 1899. Currently, it is known to occur in 12 provinces. The biology of SCN was investigated in several provinces. Six races of SCN were identified (race 1, 2, 3, 4, 5 and 7). About f10,000 soybean germplasm lines were evaluated for their resistance to race 1, 3, 4 and 5 of SCN. At least two black-seeded cultivars are resistant to all four races. Several tolerant soybean cultivars with yellow seed coat were released and are in production. Additional resistant cultivars are being developed. Nematicides were not applied in production Potential biocontrol agents and related aspects are being investigated.

  • PDF

Isoflavone Concentrations and Composition of Soybean Varieties Grown in Upland and Lowland Regions of Vietnam

  • Cong, Luong Chi;Seguin, Philippe;Khanh, Tran Dang;Kim, Eun-Hye;Ahn, Joung-Kuk;Chung, Ill-M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4-71
    • /
    • 2011
  • Health beneficial propertie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oflavones are well know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isoflavon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s of soybean varieties grown in different cultivated regions of Vietnam (i.e., upland and lowland). Total and individual isoflavon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otal isoflavone concentrations varied from 1153 to $6604{\mu}g\;g^{-1}$ and averaging $3354{\mu}g\;g^{-1}$ across environments and varieties. In the lowland region, the highest total isoflavones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M103 cultivar ($5653{\mu}g\;g^{-1}$) and the lowest in VX9-3 ($1153{\mu}g\;g^{-1}$), whereas in the upland region the highest and lowest concentrations were in M103 ($6604{\mu}g\;g^{-1}$) and DT93 ($1938{\mu}g\;g^{-1}$), respectively. Across varieties, average total isoflavones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upland than lowland region (3728 vs. $2980{\mu}g\;g^{-1}$). The malonylglucosides and acetylglucosides concentrations in upland soybean varietie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lowland region. Despite the presence of Genotype (G) x Environment (E) interactions, varieties with consistently high (M103) and low (VX9-3, DT93) isoflavone concentrations across environments were identifi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isoflavones in Vietnamese soybean varieties, revealing large variation in isoflavones concentration and profile among different varieties and cultivated regions. Results will be useful in selecting high-isoflavones soybean varieties for growth in tropical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