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r difference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산 및 중국산 대두의 두유 제조 및 기능적 특성 (Manufacturing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oymilk prepared with Korean and Chinese Soybeans)

  • 전기숙;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8-7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국산 대두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국내산 대두(Jinpumkong)와 중국산 대두(Heinong 48)를 이용하여 두유를 제조하고,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in vitro 항산화 모델(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두유의 이화학적 특성(고형분 함량, pH, 색도)과 현탁액 안정도는 산지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중국산 대두로 제조한 두유(각각 $20.71{\pm}0.34GAE\;mg/g\;dw$, $6.31{\pm}0.11QE\;mg/g\;dw$)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각각 $^{***}p<0.001$, $^{**}p<0.01$), 총 탄닌 함량은 국내산 대두로 제조한 두유($2.29{\pm}0.22TAE\;mg/g\;dw$)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전자공여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2.5 mg/mL와 10.0 mg/mL의 농도에서 중국산 대두로 제조한 두유가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각각 p<0.01, p<0.05).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산지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국산 대두는 페놀성 화합물이 풍부하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음료 제조 원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수확시기와 품종이 추파연맥의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Harvest Date and Cultivar Effect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all Sown Oat)

  • 이강세;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9-346
    • /
    • 1999
  • 본 시험은 수확시기 및 품종이 추파 인맥(Avena sativa L.)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8월 26일부터 11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수확시기로서 조기(10월 11일), 중기(10월 21일) 및 만기(11월 1일)를 주구로 하고, 품종('west', 'Cayuse' 및 'Magnum')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배치 하였다. West 품종만이 10월 10일에 첫 출수를 하였으며, 만기수확시기에는 30%의 출수율을 보였다. 건물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12,8%에서 15.9%로 증가하였으며(p<0.01), West, Cayuse 및 Magnum 품종이 각각 15.4, 13.4 및 13.5%의 건물률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20.1%에서 13.3%로 감소하였으며(P<0.01), 중생종과 만생종인 Cayuse와 Magnum이 조생종인 West보다 2% 더 높은 조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p<0.01). ADF와 NDF 함량은 중기수확기에 가장 높았으며, 조생종인 West가 중생종과 만생종인 Cayuse나 Magnum에 비해서 더 높은 ADF, NDF 함량을 나타내었다. West의 in vitro 건물소화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감소하였으며, Cayuse와 Magnum은 중기수확기까지만 감소하였다. Cayue와 Magnum 품종이 West에 비해서 3~4% 더 높은 in vitro 건물소화율을 나타내었다. in vitro 소화율과 ADF 함량간에는 -0.86의 높은 부(負)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매수확시기별 ha당 평균 건물수량은 2,901kg에서 5,901kg로 증가하였으며(p<0.01), 품종간의 유의성은 없었다(p<0.05). 건물수량과 유효적산온도(GDD)간의 상관관계는 +0.86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추파연맥을 재배시 건물수량의 증수를 위해서 수확시기를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중생종과 만생종인 Cayuse와 Magnum은 수확시기를 늦추어도 사료가치의 큰 변화없이 건물수량 증수가 가능할 것이다.

  • PDF

강원도에서 수집된 왕머루의 생장과 과실특성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Vitis amurensis Rupr. Collected in Gangwondo)

  • 박영식;허재윤;김인종;허수정;김경희;정병찬;박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26-233
    • /
    • 2005
  • 강원도에서 수집되어진 왕머루를 관능평가와 기능성물질 분석을 통해 우량한 개체를 선발하였고, 선발되어진 왕머루를 통해서 생육과 과실특성을 검정하였다. 왕머루의 생육특성을 검정하기 위한 실험은 재배품종인 ‘캠벨얼리’와 ‘거봉’과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왕머루의 만개기와 착색기는 실험에 이용되어진 재배품종들에 비해서 빨랐으나 수확기에 있어서는 늦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재배적 특성에 있어서 재배품종과 야생머루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지는 않았다. 신초생장 양상을 통하여 평가되어진 생장곡선은 재배품종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머루의 과실 비대는 착과이후 $3{\sim}4$일 경에 급속도로 신장하다가, 신초가 생장하는 시기에 신장이 느려졌으며, 두 번째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부터 재배기까지 과실의 크기에 있어 대략 2배가량 신장하여 왕머루의 과실 발달은 두 번의 정지기를 가지는 이중생육곡선으로 구분되었다. 왕머루의 과실의 크기와 가용성당 함량은 수령에 따라 증가한 반면, 산도와 총 당함량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육이 안정화되고 계통의 특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능성 물질의 검정에서 야생머루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16.6에서 50.2mg/100g로,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0.143에서 $0.236{\mu}g/100\;g$으로 재배품종들에 비해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집되어진 왕머루의 과실과 생육특성을 검정한 결과에서 야생머루는 일반재배품종들보다 유용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왕머루의 다른 식품학적인 요소들은 포도속 식물의 육종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봄감자 재배기간이 가을감자 품종의 생육, 수량 및 가공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ring Potato Cultivation Period on Growth, Yield and Processing Quality of Autumn Potato Cultivars)

  • 이규빈;최장규;권도희;이재연;이희태;진용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9-160
    • /
    • 2024
  • 국내에서 감자는 주로 반찬이나 부식으로 이용해 왔지만 최근에는 칩이나 프렌치프라이 등 스낵이나 간식으로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가공원료용 생감자를 사용하여 감자를 가공하는 것에 대한 수요는 높지만 감자를 2기작으로 특히 가을에 재배하였을때 가공품질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봄감자 재배기간을 달리하여 가을감자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과 수량 및 가공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봄감자 파종 후 수확을 70일, 80일, 90일, 100일 총 4번에 거쳐 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각각 강릉과 서천 지역에서 가을재배를 수행하였다. 지상부 출현율은 봄감자 재배기간이 짧은 씨감자를 가을재배 했을 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경장은 봄재배 기간이 80일 및 90일인 씨감자를 강릉 지역에서 가을재배했을 때 47.2~48.9로 다른 처리에 비해 컸다. 재배기간에 따른 경수와 엽색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수확시기에 따라 괴경수, 괴경무게, 수량 및 상서수량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품종에 따른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괴경 무게는 강릉에서는 새봉 품종이, 서천에서는 은선 품종이 우수하였다. 전분 함량은 봄에 80일간 재배한 씨감자를 강릉 지역에서 가을재배 했을 때 7.9%로 함량이 높았으며, 서천 지역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Glucose 함량은 재배기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봄감자 재배기간이 긴 씨감자를 가을재배에 이용할 경우 그 함량이 높아졌다. 감자를 2기작으로 재배 시 봄감자 재배기간이 괴경의 생육, 수량 및 가공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결과, 재배기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고, 품종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였다. 은선 품종은 가을재배 시 지상부 생육 및 수량이 뛰어났고, 가공품질은 새봉 품종이 우수하였다.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품질 및 이화학 특성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wpea Cultivars Grown in Different Seeding Periods)

  • 김현주;이지혜;이병원;이유영;전용희;이병규;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2-510
    • /
    • 2018
  • To begin with, this study identified and review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Korean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cultivars grown in two different seedling periods.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cowp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ree cultivars (Seowon, Yeonboon and Okdang) and two different seeding periods (5 June and 5 July). Through this lens,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cowpea cultivars increased slightly during the 5 July cultivation compared to the 5 June cultivation. This brings us to understand that the water binding capacity, water solubility index, and swelling pow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ultivars. In this case, the water binding capacity of the cowpea was 108.87~143.19%, and decreased during the 5 July cultivation compared to the 5 June cultivation. As shown,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cowp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ultivars. In this cas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5 June and 5 July cultivation on the Seowon 4.17 and 4.12 mg GAE/g, respectively. In these term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wpe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ultivars, and the Yeonboon and Okdang increased slightly during 5 July cultivatio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wp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ultivars, and all cultivars decreased slightly during the 5 July cultivation. In other words, the phenol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iffer measurable depending on the cultivars and seeding peri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per cultivar and seeding time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the applicable cultivation area.

황색종 연초(Nicotiuna tabacum L. )에서 엽탈락의 품종간 차이 II. (Varietal Difference of Leaf Breakdown in Field of Flue -Cured Tobacco (Nicotiana tabacum L.) II)

  • 조수헌;이철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5-69
    • /
    • 198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reeding Information for varietal difference of leaf breakdown of flue-cured tobacco at Taegu Experiment Station, Korea Ginseng & Tobacco Research Institute In 1988. The experiment was designed in randomized block with 3 replications. And data were analyzed as spilt plot design composed with varieties for main and growth stages for sub-plots. Among the 8 varieties (NC 95, SL 72, Sleight G-28, TC 518, NC82, NC 2326, NC 567 and TC 499), first half derived from NC 95, and 4 latter varieties were used for check Plants and not derived from NC 95. Plant seedlings were transplanted in 15 April. The number of breakdown leaf were investigated twice at peak growth stage, 5 June and at early harvest stage, 30 June. NC 95 and varieties derived from NC 95 had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number of breakdown leaf compared to the latter 4 ones after heavy rainfall,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two growth stages. It was suggested that NC95 and varieties derived from NC 95 had substance to induce leaf breakdown by conditional genes after water absorption to plant tissue. Among the varieties derived from NC 95 cultivar SC 72, Speight G-28 and TC 518 had appeared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number of breakdown leaf, respectively. These results could appreciated analogically that character of leaf breakdown were governed by heteromeric genes In NC 95.

  • PDF

Effect of different pollen sources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quality in 'Niitaka' pears (Pyrus pyrifolia Nakai)

  • Lee, Ug-Yong;Ahn, Young-Jik;Chun, Jong-Pil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23-2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hich pollen type could be an effective pollen source for self-incompatible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when different pollinizers were to be applied. The pollens of five different pears with similar flowering times were applied to bagged 'Niitaka' flowers grown in Cheonan city, Korea. Pollen types used were of different origins including Korean pears ('Wonhwang' and 'Chuhwangbae'), Japanese pears ('Chojuuro' and 'Okusankichi'), and Chinese pear ('Yali'). Results show that the amount of pollen produced by flowers of each cultivar was the largest in Korean pear 'Wonhwang' (234 g/100 flowers) and the smallest in Japanese pear 'Okusankichi' (126 g/100 flowers). A high proportion of large fruits (> 600 g), 71.4% of total production, was found in the fruits treated with 'Yali' pollen. However, these fruits showed an unfavorable external appearance. Based on individual fruit width differences, 'Chojuuro' treatment produced the smallest difference in fruit diameters (3.2 mm) and 'Yali' treatment' gave the largest (4.8 mm). Also, the difference in fruit length was the largest in 'Yali' (7.5 mm), which also produced the most uneven fruits among the pollinizers used. Meanwhile, the use of pollens of 'Wonhwang' and 'Chuhwangbae' improved productivity by increasing the fruit shape index and the ratio of bigger fruits in total production. Moreover, those pollens also decreased the development of lenticels on fruit skins which gave them a smoother appearance.

호도나무 교잡종의 과실특성 (Nut Characteristics of Walnut Hybrids (Juglans spp.))

  • 이욱;이문호;황석인;변광옥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68
    • /
    • 2007
  • 본 연구는 호도나무 교잡종 과실의 양적 및 질적형질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입중 및 인중, 인중비 등 과실의 주요형질에 의한 품질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신품종을 육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입중이 13g 이상이고 인중비가 50%이상의 양적형질의 선발기준에 의해 산성4호${\times}$Concord 8번 개체 등 4개체가 우량개체로 가장 유망시 되었다. 특히 봉합선 폭은 인중비가 높은 우량과실 및 개체를 선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중과 입중이 무거울수록 인의 길이가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격막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인의 분리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인의 분리용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적형질은 개체 및 교배조합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모든 형질에 대하여 동일개체 내에서 다양한 특성이 동시에 관찰되었다.

혼파방목지에서 Tall Fescue와 두과목초 조합에 따른 가축생산성과 질병 비교 연구 II. 목초의 생산성 , 사료가치 , 식생구성율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효과 (Study on Animal Production and Disease Affected by Different Varieties of Tall Feacue and White Clover in Mixed Grazing Pasture II. Effect on pasture production, nutrutuve value, botanical composi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 김문철;정창조;김규일;장덕지;김중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7-166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im to find out a tall fescue cultivar which is palatable and resistant to hot climate, and a white clover cultivar which is less competitive with other grasses. Pastures with 3 treatments (TI: Fawn, tall fescue + Regal, white clover + orchardgrass + perennial ryegrass, T2: Roa, tall fescue + Regal, white clover + orchardgrass + perennial ryegrass, T3 : Roa, tall fescue + Tahora, white clover + orchardgrass + perennial ryegrass) were established by oversowing. Under continuous grazing, dry matter yield, soil characteristics, botanical composition and nutrient contents of forage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grazing seasons 60m 1994 to 1996.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establishment percents,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and nutrient contents of forages between 3 treatments(P>0.05). Dry matter yield of TI, T2 and T3 were 24,188, 23,827 and 23,578kg/ha, respectively. Fawn and Roa, tall fescue cultivars occupied 6.1 and 4.8% of the total plants in 1994, 14.4 and 11.5 % in 1995, and 28.4% and 17.7% in 1996,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awn, tall fescue dominantly occupied with time more than Roa, tall fescu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ercentage of Regal and Tahora, white clover cultivars(P > 0.05), showing 4.2 and 2.4% in 1994, 16.1 and 17.3% in 1995, and 2.4 and 1.0% in 1996,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orchardgrass on mixed pasture decreased after summer season of high temperature, but percentage of Roa, tall fescue slowly increased with time firom 1994 to 1996.

  • PDF

Physiological Responses of Soybean Cultivars to Fusarium solani f. sp. glycines Causing Sudden Death Syndrome

  • Joon Hyeong, C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73-381
    • /
    • 1999
  • Six soybean cultivars having different SDS susceptibility were planted with sorghum seedinoculum infested with F. solani isolate 171 in the greenhouse. First leaf symptoms appeared on unifoliar leaves at 9 days after inoculation and all cultivars showed the typical leaf symptoms at 13 days after inoculation, when trifoliar leaves emerged. Leaf symptoms development in susceptible cultivars was faster than in resistant cultivars. Leaf symptom severities during the period of 25 to 29 days after inocul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which had SDS resistance and sus ceptibility. In this period, area under the diseaseprogress curve (AUDPC) of Hartz 6686 was the highest and that of PI 520733 was the lowest. SDS caused serious damage to the growth of soybean in all cultivars. Average reductions of growth rate of roo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greater than those of plant tops. Duyu-kong showed less severe leaf symptoms than that of SDS suscetible cultivars; however, average growth rate of plants top and roots of this cultivar was les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ose of SDS susceptible cultivars. In all cultivars, as severity of leaf symptoms increased, plant top weight decreased. Root rot symptoms were observed in all cultivars before leaf symptoms appeared. Average proportions of tap root reddish-brown discoloration of all cultivars was up to 75 % at 15 days after inoculati 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 between cultivars at each rating date. Appearances of leaf symptoms on leaves varied in each cultivar. SDS resistant cultiv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rinkling than susceptible cultivars and SDS susceptible cultiv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necrosis than resistant cultivars.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hysiological growth rate and SDS severities in soybea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