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r difference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19초

제초제 Thiobencarb 처리에 의한 수도품종간 단백질 유형의 변화 (Protein Patterns of Rice(Oryza sativa L.) Cultivars as Affected by Herbicide Thiobencarb)

  • 김학윤;김길웅;신동현;김건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4-361
    • /
    • 1996
  • Thiobencarb 처리에 의한 수도품종의 내성 정도를 조사하고 내성 메카니즘을 연구하기 위하여 내성 및 감수성 품종간의 단백질 함량, SDS-PAGE에 의한 단백질 유형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시험에 공시한 5개 품종 중 IR 10198-66-2와 IR 9660-50-3-1은 온실 및 실내실험에서 공히 thiobencarb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으며 IR 22, IR 31802-48-2-2, IR 20656-R-R-R-6-1은 제초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장이 크게 억제되어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Thiobencarb 처리에 의한 단백질의 함량은 내성 및 감수성 품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감수성 품종의 단백질 함량은 제초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내성품종의 경우 감소가 거의 없었다.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밴드는 내성 품종의 경우 5ppm 처리에서도 변화가 없었으나 감수성 품종은 5ppm 처리에서 94-30 kD 사이와 14.4kD 부근의 단백질 밴드가 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Thiobencarb 3ppm을 처리한 감수성 품종인 IR 22의 2차원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 패턴에서는 14.4kD와 55kD 부근의 spot가 사라지거나 density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단백질 함량과 유형의 변화로 미루어 보아 thiobencarb 처리는 감수성 품종의 특정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벼의 thiobencarb에 대한 내성은 이 부위의 단백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확 전후 요인이 잎상추의 저장수명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 and Post-harvest Factors on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Leaf Lettuce)

  • 양용준;박권우;정진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3-140
    • /
    • 1991
  • 잎상추(Lactuca sativa L.) 저장 중 재배적요인(품종 및 재배시기) 및 저장요인(저온 및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포장)이 저장수명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생체중량 감소, 외관품위, 황화, 클로로필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 비타민 C 및 nitrate 함량을 조사하였다. 생체중량 감소 및 외관품위의 열화는 포장처리에 의해, 그리고 $4{\sim}5^{\circ}C$ 보다는 $0{\sim}1^{\circ}C$가 더 억제 되었다. 품종간 비교에서는 "적축면" 보다는 "청치마"에서, 그리고 재배시기별 비교에서는 가을재배 보다는 겨울재배에서 이들의 변화가 다소 지연되었다. 저장 중 잎상추의 황화현상은 카로티노이드 함량변화 보다는 주로 클로로필의 파괴 때문이었다. Vitamin C의 저장 전 함량은 "적축면" 보다는 "청치마"에서, 그리고 가을재배 보다는 겨울재배 시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저장 중 비타민 C는 저장 초기부터 전처리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4{\sim}5^{\circ}C$에 비해 $0{\sim}1^{\circ}C$에서 감소가 다소 지연되었다. Nitrate의 경우는 저장 전 함량은 "적축면"은 3812.6 ppm을 함유하고 있었고, "청치마"는 2856.6 ppm을 함유하고 있었다. 저장 중 nitrate 함량변화는 $4{\sim}5^{\circ}C$에 비해 $0{\sim}1^{\circ}C$에서 다소 억제되었다.

  • PDF

발아 전후 현미유에서의 기능성 지질성분 변화 (Changes in Nutraceutical Lipid Constituents of Pre- and Post-Geminated Brown Rice Oil)

  • 곽지은;윤성원;김대중;윤미라;이정희;오세관;김인환;이준수;이점식;장재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91-600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nutraceutical lipid components of brown rice oil after germination. Four different high-yielding cultivars (Dasan1, Segyejinmi, Hanareum1 and Hanareum2) of Korean brown rice were selected and brown rice oil was extracted from each cultivar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ree fatty acid, squalene, policosanols, and isomers of phytosterol were analyzed using GC, and isomers of tocols (tocopherol and tocotrienol) and ${\gamma}$-oryzanol were quantified using HPLC from both brown rice oil (BRO) and germinated brown rice oil (GBRO). The contents of phytosterol isomers,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beta}$-sitosterol were increased by 8.3%, 31.6%, 3.3% in GBRO,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squalene content showed the highest increase of up to 2.4 fold in GBRO compared to BRO. In addition,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mposition increased whereas oleic and palmitic acid decreased in the GRBO. However, the contents of tocols (tocopherol and tocotrienol) in GBRO were lower than those in BRO,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icosanol and ${\gamma}$-oryzanol between GBRO and B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GBRO has the potential as a healthy and functional source due to its lipid profile on improved lipid metabolism.

국산 옥수수 배유특성에 따른 일반성분, 색도 및 경도 비교 (Comparison of General Ingredients, Chromaticity and Hardness according to Kernel Type of Korean Maize)

  • 박혜영;김미정;배환희;신동선;심은영;최혜선;박지영;최유찬;김홍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88-59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basic information for corn processing by compar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aize cultivars and kernel types (dent, intermediate, flint-like). As a result of analyzing 15 cultivars, a range of measurements were observed: 100-kernel weight, 22.89~35.63 g; moisture, 7.57~8.42%; crude protein, 8.46~11.45%; crude lipids, 3.26~4.83%; Hunter's L-value, 83.70~86.79; a-value, 2.61~5.49; b-value, 22.01~28.15; and total carotenoids, 6.74~17.07 ㎍/g. Significance among the cultivars was shown in all quality characteristics (p<0.001), but the significance among the kernel types was found only in crude protein (p<0.005), crude fat (p<0.001), and Hunter's L-value (p<0.05). The hardness of maize was de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soaking time for all maize cultivars (p<0.001). In particular, with the same soaking time for different kernel types, the hardness difference was shown in the order of flint-like > dent ≒ intermedi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rease in the hardness of flint-like kernel of close to that of hard-type starch was slowed compare dent and intermediate kernels. So it is expected the some characteristic of kernel types will contribute to the appropriate customized use of the developed cultivars.

나물용 콩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의 하배축 및 생장특성 차이 (Difference of Hypocotyl and Growth Characters of Soybean-sprouts by Sowing Date in Sprout-soybean Cultivar)

  • 김학신;김경호;김홍식;이영호;정승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608-617
    • /
    • 2006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배축신장성과 콩나물 생장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sim}2001$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기를 달리하여 생산된 원료콩을 이용하여 실험실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온도별 콩나물의 배축신장성은 재배온도가 높을수록 빨랐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그 차이가 컸다. 2. 콩나물의 배축장과 근장은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7월 5일 파종이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보다 길었고, 배축굵기는 도레미콩이 가장 굵었으며 한남콩이 가늘었다. 전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길어졌고 은하콩이 가장 길었으며, 다원콩이 가장 짧았다. 3. 콩나물의 부패립율과 불완전발아립율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부패립율은 다원콩이 가장 낮았고 소명콩이 가장 높았으며 불완전발아립율은 풍산나물콩이 가장 낮았고 한남콩이 가장 높았다. 4. 콩나물 수율은 2001년에 생산된 종실에서 더 높았고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은하콩과 도레미콩이 높았고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 수율의 변이가 적고 안정적인 품종은 풍산나물콩과 소명콩이었다. 5. 콩나물 수율과 제형질과의 관계는 종실의 수분흡수율이 낮고 치상 1일과 4일후의 발아율이 높은 것이 콩나물 수율이 높았으며, 콩나물 수율과 배축장, 근장 및 개체당 생중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Response of Antioxidative Enzymes of Two Rice Cultivars to Ozone Exposure and Nutrient Supply

  • Lee, Sang-Chul;Hwan, Cho-Jeong;Park, Shin-Young;Son, Tae-K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0-46
    • /
    • 2001
  • Ozone ($O_3$)-induced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 and specific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ascorbate peroxidase (APX), guaiacol peroxidase (GPX), dehydroascorbate reductase (DHAR)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were investigated in two rice cultivars (Oryza sativa L.) grown under variable nutrient treatments. For this study, two rice cultivars of Ilpumbyeo (IL) and Keumobyeo#l (KM), which were known as resistant and susceptible to $O_3$, respectively, were exposed to $O_3$at 0.15ppm for 30 days and investigated with 10 days interval. The available nutrient regimes were varied by doubling the supply of nitrogen (N), phosphorus (P) and potassium (K) Within a basic fertilizer status (N, P, K; 15, 12, 12kg/l0a$^{-1}$ ). In both cultivars and at all nutrient status, chlorophyll content in $O_3$-treated plants decreased with prolonged treatment period, although higher N, P and K supply with $O_3$ treatment alleviated the decrease in chlorophyll content. The activities of almost all enzymes investigated for this study were decreased during initial stages of $O_3$- exposure except GPX which maintained higher activity throughout the exposure period than the non-treated plant. However, the antioxidant enzymes in $O_3$-treated plants showed almost the same or higher activities on 30 days after $O_3$ - exposure.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activities were observed in GR of the $O_3$-treated leaves. With the prolonged treatment period, the activity of GR at 30 days was increased by 3-8 times compared to those in 10 days. Most of the investigated enzymes showed very similar tendency to $O_3$ treatment in all fertilizer status. There was no observed evidence for enhanced detoxification of $O_3$-derived activated oxygen species in plants grown under higher fertilizer status compared with that in plants grown under basic fertilizer status. The increase in the activities of SOD, APX and GR in rice leaves by relatively long-term treatment with $O_3$ at low concentration is considered to indicate that the plant became adapted to the $O_3$ stress and the protection system increased its capacity to scavenge toxic oxygen species. Our results in two rice cultivars indicat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between IL and KM, which were known as resistant and susceptible cultivar to $O_3$

  • PDF

지방 수집 작약의 유망계통에 대한 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ivars in Paeonia spp.)

  • 안병창;민병훈;정해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59-168
    • /
    • 1996
  • 작약의 지방수집종 1,510계통 중에서 선발된 97계통의 주요 특성을 조사 분석한 다음 Q 상관에 의해서 계통분류한 결과 97계통에서 주당엽수, 엽폭, 엽병장, 화사수, 주두수, 화판수. 화장, 개화기 등의 8개 형질에서 계통들 간에 변이계수가 21.3 - 127.1%로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97계통 중 외부 형질이 유망한 22계통의 염색체수는 2n=10으로 계통간에 염색체수의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97계통의 16개 양적형질에 대한 Q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4개 계통군으로 분류되었고, 제III군과 제VI군은 다시 각각 2개의 아군으로 분류되었다. 제 I 군은 홑꽃계통으로 화폭과 화장이 큰 대륜종이며, 제 $III_a$군은 화판수가 많은 겹꽃계통이었다. 제VII군은 가장 늦게 개화하는 만생종 계통군이며, 제IX군은 개화일이 5월 17일로 가장 빠른 조생종 계통군이었다. 제VIII군은 경장과 엽장이 제일 짧은 왜성게통으로 분식용으로 적합하며, 제 XIII 군은 주당엽수가 많으며 엽장과 엽폭이 큰 대엽계통이었다. 제X 군은 전형적인 피침형의 엽형태를 갖고 있으나 제XII군은 엽폭이 가장 넓은 란형의 엽형태를 갖고 있었다.

  • PDF

맥후작(麥後作)에 있어서 신육형(伸育型)이 다른 대두(大豆)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lanting Densities of Two Growth Type of Soybean Cultivars on the Vegetative Growth and Yield after Barley)

  • 이충렬;최창렬;송인만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51-156
    • /
    • 1986
  • 본(本) 실험(實驗)은 신육형(伸育型)이 다른 황금(黃金)콩과 수원(水原)125호(號)를 공시(供試)하여 맥후작(麥後作)에 있어서 알맞은 재식밀도(栽植密度)를 구명(究明)하고자 실시(實施)하였는데 그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開花期)와 성숙기(成熟期)는 본(本) 실험(實驗)의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주경절수(主莖節數)는 신육형간(伸育型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나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으며 밀식(密植)할수록 개체당(個體當) 분지수(分枝數)와 분지장(分枝長)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였다. 3. 개체당(個體當) 협수((莢數), 입수(粒數) 및 자실중(子實重)은 밀식(密植)할수록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여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으로는 밀식(密植)할수록 오히려 증가(增加)하였다. 4. 10a 당(當) 수량(收量)은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 높은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는데 유한신육형(有限伸育型)인 황금(黃金)콩은 $60{\times}7.5cm$, 무한신육형(無限伸育型)인 수원(水原) 125호(號)는 $60{\times}5.0cm$에서 가장 많았다.

  • PDF

배수약간불량 논토양에서 품종 및 해가림 피복물 종류가 2년생 인삼의 생육과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ety and Shading Material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2-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Grown in Imperfectly Drained Paddy Soil)

  • 이성우;연병열;김충국;신유수;현동윤;강승원;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34-438
    • /
    • 2008
  • To selection of optimal shading material, two-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of new cultivar, 'Cheonpoong' (CP), and native species 'Hwangsookjong' (HS) were cultured under three kinds of shading materials such as three-layered blue and a one-layered black PE (polyethylene) net (TBSB), blue PE sheet (BS), and aluminium coated PE sheet (AS) in imperfectly drained paddy soil.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were investigated under three shading materials.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of ginseng were distinctly affected by intensity and quality of sunlight penetrated through shading materials. Light transmission ratio, air and soil temperature according to shading materials were higher in order of BS, AS, and TBSB. However, ratio of aerial phase and porosity of the soil were higher in order of AS, BS, and TBSB,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ratio of rusty colored root by shading materials. CP showed higher stem length, leaf area, and root weight than that of HS, while the former showed distinctly lower discolored leaf ratio than that the other. Eight kinds of ginsenosides content of CP were higher than that of HS in $Rg_1$, Re, Rf, $Rb_1$ and Rc except $Rg_2$, $Rb_2$, and $Rb_3$. Total ginsenoside contents of CP was distinctly higher than that of HS. Total ginsenoside contents as affected by shading materials was higher in order of BS, TBSB, and AS in CP, while TBSB, BS, and AS in HS.

Potable handheld gas chromatograph(PHGC)를 이용한 인삼속(Panax species) 식물들의 향기패턴 분석 (Analysis of Aroma Pattern of Panax Species by Potable Handheld Gas Chromatograph)

  • 이부용;양영민;이옥환;김경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62-866
    • /
    • 2002
  • 분말상태의 인삼속 식물들의 품종 및 원산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SAW 센서가 내장된 PHGC를 이용하여 향기 패턴을 분석하였다. 한국 백삼을 1로 기준할 때 전체적인 Rt에 대한 frequency pattern의 면적비는 화기삼 $0.248{\sim}0.871$, 전칠삼 $0.030{\sim}0.674$, 중국산 백삼 $0.005{\sim}0.212$ 범위로 나타났다.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는 몇 개의 특정 향기성분의 면적비를 보면 $Rt_{20.02}$에서 한국산 백삼 1일 때, 중국산 백삼 0.212, 화기삼 0.343, 전칠삼 0.065이었다. 또한 $Rt_{21.70}$$Rt_{24.90}$에서 검출되는 향기성분의 면적비도 품종간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한국산 백삼과 중국산 백삼에서 검출된 Rt_26.15 향기성분의 면적비는 각각 1과 0.185로 나타나 원산지간의 차이도 분명히 나타났다. $Rt_{26.15}$의 향기성분은 화기삼과 전칠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Frequency pattern, derivative pattern을 Vapor $print^{TM}$을 사용하여 도형화하여 비교한 결과 한국 백삼(Korean Panax ginseng C.A. Meyer), 화기삼(미국삼, 서양삼, Panax quinquefolium L.), 전칠삼(Panax notoginseng F.H. Chen), 중국산 백삼(Chinese Panax ginseng)은 서로 다른 패턴을 보여주어 품종간의 차이는 물론 원산지의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