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mb firmnes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찰성 및 메성 쌀보리가루의 첨가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xy and Normal Hull-less Barley Flours on Bread-making Properties)

  • 이영택;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18-923
    • /
    • 2003
  • 찰성 및 메성 쌀보리가루을 밀가루에 $10{\sim}30$ 대체한 복합분에 대하여 반죽의 물리적 특성 및 제빵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Amylograph 호화특성에서 찰성 쌀보리가루를 첨가한 복합분은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가 메성에 비해 낮았으며 set back 역시 현저히 낮아 전분의 노화가 느리게 진행됨을 제시해 주었다,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올로지 특성은 찰성 쌀보리가루 복합분의 peak height가 메성에 비해 높은 반면 mixing time은 약간 낮게 나타났다. 쌀보리가루의 첨가는 빵의 체적을 떨어뜨리고 주간적인 관능평가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찰성 및 메성 쌀보리가루 10% 첨가수준에서는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0% 첨가수준부터는 대조구에 비해 큰 차이로 품질이 떨어졌으며 메성이 기호도에 있어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20% 쌀보리가루를 첨가한 빵의 저장중 성도변화를 조사한 결과 찰성 쌀보리가루를 첨가한 빵의 경도가 메성에 비해 낮았으며 빵의 staling이 보다 완만히 진행됨을 나타내 주었다.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Korean Wheats with 1Dx2.2+1Dy12 Subunits in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 Park, Chul-Soo;Baik, Byung-Kee;Kang, Moon-Seok;Park, Jong-Chul;Park, Jae-Gun;Yu, Chang-Yeon;Choung, Myoung-Gun;Lim, Jung-D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3호
    • /
    • pp.243-252
    • /
    • 2006
  • White salted noodles and pan bread were prepared from Korean wheats with 1Dx2.2+1Dy12 subunits in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subunits (HMW-G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for end-use product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US wheats with various classes and commercial wheat flours. Korean wheat flours with 1Dx2.2+1Dy12 subunits showed higher SDS sedimentation volume than US wheat flours with similar protein content. Compared to wheat flours with similar protein content and SDS sedimentation volume, water absorption percent of Korean wheat flours using a mixograph was higher than that of US wheat flours, but similar to commercial wheat flours. Mixograph mixing time was similar to hard wheat flours and commercial noodle flours. Optimum water absorption percent of noodle dough from Korean wheat flours was higher than that of US wheat flours. Noodle sheets from Korean wheat flours with 1Dx2.2+ 1Dy12 subunits showed lower L values, higher a values and similar b values compared to commercial noodle flours. Hardness of cooked noodles from Korean wheat flours 1Dx2.2+1Dy12 subunits correlated positively with protein content, NIRS hardness, mixograph water absorption and gluten yield of flours. Korean wheat flours with 1Dx2.2+1Dy12 subunits showed lower loaf volume and harder crumb firmness than hard wheat flours and commercial bread wheat flours in spite of similar protein quantity and quality to hard wheat flours.

활성글루텐, 검, 유화제 및 효소제의 복합첨가에 따른 쌀빵의 품질특성 (Combined Effects of Vital Gluten, Gum, Emulsifier, and Enzyme on the Properties of Rice Bread)

  • 김경은;이영택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320-325
    • /
    • 2009
  • 활성글루텐을 첨가한 쌀가루에 검의 첨가가 쌀가루의 신속점도측정기(RVA) 호화양상과 farinograph 반죽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검의 첨가에 의해 쌀가루의 RVA 최고점도는 증가한 반면 setback은 약간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활성글루텐을 첨가한 쌀가루에 검의 첨가는 farinograph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키고 반죽의 안정도를 증가시켜 반죽을 강하게 하는 효과를 부여하였다. 쌀가루에 활성글루텐을 14% 첨가하고 검, 유화제 및 효소제를 복합처리하여 쌀빵을 제조한 후 쌀빵의 부피와 저장 중 경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쌀가루에 첨가하는 활성글루텐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쌀빵의 부피가 감소하였지만 검, 유화제 및 효소제를 복합첨가 함으로써 쌀빵의 부피를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었다. 활성글루텐만을 첨가한 쌀빵은 저장 중에 경도가 급격히 상승하였으나 검, 유화제 및 효소제를 복합첨가하여 제조한 쌀빵은 저장 중에 경도의 증가 폭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절한 검, 유화제, 효소제의 복합처리는 쌀빵의 부피와 경도 변화 등 쌀빵의 품질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국내산과 수입 밀가루로 제조한 스폰지 케익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System Prepared with Domestic and Imported Wheat Flour)

  • 오명석;김혜영;이영식;김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13-819
    • /
    • 2007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ponge cakes using 2 kinds of domestic wheat flour(white flour, whole wheat flour) and imported cake flour were investigated. In the proximate analysis, white flour had higher contents of water and protein compared with those of imported flour. Whole wheat flour had the highest contents of protein, lipid and ash. Regarding the batter, imported flour sample showed lower specific gravity and higher viscosity than those of domestic flour sample, implying that there was more air incorporation and higher batter stability. As a result, imported flour batter produced larger cake compared to that of domestic flour batter. But indexes of symmetry and uniform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In textural analysis using rheometer, cakes with imported flour were softer compared with that with domestic flour. In gumminess and brittleness, cakes with domestic white flour showed the highest value while that with the imported flour showed the lowest value. For the color measurements of cake crumb,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 was found among the samples. Regarding the cross-sections of the cake observed using SEM, imported flour produced cake with smaller and more even air cells compared to that with the domestic flour cake. In sensory evaluation, cakes with the domestic white flour showed the highest moistness valu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ringiness, firmness, adhesiveness and ease of swallow among the samples. In conclusion, cakes with domestic white flour and whole wheat flour were as good as that with imported cake flour for the sponge cake preparation.

국산밀 품종의 밀가루 특성과 가공적성 II. 가공 적성평가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Korean Wheat Cultivars II. End-use Properties)

  • 강천식;박철수;박종철;김학신;정영근;김경호;김기종;박기훈;김정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6
    • /
    • 2010
  • 국산밀 주요 26개 품종의 가공적성평가를 통하여 국내산 밀의 품질향상과 향후 소비자 요구에 맞는 용도별 고품질 밀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용도별 수입원맥 6종과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밀가루 5종을 비교 평가하였다. 제면적성평가에서 제면용으로 수입되는 ASW와 시중밀가루의 가수량과 유사한 품종은 안백밀, 은파밀, 고분밀, 한백밀, 적중밀, 조농밀, 남해밀과 수강밀이었다. 면대두께에서 국산밀 품종은 그 범위가 적었으며, 수입밀에서는 제과용 밀가루가 가장 적고 제빵용 밀가루가 가장 두꺼웠으며 제면용 밀가루가 그 사이의 값을 나타냈다. 면대밝기에서 국산밀 품종 밀가루는 시중밀가루와 비교하여 비교적 어두웠으며 밀성밀이 가장 밝았다. 국수면대 밝기는 밀가루 입자크기, 회분, 손상전분, 단백질함량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삶은 국수의 식미검정 결과 단백질함량은 삶은 국수의 경도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삶은 국수의 경도에서 생면용과 비슷한 국산밀 품종은 알찬밀, 다홍밀, 적중밀과 수강밀 등이었으며, 자장면용과 비슷한 국산밀 품종은 고분밀, 조경밀, 조농밀, 금강밀과 남해밀 등이었다. 제빵적성 결과에서 빵용 밀가루와 비슷한 빵 부피를 보인 품종은 알찬밀, 조경밀, 금강밀과 남해밀이었으나, 빵 속질의 경도는 모두 DNS와 시중 빵용 밀가루 보다 높았다. 또한 침전가가 높고, 믹소그래프의 반죽시간이 길고, 빵 반죽시 발효되어 증가되는 반죽의 높이가 높을수록 빵 부피는 컸으며, 빵 속질 경도가 부드러울수록 빵 부피가 컸다. 과자직경은 밀가루 입자 크기가 작고, 손상전분 함량이 적고, 단백질함량이 적을수록 컸으며, 과자직경이 클수록 균열등급은 높았다. 국산밀 품종 중 다홍밀, 그루밀, 올그루밀, 탑동밀과 우리밀은 시중 제과용 밀가루보다 과자직경이 컸지만, 균열정도는 제과용 밀가루보다 작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