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extracts

검색결과 935건 처리시간 0.027초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의 화학성분과 생리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eungee Mushroom (Sarcodon aspratus))

  • 주옥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64-871
    • /
    • 2008
  • 본 연구는 능이버섯의 식품영양학적 및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능이버섯의 화학성분과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능이버섯은 수분 85.73%, 조단백질 1.78%, 조지질 1.87%, 회분 1.27%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 중 alanine(90.11 mg%), 지방산 중 linoleic acid(39.09 mg%), 유기산 중 tartaric acid(75.47 mg%) 및 유리당 중 glucose (1,680 mg%)의 함량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능이버섯 추출물에 대한 전자 소거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고, $800\;{\mu}g/mL$ 처리 시 각각 46.2% 및 7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능이버섯 추출물은 역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간 지질에 대한 과산화 억제 활성이 증가하였고, $1,500\;{\mu}g/mL$ 처리 시 $2,347\;{\mu}mol$ MDA/g liver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능이버섯추출물을 첨가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저장 7일 후에 POV가 197.4 meq/kg이하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의 항산화효과가 있었다. 암세포에 대한 능이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에서, 폐암 세포주인 A549에 대한 증식 억제율은 능이버섯 메탄올 추출물 $100\;{\mu}g/mL$ 처리시 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홍삼 및 복분자를 첨가한 청국장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onggukjang Containing Korean Red Ginseng and Rubus coreanum)

  • 홍주연;김은정;신승렬;김태완;이인중;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72-877
    • /
    • 2008
  • 본 실험은 청국장의 풍미와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홍삼 및 복분자 추출액을 첨가하여 청국장을 제조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 및 조지방의 함량은 증자콩, 일반청국장, 홍삼청국장 및 복분자청국장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홍삼청국장이 1,992.6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증자콩은 138.7 mg/100 g으로 청국장에 비해 그 함량이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을 살펴보면, 증자콩에서는 maltose(805 mg/100 g)의 함량이 높았고, 청국장에서는 fructose와 glucose가 주된 유리당이었으며, 특히 홍삼청국장은 일반청국장에 비해 sucrose의 함량이 높았다. 증자콩 및 청국장에서 총 17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홍삼청국장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자콩이나 일반청국장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L, a 및 b값은 증자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분자청국장의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청국장이 증자콩에 비해 경도 및 강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홍삼을 첨가한 청국장은 일반 청국장에 비해 단맛과 감칠맛 그리고 부드러운 질감을 가질 것으로 생각되며, 청국장 제조 시 홍삼을 첨가함으로써 맛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어패류를 이용한 조미료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1. 패류 자숙액즙의 성분조성- (A Study of Exploiting Raw Material of Seasoning by Using Fish and Shells -1. On Composition of Seasoning Material in Cooking By-product-)

  • 김우준;배태진;최종덕;최지현;안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9-264
    • /
    • 1994
  • 굴, 키조개, 새조개, 진주담치 등을 가공할때에 부산되는 자숙액을 조미료 자원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정미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공과정에서 생산되는 자숙액은 굴 21,790톤, 키조개 604톤, 진주담치 1,395톤이었다. 2. 일반성분은 수분이 $95.2{\sim}97.4\%$로 높고 단백질이 $1.0{\sim}l.5\%$로 낮았다. 3. 유리아미노산 가운데 taurine이 $40{\sim}56\%$로 가장 많고 glycine이 $10.4{\sim}36\%$, alanine이 $4.8{\sim}8.6\%$, glutamic acid가 $3.1{\sim}5.3\%$로 많았다. 4. 핵산관련물질은 ADP, AMP가 높았다. 5. glycinebetaine은 굴이 139.3mg/100g이었으나 키조개, 진주담치, 새조개는 각각 45.2, 52.1, 66.9mg/100g로 적었다. 6. Total creatinine과 trimethylamine oxide는$30.4{\sim}59.1mg/100g,\;0.8{\sim}47.2mg/100g$로 적었다.

  • PDF

저식염 속성 멸치 발효액화물 가공에 관한 연구(I) -숙성 중 유리아미노산 변화 및 품질지표-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Rapid- and Low Salt-Fermented Liquefaction of Anchovy(Engrulis japonica) (I) -Changes in Free Amino Acids during Fermentation and Quality Indices-)

  • 강태중;조규옥;박춘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7-213
    • /
    • 2002
  •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cessing condition of rapid- and low salt-fermented liquefaction of anchovy (Engrulis japonica), effect of temperature on crude enzyme activity of anchovy viscera, pretreatment conditions, and the minimum content of adding NaCl were investigated. The minimum limitation of NaCl content for anchovy liquefaction was 10%. Sample A(water adding, heating, adding 10% NaCl): chopped whole anchovy adding 20% water and then heating for 9 hrs at $50^{\circ}C$ and then adding 10% NaCl and then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8-29^{\circ}C)$ for 180 days. Sample B(water adding, heating, adding 13% NaCl): chopped whole anchovy adding 20% water and then heating for 9 hrs at $50^{\circ}C$ and then adding 13% NaCl and then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for 180 days. Sample C(adding 13% NaCl): chopped whole anchovy and then adding 13% NaCl and then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for 180 days. Sample D(adding 17% NaCl): whole anchovy adding 17% NaCl and then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for 180 days.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serine and threonine fluctuated severely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methods. Possibly they might be recommend quality indices of standardization for salt-fermented liquefaction of anchovy. As for the relation between fermentation period(X) and individual free amino acid(Y), five kinds of free amino acids such as glutamic acid, valine, glycine, lysine, and alanine showed highly significant in thei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most of samples. They might be recommend as quality indices for salt-fermented liquefaction of anchovy during fermentation. The difference of taste between products of the rapid- and low salt-fermented liquefaction and the traditional salt-fermented liquefaction were caused by their composition of the free amino acids ratios, in which were umami, sweet, and bitter taste in the extracts of anchovy during fermentation. The appropriate fermentation period of the sample A was shorten 30 days than the sample B and 60 days than the samples C and 90 days than the sample D in the processing of anchovy.

천연물에 포함된 미백성분의 추출 및 미백효과 (Extraction of Whitening Agents from Natural Plants and Whitening Effect)

  • 김은철;안소영;홍은숙;이광화;김은기;노경호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348-353
    • /
    • 2005
  • 천연물 중에서 사자발쑥과 인진쑥, 홍경천, 청국장, 된장 추출물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쑥 10 g에 300 mL의 에탄올로 상온에서 3 h의 초음파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물을 차례로 같은 양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트로 분배과정을 거쳤다. 홍경천 5 g에 150 mL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h을 냉침하여 얻은 추출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하였다. 제조용 컬럼($3.9{\times}250mm$, $C_{18}$, $15{\mu}m$)을 통하여 두개 부분의 분획물을 획득할 수 있었다. 청국장과 된장은 6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억제활성과 멜라닌 억제효과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쑥의 경우 항산화효과에서는 인진쑥의 물층, 멜라닌 억제 효과에서는 사자발쑥의 헥산층, 인진쑥의 클로로포름층이 우수하였다. 홍경천 추출물은 in-vivo melanin production ratio assay에서 melanin-a 세포를 사용한 결과 미백효과는 알부틴보다 우수하였다. 청국장과 된장의 60% 에탄올 추출물은 미백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Rhodococcus sp. RHA1 유래의 Indole Oxygenase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Indole Oxygenase Gene Derived from Rhodococcus sp. RHA1)

  • 강미숙;이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7-203
    • /
    • 2009
  • indigo는 염색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색소로, 현재는 고가의 식물에서 추출된 indigo 대신에 합성 indigo가 주로 사용된다. 최근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법으로 indigo를 생산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미생물원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indole oxygenase를 탐색, 특성의 규명, 효소의 특성 개량, indigo 생산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Rhodococcus sp. RHA1 유래의 indole oxygenase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대장균에서 발현시킨 결과, 청색 색소가 축적되었으며, 분광광도계, HPLC 및 TLC분석을 통해서 그 청색 색소가 indigo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전세포를 이용하여 indole 첨가시 indigo가 생성됨을 측정하여, 본 연구의 효소가 indole을 indigo로 전환을 촉매하는 indole oxygenase임을 확인하였고, 트립토판을 첨가한 TB배지에서 약 $236{\mu}M$의 인디고가 생산됨을 알았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된 특성 이외에 효소 활성의 개량, 적절한 생산용 균주의 선정,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대량 발현, 배지 및 배양 공정의 최적화 과정등을 거칠 경우, 보다 더 실용적인 indigo생산 생물공정의 확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Oxygen Sensitivity of Carbon Monoxide-Dependent Hydrogen Production Activity in Citrobacter sp.

  • Kim, Jung-Rae;Oh, You-Kwan;Yoon, Yeo-Joon;Lee, Eun-Yeol;Park, Su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717-724
    • /
    • 2003
  • A newly isolated Citrobacter sp. Y19 catalyzes the CO-dependent $H_2$ production (biological water-gas shift reaction) by the actions of CO dehydrogenase (CODH) and hydrogenase. Y 19 requires $O_2$ for fast growth, but its $H_2$ production activity is significantly inhibited by $O_2$.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O_2$ on the activities of CODH ard hydrogenase was investigated quantitatively in both whole cells and broken cells, based on CO-dependent or methyl viologen (MV)-dependent $H_2$ production in addition to CO-dependent MV reduction. In crude cell extracts, CODH activity was mostly found in the soluble fraction. Inactivation of CODH and hydrogenase activities by $O_2$ followed the first-order decay kinetics, and the dependence of the rate constants on $O_2$ partial pressure could be expressed by the Michaelis-Menten equation. In whole cells, the maximum deactivation rate constants ($k_{d,max}$ of hydrogenase and CODH were quite similar: $0.07{\pm}0.03 min^{-1}\;and\;0.10{\pm}0.04 min^{-1}$, respectively. However, the first-order rate constant ($k_{d,max}/K_s$) of CODH ($0.25\;min^{-1}\;atm^{-1}$) at low $O_2$ partial pressures was about 3-fold higher than that of the hydrogenase, since the half-saturation constant ($K_s$) of CODH was about half of that of hydrogenase. In broken cells, both enzymes became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o $O_2$ compared to the unbroken cells, while $k_{d,max}/K_s$ increased 37-fold for hydrogenase and 6.7-fold for CODH. When whole cells were incubated under anaerobic conditions after being exposed to air for 1 h, hydrogenase activity was recovered more than 90% in 2 h suggesting that the deactivation of hydrogenase by $O_2$ was reversible. On the contrary, CODH activity was not recovered once deactivated by $O_2$ and the only way to recover the activity was to synthesize new CODH. This study indicates that $O_2$ sensitivity of $H_2$ production activity of Citrobacter sp. Y19 is an important drawback as in other $H_2-producing$ bactria.

함초 추출물의 마우스 면역 증강 활성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Extract)

  • 류덕선;김선희;이동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5-141
    • /
    • 2008
  •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염습 지대에서 자생하는 명아주과에 속하는 일년초 식물로서 우리말로는 퉁퉁마디라고 불리우며,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건조된 함초로부터 열수 추출을 하여 조추출물(CSP)을 얻었으며, 조추출물을 한외 여과 및 gel 여과를 통해 다당체I(SP I)과 다당체 II(SP II)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함초 추출물들은 마우스 면역 조절 활성을 확인하는데 사용되었고, 실험은 시험관 내 실험과 생체 내 실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시험관 내 실험에서는 $7{\sim}8$주 된 Balb/c 마우스로부터 비장 세포와 T 세포를 분리하여 시료를 농도별(0.5, 1, 2, 4 mg/mL)로 처리한 후 일정 시간 배양하여 MTS assay를 통해 세포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비장 세포와 T 세포에서 각각 4 mg/mL 농도로 24시간 배양한 경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SP I이 3.2, 3.5배로 유의적인 세포 증식 활성을 나타내었다. 생체 내 실험에서는 $7{\sim}8$주 된 Balb/c마우스를 대조군과 투여군으로 나누어 7일 동안 경구 투여를 실시하였는데, 실험 종료 후 비장 세포를 적출하여 mitogen을 이용한 세포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SP I을 경구 투석한 비장 세포가 가장 높은 세포 증식능을 보였다. 즉, 함초로부터 조추출물과 다당체를 획득하여 이들에 대한 면역 활성능을 확인한 결과, 조추출물과 다당체에서 면역 세포 활성 증강 효과를 보였는데, 조추출물보다 다당체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함초 다당체는 면역 증강 활성을 가진 바이오 헬스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출방법을 달리한 달맞이꽃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enothera biennis extracted by different methods)

  • 김진학;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3-238
    • /
    • 2016
  •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달맞이꽃 에탄올 추출물의 주요성분과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온교반 추출(SE, stirrer extraction), 초음파 추출(US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환류 추출(RE, reflux extraction), 고온가압추출(AE, autoclave extraction), 저온고압추출(LE, 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extraction)법을 사용한 결과 RE법이 추출수율(46.33%), 총 폴리페놀(463.05 mg GAE/g)과 플라보노이드(71.71 mg RHE/g) 함량이 다른 추출방법 보다 높았다. 달맞이꽃 추출물은 B.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철이온 흡착능 시험에서도 RE법을 이용한 추출물이 각각 74.40%, 65.29%, 1.370 ($OD_{700}$), 90.14%를 나타내어 다른 추출방법에 비해 높았다. 달맞이꽃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유용한 천연물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며, B. cereus가 주 원인이 되는 식중독의 예방이나 오염된 식품의 보존성 증진을 위한 천연 소재로 할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한 뽕잎 발효 특성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Mulberry Leaf Using Bacillus subtilis)

  • 서승호;박성은;김은주;오도건;손홍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8-114
    • /
    • 2017
  • Bacillus subtilis 균주를 이용하여 뽕잎을 발효하고, 발효과정 중 성분 변화와 단백질의 변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뽕잎의 조단백 함량은 21.40%, 구성아미노산은 105.06 mg/g으로 측정되었으며, 그중 주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였다. 뽕잎 발효 36시간 후 B. subtilis의 생균수는 9.49 log CFU/mL였으며, protease의 활성은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여 발효 120시간에는 97.45 units/mL로, 뽕잎의 환경에서 B. subtilis의 생육이 우수하였다. 2DE 실험 결과 발효 전 관찰되던 단백질 spot이 발효 후 분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발효 전($486.91{\mu}g/g$)보다 발효 후($644.35{\mu}g/g$) 증가하였으며, 특히 alanine, isoleucine, leucine, valine의 함량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발효 전 25.93%에서 발효 후 73.22%로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