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position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19초

황칠나무의 揷木發根力 增進 (Promotion of Rootability of the Cutting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 김세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7-162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edia, crown position, clone ,a nd plant growth substances upon the rootability of cutting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ethod of mass production by cutting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the artifical soil mixtureof vermiculite, perlite and peatmoss (1 : 1 : 1 v/v/v) with IBA 100mg /l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on the rooting rate (85%) was obtained with semihardwood cuttings, which were collected early-August after the first growing seasons. The effect of crown position on rooting of cuttings were obsreved. Average percentage rooting of cuttings on crown position showed 78% , 72% and 65% in middle , upper and lower part with IBA 100mg/l treatment , respectively. Among the four treatment levels of IBA, the highest rooting rate was observed in 100mg/l IBA treatment.

  • PDF

Synthesis and Properties of Calix[4]crown-6 Functionalized Polymers

  • Kim Su-Han;Lee Chil-Won;Jeon Young-Min;Gong Myoung-Seo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41-146
    • /
    • 2005
  • Calix[4]crown-6-2,4-bis(4-aminobutyl ether), which has a crown-6 moiety at the 1,3-position and amino function at the 2,4-position, was prepared as an intermediate for the subsequent synthesis of calix[4]crown-6-containing polyamide and polyimide using adipoyl chloride and 1,2,4,5-benze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The chemical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by IR, $^{1}H NMR$ spectroscopy and elemental analysis, and some of thei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their thermal behavior, were examined. The ion binding characteristics of the monomer and polymers for alkali metal and alkali earth metal ions were measured by liquid-liquid extraction from the aqueous phase into the organic phase. It has been observed that polyamide has a high binding ability towards various metal cations as compared to polyimide, which showed cesium ion selectivity.

상악 전치부 단일 임플란트 지지 수복금관의 주변 연조직반응의 단면적 연구 (Soft tissue reactions around implant-supported single-tooth replacements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 장문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321-337
    • /
    • 1998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investigate soft tissue reactions around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and secondly to compare soft tissue dimensions and conditions of the crowns in relation to interdental papillae, and lastly to investigate patients'esthetic satisfaction with their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according to the interdental papillae presence/absence. Twenty-nine patients (41 implants) whose single missing tooth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had been replaced by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 participated for the study and various variables of soft tissue conditions, dimensions and crown dimensions were measured around the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at clinical examination and from study models and slid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ft tissue conditions around the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were similar to those around implants used for partially or totolly edentulous patients. Except for the high frequency of bleeding on probing, all other parameters revealed healthy conditions. The buccal sites of the crown had a shallow pocket comparing with other sites. At all sites of the crown, similar status of little inflammation was found. Mesial sites and central-incisor positioned implantsupported crowns had lower contact point position than distal sites and lateral-incisor positioned crowns, respectively. Mucositis index, probing depth and contact point posi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pillae index(p < 0.05). More inflammation and lower contact point position were found at the implant-supported crown with no interdental space than that with interdental space. Patients showed high esthetic satisfaction regardless of interdental space presence. The result indicated that, despite of their submucosal crown margins,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have soft tissue conditions as good as other implants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 different types of edentulism and a clinician can manipulate interdental papilla height by modifying crown shapes within the limits of not violating total esthetics.

  • PDF

Coping design에 따른 도재전장관의 파절강도에 관한 연구 (THE FRACTURE RESISTANCE OF CERAMOMETAL CROWN WITH VARIOUS COPING DESIGN)

  • 정완모;동진근;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5-132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metal coping design on the fracture resistance of ceramometal crown. The Ni-Cr alloy(Supranium, Krupp Co., German) and Vaccm-fired porcelain powder(Vita VMK 689, Vita Co., Germany) were used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of fracture resisitance of ceramometal crown was done with Instron Universial Testing Machine(Instro Co., Model no.4201). The obained results were as fellows : 1. The fracture resistance measured at the buccal cusp tip was the highest value in the group that those position of ceramometal junction was 2mm superior to the lingual finshing margin(100.25Kg) and the fracture resistance revealed on order of the group that those position was 2mm buccal to the central groove(51.64Kg). 2. The fracture resistance measured at the central groove was higher value in the group that those position was 2mm lingual to the central groove than in the group that those position was 2mm lingual to the central groove than in the group that those position was 2mm superior to lingual finishing margin(132.48Kg). 3. In all cases, the fracture resistance at the central groove was higher than that at the buccal cusp tip.

  • PDF

대한제국기 내장원의 위상 변화와 공문서 접수 (Receipt of Official Documents after the Status Change of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in The Great Han Empire)

  • 박성준
    • 기록학연구
    • /
    • 제36호
    • /
    • pp.35-67
    • /
    • 2013
  • 대한제국기 내장원이 각종 국가 재원을 관할한 거대 재정기구로 확대되면서 공문서 양식도 변화되었다. 초기와 달리 1900년 2월부터 판심에는 궁내부가 삭제된 '내장원(內藏院)'이 찍힌 공문서 용지를 사용했다. 내장원경의 도장에 새겨진 명칭도 '내장원경지장(內藏院卿之章)'으로 변경되었다. 내장원이 거대 재정기구로 확대되면서 위상도 독자성을 갖는 기구로 높아졌던 것이며, 그 양상이 공문서 양식에도 반영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문서 유통 체계에서도 나타났다. 1897년까지 내장원이 각 군으로부터 받은 보고의 수신자는 대부분 궁내부대신이었으나 1899년부터는 수신자가 내장원인 보고서가 대부분이었다. 1899년 8월 이전에는 내장원이 각 군에 훈령을 내릴 수 없었으나, 1899년 8월 이후부터 내장원은 각 군에 훈령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아직 내장원은 중앙기관과 대등한 위치에서 문서를 거래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1900년 9월부터 내장원은 중앙기관과 대등한 위치에서, 지방 기관과는 상급 기관으로서 문서를 거래하게 되었고, 내장원에는 기록과가 설치되었다. 내장원은 궁내부 소속의 하급 기관에서 벗어나 독립된 기관으로서 각 기관과 문서를 거래하게 되었다. 1900년 9월 기록과가 설치된 이후부터 내장원은 독자적으로 문서 접수책을 작성했다. 1901년도 접수책과 1905 1906년도 접수책을 비교해 보면 1905년도 접수책부터 접수 호수가 등장하고 일부에서는 해당 문서의 담당 기관이 기록되었다. 1902년부터 1904년까지의 접수책이 없어 접수책에 언제부터 접수 호수가 기록되었는지 접수책을 통해서는 알 수 없지만, 1905년도 접수책에 기록된 접수 호수와 일자가 접수스탬프에 기입된 내용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접수 호수가 기록된 시점은 접수스탬프를 찍기 시작한 1902년 7월 전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접수스탬프와 달리 접수책에는 업무 담당 기관인 과(課)가 먼저 기록되었다. 이는 내장원이 접수책을 과를 구분해서 작성했던 방식에서 과를 통합하여 작성하는 방식으로 전환했기 때문이었다. 내장원은 과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접수책에 접수한 순서대로 문서를 기록하면서 각 문서에 연속된 접수 호수를 부여하고, 해당 문서의 업무 담당 기관을 구분하기 위해 접수책 하단에 과를 기록했던 것이다. 1900년 9월 기록과가 설치된 이후 독자적으로 문서를 수발하게 된 내장원은 접수한 문서에 도장 '내장원영수증(內藏院領收證)'을 찍고, 문서접수 장부를 작성했다. 내장원은 과를 구분해서 접수책을 작성했던 초기의 방식에서 과를 통합해 하나의 접수책에 작성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접수책에는 접수 호수와 업무 담당 기관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접수한 문서에는 접수일자 호수로 구성된 접수스탬프를 찍어 점차 접수 체계가 정비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삽수(揷穗)의 클론, 모수령(母樹齡), 채취부위(採取部位) 및 발근촉진제(發根促進劑)가 낙엽송(落葉松)(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의 삽목발근(揷木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lones, Ortet Age, Crown Position, and Rooting Substance upon the Rooting of Cuttings of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

  • 정덕영;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05-210
    • /
    • 1994
  • 본 연구는 채종원에서 개화결실이 부진한 낙엽송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의 삽목증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수의 모수령, 채취부위, 클론 및 발근촉진제가 삽목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실시하였다. 2, 8, 16, 30년생 모수에서 7월 하순경 당년에 생장한 삽수를 채취한 후, 발근촉진제인 IBA(Indole Butyric Acid)를 1000, 2000. 5000ppm의 세가지 농도로 5초간 처리하였다. 삽수는 peatmoss, vermiculite, perlite를 1 : 1 : 1 로 배합하여 조제된 온실내 삽목상에 삽목한 후 3개월이 경과된 10월 하순에 발근여부를 조사하였다. 발근촉진제 무처리의 경우 발근율은 2년생에서 52%, 8년생에서 48%, 16년생에서 36%, 30년생에서 20%인 반면, IBA 1000ppm 처리시 가장 높은 발근율을 얻었는데 2년생 80%, 8년생 71%, 16년생 52%, 30년생 25%로 발근율이 향상되었으며, 부정근의 수와 주근의 길이가 모수령이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IBA 처리로도 증가하였다. 시기별 생존율은 삽목후 15-45일 사이에 현저히 감소한 반면, 그 후에는 생존율이 거의 감소하지 않았으며, IBA 처리로 생존율이 향상되었다. 모수의 클론별 발근율 조사는 8년생 모수를 사용하였는데, IBA 1000ppm 처리시 강원 49호에서 40%로 저조한 반면, 충남 6, 7호와 전북 1, 9호는 67%로 가장 커서 클론간에 발근율이 차이가 있었다. 삽수의 채취부위에 따른 위치효과는 수관 상부에서 채취한 삽수가 IBA 처리시 발근율이 평균 53%로 가장 낮았으며, 수관 하부가 56%, 수관 중부는 60%의 순으로 발근율이 증가되었다.

  • PDF

다래(Actinidia arguta) 및 교잡종 다래(A. arguta × A. deliciosa)의 수관층위에 따른 광합성, 엽 그리고 과실의 특성 변화 (Changes of Photosynthesis,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Actinidia arguta and Hybrid Kiwi (A. arguta × A. deliciosa) According to Crown Layer)

  • 박영기;한진규;황석인;김세현;강문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8-13
    • /
    • 2011
  • 본 연구는 다래 및 교잡종 다래의 수관층위에 따른 광환경 차이에 따른 광합성능력, 엽 그리고 과실의 특성 변화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관층위별에 따른 광합성속도를 측정한 결과, 수관층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 속도가 증가하여 광도 $1,000{\mu}mol{\cdot}m^{-2}s^{-1}$에서 하층($5.82{\mu}mol\;CO_2\;m^{-2}s^{-1}$), 중층($7.11{\mu}mol\;CO_2\;m^{-2}s^{-1}$), 상층($9.54{\mu}mol\;CO_2\;m^{-2}s^{-1}$)의 순으로 높은 광합성속도를 나타냈다. 엽의 경우, 수관층위가 높아질수록 엽폭과 엽장 그리고 엽면적이 감소하였다. 즉, 하층, 중층, 상층 수관층위가 증가할수록 엽면적은 162.8, 90.9, $68.3cm^2$ 로 각각 감소하였다. 과실의 경우에는 수관층위가 높아질수록 과실 중량 및 과실 폭과 과실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상층의 높은 광합성능력이 과실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수관상층부로의 결과지 유도를 통해 대립성 다래 과실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상악 전치부 치관 파절의 보존적이고 심미적인 접근법: 파절편 재부착 (Conservative and esthetic approach in crown fracture of maxillay anterior tooth: tooth fragment reattachment)

  • 정경화;권은영;김소연;전혜미;손성애;박정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2호
    • /
    • pp.105-112
    • /
    • 2019
  • 치관 파절은 영구치, 특히 치열에서 가장 노출된 위치에 존재하는 상악 전치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외상성 손상이다. 파절편 조각이 존재하고 상태가 양호한 경우 치관 파절을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는 원래 위치에 다시 파절편을 재부착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상악 전치에 발생한 치관 파절 증례를 파절편 재부착 술식으로 치료하였으며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치아 부위에 따른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파절강도 (Fracture strength of zirconia ceramic crowns according to tooth position)

  • 이인섭;김정미;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94-100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악과 하악의 각 치아부위에 $Lava^{TM}$ All-Ceramic System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을 제작하고 각각의 파절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중절치와 견치는 절단연의 삭제량을 2.0 mm, 소구치와 대구치는 교합면의 삭제량을 1.5 mm, 그리고 축면 경사도는 $8^{\circ}$로하여모두8군의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금속 다이와 지르코니아 도재관을 제작한 후 레진시멘트 (Rely $X^{TM}$ Unicem)를 이용하여 합착하고 만능시험기상에서 치아 장축에 $30^{\circ}$경사지게 하여 중절치와 견치에 제작된 지르코니아 도재관은 절단연 중앙 부위에 하중을 가하였고, 소구치와 대구치에 제작된 지르코니아 도재관은 기능교두의 협설측 경사면 중앙부위에 하중이 가해지도록 한 후 파절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1.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평균 파절강도는 하악 제1대구치에서 2963 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악 중절치에서 1035 N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지르코니아 도재관과 IPS Empress 도재관과의 평균 파절강도는 모든 치아에서 지르코니아 도재관이 더 크게 나타났다. 3.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파절 양상은 하중이 가해진 중앙 부위에서 치아 장축으로 수직적인 파절상을 보였다. 4. 상악과 하악의 동일 부위에 제작된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파절강도는 소구치에서 상악이 하악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 .05), 다른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05). 결론: 본 실험의 결과로 지르코니아 도재관은 임상에서 활용하기에 만족할 만한 강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교합 하중 위치에 따른 임플란트 지지골의 응력분포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in the Implant Supporting Bone by Occlusal Loading location Utiliz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 이명곤;김영직;김치영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5-11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loading at three different occlusal surface position of the gold alloy crown on the stress distributions in surrounding bone, utiliz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an implant with simplified gold alloy crown and supporting bone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 oblique or vertical load of 100 N was applied at the following position at each FE model : 1) center of occlusal surface, 2) a point on the buccal side away from center of occlusal surface (COS) by 2.8mm, 3) a point on the lingual side away from COS by 2.8mm. In the results, Minimum von Mises stresses under vertical load or oblique load of 100N were about 6MPa at the center of occlusal surface and about 40MPa at the point on the buccal side,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we coul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occlusive loading position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for establishment of structural safety of supporting b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