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layer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초

치과용 지르코니아 표면처리방법에 따른 지르코니아와 전장용 도재의 결합강도 관찰 (Shear Bond Strength of Zirconia and Ceramics according to Dental Zirconia Surface Treatment)

  • 이광영;최성민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79-285
    • /
    • 2019
  • Purpose: The dental CAD / CAM system has been popula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dental industry. Zirconia is a typical material in dental CAD / CAM systems. Zirconia crowns are classified into single layer and double layer. This study is about the double layer crown of zirconia. The surface roughness, bond strength and fracture patterns of the zirconia surface were observed. Methods: Zirconia blocks were cut using a low speed cutter. Sintered to form a plate shape (6mm × 6mm × 3mm). The prepared specimens were surface treated in four ways. Surface roughness and bond strength were measured. And the fracture pattern was observed. Results: Result of surface treatment of zirconia. The surface roughness test results were as ET 2.87 ㎛, ST 2.67 ㎛, LT 2.44 ㎛, AT 2.41 ㎛, CN 2.08 ㎛ order. Bond Strength results were as LT 25.09 MPa, AT 23.27 MPa, ST 21.27 MPa, ET 21.09 MPa, CN 16.12 MPa order. Fracture patterns showed cohesive failure of 25-50% of the bond area. Conclusion: Surface roughness, bond strength and fracture pattern of the zirconia surface were observed. Etching the surface treatment of zirconia materials has been shown to affect the surface roughness. Zirconia special binder treatment has been shown to affect the bond strength improvement.

치악산 국립공원의 주연부 식생구조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오구균;권태호;조일웅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9-36
    • /
    • 1988
  • 치악산국립공원의 주연부 식생구조 및 출현수종을 밝히기 위해 1988년 7월-9월 사이에 현지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관선형, 수간선형 및 전진형 주연부식생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주연부에서 삼림내부로의 거리에 따른 출현수종들이 수관층위별 상대우점치 변화가 방위와 기존 상층우점수종별로 달랐다. 특히, 남사면의 소나무림 내부에서 주연부 양수들이 우세하게 출현하고 있었으며, 북사면 계류 주연부에서는 호습성수종들이 양수들과 함께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삼림주연부로부터 삼림내부로의 거리가 증가할 수록 수관층위별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 및 상이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연부깊이는 15-20m로 나타났다. 환경유형별 관목층과 임상층의 주연부우점수종은 고도와 지형적 위치 즉, 계곡부, 능선, 정상부에 따라 달랐으며 특히, 정상부의 주연부 우점수종은 독특하였다. 그리고 고도, 지형적 위치 및 방위가 주연부식생간의 유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 방위 및 지형적위치에 따라 주연부 수종들의 출현빈도계급이 달랐으며, 병꽃나무는 전지역에서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으며 병꽃나무,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다래, 산딸기, 소나무, 생강나무, 노린재나무, 두릅나무는 대체적으로 전지역에서 주연부 수종으로 출현했다.

  • PDF

상아질처리제(象牙質處理劑)에 의(依)한 상아질(象牙質) 표면(表面) 도말층(塗抹層)의 제거(除去)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MOVAL OF DENTINAL SMEAR LAYER BY DENTIN CONDITIONER)

  • 안현미;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4권2호
    • /
    • pp.65-76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n the removal of dentinal smear layer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reduced dentin surfaces by various dentin surface conditioners. Thirty-two healthy human premolars extracted due to periodontal or orthodontic reasons were used. The teeth were cross-sectioned to expose dentin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crown with diamond rotary saw. The specimens were then divided into 8 groups. The sectioned dentin surfaces in group 1 to 4 were grinded with No. 400 grit silicone abrasive paper and those in group 5 to 8 were cut with #700 carbide bur under air-water spray. The grinded or cut dentin surfaces were conditioned with 3% $H_2O$, Dentin Conditioner(GC Inter. Corp., Japan), and Scotchprep(3M Dent Prod., U.S.A) according to manufacturer's directions. All the specimens were dried in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and gold-coated with Eiko ion coater(Eik-engineering Co.), and observed in Hitachi S-450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t 15-25 KV.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dentin surfaces grinded with the silicon abrasive paper were rougher in texture and heavier in amount of smear layer than those cut with the carbide bur. 2. Scrubbing of 3% $H_2O_2$ was not effective in removing dentinal smear layer. 3. 20-second conditioning of Dentin Conditioner (GC Inter. Corp) resulted in the removal of a significant amount of the smear layer without removing the tubular plugs and dissolving the peritubular dentin. 4. Scotchprep removed the smear layer very effectively. But at the same time it dissolved the peritubular dentin. 5. Irrespective of the uses of the silicon carbide abrasive paper or the carbide bur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ntin surfaces treated with the same conditioning agents were similar.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전부주조관의 교합점 위치와 하중방향이 시멘트층 내 응력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zation of the Stresses in the Luting Cement Layer Affected by Location of the Occlusal Points and Loading Direction on a Full Veneer Crown)

  • 이정훈;이규복;이청희;조광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4호
    • /
    • pp.317-324
    • /
    • 2008
  • 이 논문의 목적은 전부주조관에서 교합점의 위치와 교합력의 방향이 합착용 시멘트층 내의 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하악 제 1대구치상에서 서로 다른 9 개의 교합점과 3가지 교합력 방향을 가진 27가지 조합의 유한요소 모델을 상정하였다. 금관의 소재는 제 3형 금합금이고, 변연의 형태는 chamfer이다. 합착용 시멘트로는 전 층에서 균일하게 $70{\mu}m$의 두께를 가지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사용되었다. 금관에는 100N의 하중을 적용하였다. 협측과 설측 변연의 근접도에 따라서 시멘트층 내 응력은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협측은 변연으로부터 약 0.5 mm, 설측은 변연으로부터 약 1 mm 내측에서 최대 응력 값을 가졌다. 하중 방향이 치축에 대해 경사가 클수록, 하중점이 교두첨에 근접해 있을수록 더 큰 응력이 발생하였다.

동절기 피해의 이해와 겨울철 골프장 관리: 리뷰 (Winterkill and Strategy of Golf Course Management: A Review)

  • 이상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3-137
    • /
    • 2011
  • 동절기 피해는 겨울철에 나타나는 피해의 형태로 유형에 따라 저온피해, 건조피해, 관부수화, 그리고 동절기 병 발생등이 있다. 저온피해는 대기온도와 토양온도에 의해 그 피해가 발생하는데 토양온도가 관부의 생육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피해의 정도가 더 심하게 발생한다. 관부수화는 세포내결빙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로 세포막을 파괴하며 결과적으로 세포내 조직을 탈수시키게 된다. 저온건조는 동절기 기간동안 식물체의 잎 혹은 식물전체에 건조로 인한 피해가 나타나 고사에 이르게 되는 피해를 말한다. 동절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가을철 인산과 칼륨의 시비가 동절기 피해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피복재의 사용이 동절기 피해를 최소화 하는 기능을 하는데 그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겨울철 잔디위에 쌓인 눈도 대기온도로부터 토양온도를 유지하는 피복재 역할을 하게 된다. 동절기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기와 배토의 방법이 있다. 통기와 배토는 모두 주로 대취층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이 되고 또한 겨울철 배토를 위해 사용되는 검은색 모래는 토양에 잔존해 있는 얼음을 녹이고 토양온도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피복재와 같이 동절기 피해를 최소화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순조 궁중연희 내연 무대의 주렴(朱簾), 갑장(甲帳)에 관한 연구 -수리(修理)·배설(排設) 부분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d Blind and Gabjang on the Playacting Stage at the Royal Palace under King Sunjo -Focusing on Repairs and Installation-)

  • 석진영;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6호
    • /
    • pp.67-76
    • /
    • 2017
  • Royal banquets under the reign of King Sunjo saw developments in the playacting stage, which exhibited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Jeongjo and Gojong this period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the Joseon Dynasty's playacting stage construction. Starting with the Jagyeongjeon-Hall banquet and continuing into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next-day banquet by the Crown Prince demonstrates a renewed format, with the stage also changing accordingly. This change was substantiated by more assertive use of the Red Blind and gabjang. Previously, the Red Blind has been installed in the palace hall and around the royal courtyard, to form three sides, but as next-day banquets became more frequent under Sunjo, the Red Blind developed and came to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hierarchy within the royal family. In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Red Blind was lifted and the throne of the crown prince was situated in the palace hall. In the banquet of the following year, however, the Red Blind was let down and the crown prince's throne was placed outside, in palace court yard. This seems to have been a gesture to reorient the crown prince's political standing and restore Sunjo's sovereignty the following year. Hence, the installation of the Red Blin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royal hierarchy and ranks under Sunjo's reign. The gabjang provided the second layer of protection for the playacting stage. The hongjeongju gabjang surrounded the stage in multiple layers and served as a partition. The gabjang from the Year of the Golden Bull banquet, in particular, boasted a unique installation, where it dangled from both sides of the royal palace's facade. Hongjeongju gabjang, lapis lazuli gabjang, red gabjang, and yellow curtains were installed in the stated order to reflect Sunjo's 40th birthday as well as the 30-year anniversary of his coronation. The Red Blind and gabjang from Sunjo's years were positioned in creative ways to reinstate the royal authority, and demonstrated many improvements from those of Jeongjo's reign.

아자크라운에테르포스피닉산에 의한 알카리금속이온의 경쟁용매추출 (Competitive Solvent Extraction of Alkali Metal Ions with Azacrown Ether Phosphinic Acids)

  • 남종우;정영진;양일우
    • 공업화학
    • /
    • 제3권2호
    • /
    • pp.266-272
    • /
    • 1992
  • 아자크라운에테르가 부착된 알킬 페닐포스피닉산을 합성하여 수용액층으로부터 클로로포름층으로 알카리금속이온의 경쟁용매추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된 포스피닉산들은 phenylphosphinate, aldehyde 그리고 monoazacrown ether의 한 단계 반응에서 생성되는 포스피네이트 에스테르를 알카리성 가수분해시켜 좋은 수율로 합성할 수 있었다. 합성된 포스피닉산 시약을 착물화제로 사용하여 pH에 따라 수용액층으로부터 클로로포름층으로 알카리 금속이온의 경쟁용매추출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 시약들은 넓은 pH 영역에서 금속이온을 유기용매층으로 추출해냄을 확인하였으며, pH 11인 알카리성 용액에서의 총금속이온부하는 약 75%였다. 이온의 선택성은 아자크라운에테르의 공동크기에 주로 의존하여, monoaza-15-crown-5 기를 갖는 알킬페닐포스피닉산, ${\underline{2}}$, 에서는 $Na^+$ >> $K^+$ > $Rb^+$ > $Li^+$ > $Cs^+$ 순이며 monoaza-18-crown-6 작용기가 있는 알킬페닐포스피닉산, ${\underline{3}}$, 에서는 $K^+$ >> $Rb^+$ > $Na^+$ > $Cs^+$ > $Li^+$ 이온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자크라운에테르포스피닉산들은 유사한 이온선택성을 지닌 크라운에테르카르복실산에 비해 보다 넓은 영역의 pH에서 알카리금속이온의 용매추출이 가능하여, 약한 산성이나 중성 수용액에서도 상당한 정도의 금속이온부하를 나타내었다.

  • PDF

일본 고베시(신호시(神戶市)) 로코(육갑(六甲))아일랜드 임해매립지의 완충녹지 식재기법 연구 (Planting Method of Buffer Green Space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s, Rokko Island, Kobe, Japan)

  • 한봉호;김종엽;최진우;조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7-165
    • /
    • 2010
  • 본 연구는 일본 고베시 로코아일랜드 완충녹지의 공간기능별 지형구조, 식재개념, 식재구조를 조사분석하여 해안매립도시의 토지이용을 고려한 완충녹지 식재기법 연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로코아일랜드(총면적 580ha)는 대규모 완충녹지를 박스형으로 조성하여 외곽부의 항만물류 산업용지와 도시내부 도시기능용지로 구획되었다. 완충녹지 지형구조는 편향마운딩형, 병렬마운딩형, 복합마운딩형이었고, 북쪽의 녹지폭은 50m, 동쪽의 녹지폭은 8~32m, 서쪽의 녹지폭은 37.5m, 경사도는 $18\sim25^{\circ}$, 성토고는 2~15m이었다. 공간기능별 재개념은 해안측 사면부는 경관식재와 완충식재, 도시내부는 경관식재와 녹음식재를 적용하였다. 북측 완충녹지 식재구조 조사결과, 종가시나무, 녹나무, 후박나무, 녹보리똥나무 등 난온대 상록활엽수를 식재하였고, $100mm^2$단위의 종수 및 식재밀도는 최대 교목 9종 22주, 아교목 9종 15주, 관목 3종 67주로 전 층위 14종 104주이었다. 녹피율은 교목층 69~139%, 아교목층 26~38%, 관목층 6~7%, 전 층위 101~184%,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40\sim3.12m^3/m^2$, 아교목층 $0.43\sim0.55m^3/m^2$, 관목층 $0.06m^3/m^2$, 전 층위 $1.89\sim3.73m^3/m^2$이었다.

단일용기 상아질 접착제 처리 후 레진-상아질 경계면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적 연구 (A TEM STUDY OF THE RESIN-DENTIN INTERDIFFUSION ZONE FORMED BY ONE-BOTTLE DENTIN ADHESIVE SYSTEMS)

  • 양동운;박성호;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2호
    • /
    • pp.180-192
    • /
    • 2000
  • One bottle system was recently developed in order to simplify the clinical skills and save chair time after continuous improvements on dentin bonding agents. There has been many studies to measure the bond strength of one bottle systems but no actual work has been done on micromorphologic study of resin-dentin interdiffusion zone after one bottle system application. To evaluate the bonding patterns of various commercially available one bottle systems to dentin, observation of resin-dentin interdiffusion zone under TEM was performed. Caries-free human third molars within one month of extractions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s. The molars were sectioned 1mm above the cementoenamel junction and got rid of the root portions. Crown portions of the teeth were sectioned parallel to occlusal surface so that dentin discs of 1mm in thickness were remained. 7 one bottle systems and 1 two bottle system were applied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s and followings were the results. 1. In every experimental groups, cross bandings of collagen fiber were distinguishable and tight bon dings between the bonding agents and dentin were observed. 2. Hybrid layer was clearly observed in ONE-STEP$^{(R)}$, Prime & Bond$^{(R)}$ 2.1, Syntac$^{(R)}$ SC, MAC-BOND II groups but it was not clear in Single Bond, D-Liner Dual PLUS, ONE COAT BOND groups. 3. Electron-density of hybrid layer was uniform in pattern in MAC-BOND II, Prime & Bond$^{(R)}$ 2.1 groups but not so uniform in ONE-STEP$^{(R)}$ group. 4. Electron-dense amorphous phase in most superior layer of the resin-dentin interdiffusion zone was characteristically observed in Single Bond, Syntac$^{(R)}$ SC, ONE COAT BOND groups. It can be concluded that bondings between the dentin bonding agents and dentin can be various in pattern according to their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 condition during applications.

  • PDF

속리산 국립공원의 주연부식생구조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Mt. Sokri National Park)

  • 오구균;권태호;이재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4-50
    • /
    • 1990
  • 속리산국립공원의 환경유형별 주연부식생구조를 밝히기 위해 1990년 8월에 현지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연부식생의 수관층위별 우점수종, 종구성의 유사도는 기존식생, 고도, 방위, 지형적 위치의 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상부 주연부식생은 다른 환경유형과 심한 차이를 나타냈다. 주연부의 종다양도는 중복부 북사면이 가장 높게, 남사면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전 환경 유형의 아교목층에서 좁은단풍나무가 우점종으로 출현했다. 고도. 방위, 지형적위치에 따라 주연부수종들의 출현밀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고도, 방위, 지형적 위치 등에 관계없이 좁은단풍나무,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조록싸리, 병꽃나무가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