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correlation coefficients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2초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UAL PROBE-FIXING FRAME for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for EXERCISES with VISUAL FEEDBACK

  • Na-eun Byeon;Jang-hoon Shin;Wan-hee L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259-267
    • /
    • 2023
  • Objective: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is a safe and noninvasive technique for evaluating muscle thickness. A dual probe-fixing frame (DPF) can provide visual feedback during exercises targeting specific muscl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PF for dual-probe ultrasound (DPU)-based visual feedback exercises, allowing users to use both hands freely. Design: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repeated measures to compare muscle thickness measurements obtained using the handheld device and DPF with DPU. Methods: Twenty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Measurements were taken over two sessions, with a two-day interval between the sessions. The thicknesses of the rectus abdominis (RA) and transverse abdominis (TrA) muscles were measured using DPU. The DPF with DPU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was used along with a laptop-based muscle viewer. Bland-Altman analysis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calculations were used in statistical analyses to evaluate agreement and reliability,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of the Bland-Altman analysis showed small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he handheld and DPF methods for both RA and TrA muscle thicknesses. Inter-rater reliability analysis showed high ICC values for DPF measurements of both RA (0.908-0.912) and TrA (0.892-741) muscle thicknesses. Intra-rater reliability analysis also showed good ICC values for measurements taken by a single examiner over two day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DPF provides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s of muscle thickness during visual feedback exercises using the DPU.

Factors associated with clinical nurses'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 in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 Yoon-Jung Park;Sun-Hee Kim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9
    • /
    • 2024
  • Purpose: Nurses have been reported to be at an increased risk for miscarriage and preterm labor. However, there is limited knowledge regarding nurses'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se behaviors. Methods: One hundred sixty nurses, who were planning their first pregnancy within the upcoming year,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from August 11 to October 31, 2021. Data on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pregnancy anxiety,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ge (p=.024), educational level (p=.010), marital status (p=.003), work experience (p=.003), satisfaction with the work department (p<.001), smoking status (p=. 039), and previous health problems related to pregnancy outcomes (p=.004)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urses'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Furthermore, perceived health status (p<.001), pregnancy anxiety (p=.011),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003), and social support (p<.001)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Social support (β=. 28, p=.001), satisfaction with the work department (β=.23, p=.032), marital status (β=.22, p=.002), and perceived health status (β=.23, p=.002) were confirmed as factors associated with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These factors explained 40.9% of the variance in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F=6.64, p<.001). Conclusion: Clinical nurses'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satisfaction with the work department, and marital status. Interventions to improve clinical nurses'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should target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clinical nurses' marital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the workplace can also be implemented.

수동형 멀리미터파 영상과 가시 영상과의 정합 및 융합에 관한 연구 (Image Registration and Fusion between Passive Millimeter Wave Images and Visual Images)

  • 이형;이동수;염석원;손정영;블라드미르 구신;김신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C호
    • /
    • pp.349-354
    • /
    • 2011
  • 수동형(passive)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영상은 의복 등에 은닉된 물체의 탐지가 가능하며 악천후의 상황에서도 감쇄도(attenuation)가 낮아 식별이 가능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 시스템의 공간 해상도(spatial resolution)가 낮고 수신신호가 미약하여 잡음의 영향이 크고 시스템의 온도 분해능(temperature resolution)에 따라 영상의 질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수동형 밀리미터파 영상과 일반 카메라부터 획득되는 영상의 정합(registration)과 은닉된 물체의 시각화를 위한 영상 융합(fusion)을 연구한다. 영상의 정합은 추출된 몸체 경계 간의 상호상관도를 최대로 하는 어파인 변환(affine transform)으로 수행되며 융합은 영상 분해를 위한 이산 웨이블릿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 융합 법칙(fusion rule),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역 이산 웨이블릿 변환의 3단계로 구성된다. 실험에서는 수동형 밀리미터파 영상 시스템에 의해 칼, 도끼, 화장품, 그리고 휴대폰과 같은 또는 비금속의 다양한 물체가 탐지됨을 보인다. 또한 정합과 융합된 영상의 결과로부터 가시 영상으로부터 얻은 얼굴과 의복 등의 대상자의 신원정보와 밀리미터파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은닉된 물체의 정보를 동시에 시각화할 수 있음을 보인다.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사료용 벼의 사료가치 평가 (Evaluation of Feed Values for Whole Crop Rice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김지혜;이기원;오미래;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92-297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산 사료용 벼를 수집하여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신속한 품질평가를 위하여 2018년 조사료 품질분석 기관의뢰 된 시료 564점을 수집하여 품질평가 NIR-DB를 구축하고 구축된 DB를 바탕으로 최적의 품질평가 검량식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각 성분별로 예측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스펙트라를 측정한 값과 실험실 분석값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다변량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사료용 벼의 수분함량 평가에 대한 예측능력은 각각 SEC 1.66% (R2=0.99)와 SECV 1.81% (R2=0.98)로 나타나 사료가치 평가 성분 중 가장 우수한 예측 능력을 보였으며, CP 함량 각각 SEC 0.42% (R2=0.93)와 SECV 0.50% (R2=0.89)로 나타났다. ADF와 NDF 함량의 예측능력은 각각 SEC 1.25% (R2=0.84), SECV 1.42% (R2=0.79) 및 SEC 1.61% (R2=0.90), SECV 1.79%(R2=0.86)로 나타났다. 사료용 벼의 품질 등급인 RFV의 예측 능력은 SEC 4.67% (R2=0.88), SECV 5.21% (R2=0.8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국내산 사료용 벼의 수분함량과 각종 영양성분을 적은 오차범위에서 분석·평가가 가능하였다.

사체간이식 환자와 생체간이식 환자들의 삶의 질 비교 연구 (Comparing Quality of Life following Liver Transplantation for Cadaveric versus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 Single-Center Study)

  • 김금희;윤석준;안형식;이준영;박형근;서경석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2-45
    • /
    • 2004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quality of life(QOL)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to compare QOL betwee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nd cadaveric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SF-36 may be used as a disease-specific instrument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Methods : We conducted a single-center cross-sectional study of 133 LT recipients ages 13 to 65 years, all of whom had had Liver Transplantation(LT) at least 1 months previously. QOL was assessed using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Bang Whal Ran(1991) instruments and the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SF-36) health status profile measure. We investigated whether the SF-36 instrument may be used as a disease-specific instrument in LT recipients. Individual scale scores range from 0 to 100, with higher score reflecting better health. Data on demographics, clinical status at pre transplantation 1 day, post transplantation clinical status, and graft function were collected to identify predictors of post transplantation QOL. Results : Standard measures for test-retest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discriminant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examined. The reliability of the SF-36, as measured by test-retest correlation(Pearson coefficients: 0.729, p=0.002) and by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alpha: 0.9431) exceeded conventional acceptability criteria. The correlation between domain scores of SF-36 and the Bang Whal Ran(l991) was clear and logical in tha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F-36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component summary score of the Bang Whal Ran(l991)(r = 0.8155, P<.01). SF-36 scale scores were compared between Cadaveric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nd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Donor types of post LT did not influence HRQOL(p>0.05). 87% of the liver transplant recipients were satisfied to get LT. Satisfaction of post LT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HRQOL(p<0.001). Conclusion : SF-36 is found reliable and valid. This study indicates thet Donor Type did not influence HRQOL after LT. The information gained from this study will help us to better define expectations and the clinical cours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PDF

자료기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하수위 변동 예측 모델의 국가지하수관측망 자료 적용에 대한 비교 평가 연구 (Application of groundwater-level prediction models using data-based learning algorithms to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data)

  • 윤희성;김용철;하규철;김규범
    • 지질공학
    • /
    • 제23권2호
    • /
    • pp.137-147
    • /
    • 2013
  • 지하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강우에 대한 지하수위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기반 학습 알고리즘인 인공신경망과 지지벡터기계를 이용하여 시계열 예측 모델을 만들고 이를 국가지하수관측망 중 가산, 신광, 청성 관측소 지하수위 변화 예측에 적용하였다. 모델의 입력 성분 구성 방법에 따라 네 가지 모형을 설정하고 각 관측소 및 모델 별 예측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강우 입력 모형의 경우 지하수위 감쇠 및 기저 변화 예측을 위해 큰 규모의 입력 성분 구성이 필요하지만 강우 및 지하수위 입력 모형은 보다 작은 규모의 입력 성분으로 효과적으로 지하수위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 및 지하수위 입력 모형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 고안된 반복 예측 모형의 경우 관측값과 예측값 사이에 0.75~0.95의 상관계수를 보여 적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강우-지하수위 교차상관계수가 낮은 신광 관측소의 예측 오차가 크게 나타났고 ANN 모델에 비해 SVM의 예측력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반복 예측 모형의 모델 파라미터 선정 과정에서 보정 단계 오차에 대한 예측 단계 오차의 비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SVM의 경우가 더 작게 나타나 SVM이 본 연구 자료에 대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모델임을 평가하였다.

발육단계(發育段階)에 따른 잣나무 자엽내(子葉內) 수지구(樹脂溝)의 위치(位置)와 수(數)의 변화(變化) (Position and Variation of Resin Canal Numbers of Cotyledon i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이강영;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48
    • /
    • 1972
  • 잣나무 치묘(稚苗)의 제특성(諸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자엽(子葉)의 횡단면상(橫斷面上)에 나타나는 수지구수(樹脂溝數)를 발육(發育)단계 따른 변화상태(變化狀態)와 횡단면상(橫斷面上)의 제형질(諸形質)과의 관계(關係)를 알고자 본실험(本實驗)을 수행(遂行)하였든바 그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잣나무 자엽(子葉)의 수지구(樹脂溝)는 포장(圃場)에서 발아(發芽)되기전(前)의 자엽(子葉)과 발아후(發芽後) 1~2주(週)까지는 형성(形成)되지않고 발아후(發芽後) 1개월(個月)이 경과한 6월경(月頃)부터 형성(形成)되기 시작하여 9월경(月頃)에는 그 수(數)가 평균(平均) 3.26으로 최고치(最高値)에 달(達)하고 그 이후(以後)에는 증가(增加)되지 않었다. 2. 자엽(子葉)에 있어서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는 외위(外位)로서 본엽(本葉)이 중위(中位)인데 비(比)하여 다른 특성(特性)을 보였으며 수지구수(樹脂溝數)는 엽당(葉當) 1~5개(個)이다. 3. 발육단계(發育段階)와 수지구수(樹脂溝數), 엽후(葉厚), 엽단면적(葉斷面積) 간(間)에는 높은 상관(相關)을 보였고 수지구수(樹脂溝數)와 엽폭(葉幅), 단면적(斷面積) 간(間)에서도 고도(高度)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4. 치묘(稚苗)의 자엽수(子葉數)와 수지구수(樹脂溝數) 사이에는 유의차(有意差)는 없었다. 이상(以上)에서 잣나무 자엽(子葉)의 수지구수(樹脂溝數)는 발육(發育)경과에 따라 증가(增加)되고 엽폭(葉幅)과 단면적(斷面積)도 높은 상관(相關)에 있는 결과(結果)는 주목(注目)된다.

  • PDF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옥수수 사일리지의 소화율 및 에너지 평가 (Prediction of the Digestibility and Energy Value of Corn Silage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박형수;이종경;이효원;김수곤;하종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5-52
    • /
    • 2006
  • 본 시험의 목적은 옥수수 사일리지의 소화율 및 에너지가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근적외선분광법(NIRS)의 이용성을 확대하고 동시에 더욱 정확한 검량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12점의 옥수수 사일리지 시료를 이용하여 근적외선분광기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수집하였다. 검량기법은 변형부분 최소자승회귀법(MPLS), 산란보정법은 SNV-D 또한 1,4,4,1 수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검량식을 작성하였다. 옥수수 사일리지의 소화율 측정방법에 따른 근적외선분광법의 예측 능력은 IVDMD, IVTD 및 CDMD 함량에서 각각 $SEP=1.57% (R^2v=0.70),\;SEP=1.13%(R^2v=0.73)$$SECV=1.74%\;(R^2v=0.77)$로 나타났으며 에너지 가치를 예측하기 위한 검량식 작성 및 검증 결과는 TDN, NEL 및 ME 함량에서 각각 SECV=0.69% $(R^2v=0.85)$, SECV=0.02% (R2v=0.88) 및 SECV=0.02% $(R^2v=0.88)$로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The association between measurement sites of visceral adipose tissu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fter caloric restriction in obese Korean women

  • Lee, Hye-Ok;Yim, Jung-Eun;Lee, Jeong-Sook;Kim, Young-Seol;Choue, Ryo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1호
    • /
    • pp.43-48
    • /
    • 2013
  • Quantities as well as distributions of adipose tissue (A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CVD) risk factors and can be altered with caloric restri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cross-sectional slice location of AT is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CVD risk factors after caloric restriction in obese Korean women. Thirty-three obese pre-menopausal Korean women ($32.4{\pm}8.5$ yrs, BMI $27.1{\pm}2.3\;kg/m^2$) participated in a 12 weeks caloric restriction program. Subcutaneous adipose tissue (SAT) and visceral adipose tissue (VAT) were measured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at the sites of L2-L3, L3-L4, and L4-L5. Fasting serum levels of glucose, insuli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T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eptin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HOMA-IR) were observed. Pearson'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T measurement sites and changes in CVD risk factors after calorie restriction. When calories were reduced by 350 kcal/day for 12 weeks, body weight (-2.7%), body fat mass (-8.2%), and waist circumference (-5.8%) all decreased (P < 0.05). In addition, following caloric restriction, serum levels of glucose (-4.6%), TC (-6.2%), LDL-C (-5.3%), leptin (-17.6%) and HOMA-IR (-18.2%)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5) as well. Changes in VAT at the level of L3-L4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at other abdominal sites, and these changes were correlated with changes in TC (P < 0.05), LDL-C (P < 0.001), SBP (P < 0.001) and HOMA-IR (P < 0.01). These results show that VAT at L3-L4 had a stronger correlation with CVD risk factors than with other AT measurement sites after caloric restriction.

Satellite-derived flow 시그널 및 인공신경망 모형을 활용한 임진강 유역 유출량 산정 (Estimation of river discharge using satellite-derived flow signal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pplication to imjin river)

  • ;김형록;전경수;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7호
    • /
    • pp.589-59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 상류유역과 같이 수리수문학적 분석에 필요한 측정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데이터의 확보가 어려운 유역에 대하여 위성 데이터와 데이터 기반 모형을 활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SDF 시그널(Satellite-derived Flow Signal)은 하도내의 유량변화에 따른 하천 폭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상관관계는 하도단면의 형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SDF 시그널 데이터와 유출량 간의 비선형 상관관계를 반영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 모형을 활용하여, 모형의 입력변수인 SDF 시그널 데이터로부터 임진강의 임진교 지점에서의 유출량을 추정하였다. 15개의 위성 이미지 픽셀의 SDF 시그널 값이 0~10일의 lag가 되어 활용되었으며, lag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총 150개의 변수 중 유출량과 가장 큰 관계가 있는 변수 선정을 위해 PMI(Partial Mutual Information) 기법이 활용되었다. 인공신경망 모형을 통해 산정된 유출량은 임진교에서 측정된 지점 유출량과 비교 분석되었으며, 학습(training)과 검증(validation)을 통한 상관계수는 각각 0.86, 0.72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추가적으로 SDF 시그널 데이터 외에 임진교의 1일 전 측정유량이 인공신경망 입력변수로 추가되었을 때 상관계수가 0.90, 0.83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결과로부터 계측수문자료가 부족하거나 접근 불가능한 유역에 대하여 하천 유량 변화에 대한 추정치인 SDF 시그널 데이터와 지상 데이터가 결합되었을 때 신뢰성 높은 유역의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으며, 큰 유량이 발생하는 홍수사상에 대해서도 첨두 유량과 첨두 발생시간을 잘 모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위성 데이터와 지점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의 홍수발생에 대하여 높은 정확도로 예측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