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 tunnel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33초

3차원 수치해석을 이용한 RPS 공법의 적용성 평가 (Estimation of RPS Method Using 3-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 노정민;신은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74-179
    • /
    • 2006
  • Recently, the crossing tunnel has been constructed frequently to connect the separated area by highway and railroad. The construction of crossing tunnel must be progressed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traffic of the highway as well as railroad. There are many cross funnelling methods such as NTR, TRCM, Messer Shield, Front Jacking, and Pipe Roof Method. The advantages of adopting RPS(Roof Panel Shield) method in crossing tunnel construction with comparing other existing cross funnelling methods are needed a little volume of concrete and easy to change the direction of cutting shoe during the construction of pipe roof, The 3-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of RPS to consider the arching effect was performed for the application in the crossing tunnel under railroad. The earth pressure distribution and settlement were predicted when the RPS method was applied during the excavation for crossing railroad tunnel construction.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 새로운 대퇴부 현수고정법인 Cross Pin과 일정한 긴장력 유지를 위한 Graft Tensioner 사용의 단기 추시 결과 - (ACL reconstruction with autologous hamstring tendon - Short term clinical result using new femoral suspensory fixation device 'Cross Pin' and graft tensioner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nsion-)

  • 서승석;김창완;김진석;최상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4
    • /
    • 2011
  • 목적: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서 Cross pin 및 Graft Tensioner를 이용한 수술의 단기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 조기 경험에서 발견된 수술 술기상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최소 18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건의 대퇴골측 고정을 위해 Cross pin을, 경골측의 고정을 위해 Intrafix와 Post-tie를 사용하였다. 이식건은 Graft Tensioner을 이용하여 80N의 힘으로 고정하였다.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와 합병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IKDC 주관적 점수 및 Lysholm 점수는 술 후 89.1점 및 91.4점로 호전되었으며 축이동 검사 및 One-leg hop 검사도 술후 양호한 소견을 보였다. KT-1000 관절계 검사 및 Telos 부하 방사선 검사상 최종 추시시 건측에 비해 평균 $2.8{\pm}1.6$ mm, $2.6{\pm}1.3$ mm로 호전을 보였으며 대퇴골 터널은 평균 $2.3{\pm}1.1$ mm로 확장되었다. 수술 술기상 문제점으로 대퇴골 터널과 횡고정 터널의 불일치, 대퇴골 터널과 Graft Harness의 길이 불일치 그리고 연부 조직 자극이 관찰되었다. 결론: Cross pin 및 Graft Tensioner를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은 단기 추시 상 좋은 안정성을 보여주는 수술 방법 중의 하나로 사료된다. 그러나 술기상 문제로 대퇴 터널-cross pin 불일치를 줄이기 위해 대퇴 터널을 짧게 만들거나 cross pin 터널을 피질골에 가능한 수직으로 만들어야 하며 대퇴 터널 형성시 위치 막대를 3 mm가량 더 진행시켜야 대퇴 터널-graft harness 불일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tatic aerodynamic force coefficients for an arch bridge girder with two cross sections

  • Guo, Jian;Zhu, Minjun
    • Wind and Structures
    • /
    • 제31권3호
    • /
    • pp.209-216
    • /
    • 2020
  • Aiming at the wind-resistant design of a sea-crossing arch bridge, the static aerodynamic coefficients of its girder (composed of stretches of π-shaped cross-section and box cross-section) were studied by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numerical simulation and wind tunnel test.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numerical simulation, wind tunnel test and specification recommendation, a combined calculation method for the horizontal force coefficient of intermediate and small span bridges is propo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dimensional CFD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individual cross sections are sufficient to meet the accuracy requirements of engineering practice.

터널사고 재난 안전비용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 of Safety Cost of Tunnel Accident)

  • 백충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3-30
    • /
    • 2021
  • This paper analyzed a survey of 388 general target sample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disaster safety costs and human risk factor analysis and evacuation behavior due to tunnel accidents.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tunnel accident on disaster safety cos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evacuation and risk factors in the tunnel environment, the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to reflect the tunnel's basic plan, tunnel cross-section, tunnel installation.

산악지형에서 효율적인 2-Arch 터널의 설계사례 (Practical 2-Arch Road Tunnel Design in Mountainous area)

  • 정경한;이주공;한성수;황용섭;김지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601-612
    • /
    • 2005
  • In mountainous area, Two parallel tunnels have been usually recognized as a road tunnel which has benefits in aspects of cost and stability. However, Design and construction of 2-Arch road tunnel are growing recently due to environmental destruction, compensation of land and difficulty of route separation. As studies are mainly undergoing on only guaranteeing stability and developing a waterproofing-drainage system to avoid water leakage through comprehension for characteristics of 2-arch tunnel behaviors, there is a tendency to evaluate quantity of support by empirical method with a tunnel which has a complicated cross-section and lack of construction ability. In this study, therefore, we made a plan of tunnel cross-section which had shown good construction ability and developed the waterproofing-drainage system which is able to solve the water leakage problem fundamentally by analyzing precedented 2-arch tunnels and investigating their sites in and out of nation. We also determined fixed quantity of support by a large-scale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We want to contribute to 2-arch tunnel design hereafter introducing design procedure and method applied here.

  • PDF

호남고속철도 터널 단면선정을 위한 공기역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for determination of tunnel cross section in Honam high speed railway)

  • 김선홍;문연오;석진호;조형제;유호식;최정환;임형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3-336
    • /
    • 2007
  • 고속철도는 일반철도와는 달리 터널구간에서 여러 가지 공기역학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개활지와 비교하여 크기가 매우 작은 터널에서 고속으로 운행하는 열차는 큰 공기저항을 받게 되어 주행 안정성이 떨어지고, 터널 내의 급격한 압력변동으로 객차 내 승객의 이명감 발생, 터널출구에서의 소음공해 등 일반철도에서는 예상치 못했던 문제를 유발시킨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에서는 공기압의 특성 분석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명감 기준을 만족하는 최적의 단면을 검토하였다. 또한, 경부고속철도를 운행하는 열차에서 객차내 압력을 측정하였고, 화신5터널에서 터널내 압력 및 터널출구에서의 미기압을 측정하였다. 동시에 열차주행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수치시뮬레이션의 입력조건으로 사용된 각종 매개변수 등의 적정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 PDF

급축소관을 전파하는 압축파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ompression wave propagating in a sudden reduction duct)

  • 김희동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1권9호
    • /
    • pp.1139-1148
    • /
    • 1997
  • Compression waves propagating in a high-speed railway tunnel develops large pressure fluctuations on the train body or tunnel structures. The pressure fluctuations would cause an ear discomfort for the passengers and increase the aerodynamic resistance of trains. As a fundamental research to resolve the pressure wave phenomenon in the tunne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using a shock tube with an open end. A blockage to model trains inside the tunnel was installed on the lower wall of shock tube, thus forming a sudden cross-sectional area reduction. The compression waves were obtained by the fast opening gate valve instead of a conventional diaphragm of shock tube and measured by the flush mounted pressure transducers with a high sensitivity.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theoretical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reflected to the incident compression wave at the sudden cross-sectional area reduction increases but the ratio of the passing to the incident compression wave decreases, as the incident compression wave becomes stronger. This experimental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s with the previous theoretical ones. The maximum pressure gradient of the compression wave abruptly increases but the width of the wave front does not vary, as it passes over the sudden cross-sectional area reduction.

터널 정거장 형상에 따른 군말뚝 하부 굴착 시 지반거동 연구 (Investigation of soil behaviour due to excavation below the grouped pile according to shape of tunnel station)

  • 공석민;오동욱;이종현;이용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83-97
    • /
    • 2018
  • 터널은 도로, 철도, 지하철과 같은 교통의 통로이자 수로, 전력구, 비축기지와 같은 특수목적을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터널의 사용 목적, 주변 지반조건 및 경제성에 따라 다양한 터널 형상으로 시공되고 있다. 이에 대해 기존 터널과 주변지반 및 구조물에 관한 연구는 꾸준하게 발표되었으나 단일 형상에 대해 터널굴착 시 주변 지반과 구조물의 거동을 분석한 연구들이 대다수이다. 터널의 붕괴사고는 지상 구조물의 붕괴사고 보다 막대한 인적, 물적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터널 굴착 및 주변지반의 거동을 관측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며, 단일 형상이 아닌 다양한 터널 형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trapdoor장치를 이용한 실내 모형시험을 통해 군말뚝 하부에 터널 정거장 굴착 시 주변지반의 거동을 측정하였다. 이때 터널 정거장 형상의 단면을 arch와 box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각 터널 정거장 형상 별 0.1B, 0.25B, 0.4B로 터널과 군말뚝 간 이격거리를 다르게 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지반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근거리 사진계측 및 이미지프로세싱 기법을 통해 지반의 거동을 관측하였으며,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통해 실내 모형시험, 근거리 사진계측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두 연속 터널을 전파하는 압축파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compression waves propagating into two-continuous tunnels)

  • 김희동;허남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1권10호
    • /
    • pp.1294-1302
    • /
    • 1997
  •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impulsive noise at the exit of high-speed railway tunnel and the pressure transients inside the tunne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a shock tube with an open end. A great deal of experimental data were obtained and explored to analyze the peak pressures and maximum pressure gradients in the pressure waves. The effects of the distance and cross-sectional area ratio between two-continuous tunnel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 waves were investigated. The peak pressure inside the second tunnel decreases for the distance and cross-sectional area ratio between two tunnels to increase. Also the peak pressure and maximum pressure gradient of the pressure wave inside the second tunnel increase as the maximum pressure gradient of initial compression wave increases.

3차원 측량에 의한 노후 터널의 건축한계 확보 해석 (Security Interpretation of the Restriction Boundary of Building for Antiquated Tunnel using 3 Dimensional Surveying)

  • 배상호;이형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1-259
    • /
    • 2006
  • 기존 철도의 전철화 사업 수행을 위해서는 노후 터널의 역학적 안정성 조사와 함께 건축한계의 확보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건축한계가 확보되지 않으면 터널의 선형 개선을 토대로 한 재시공이 발생하므로 측량 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영동선 구간의 3개 터널에 대하여 동일좌표체계의 정밀 측량을 실시하고 종횡단면도, 종단레일고, 레일경사, 횡단터널높이, 건축한계높이 등의 자료를 취득하여 직선 및 곡선 터널구간의 건축한계를 효율적으로 분석하였다. 종횡단 측량성과를 이용한 도면과 기존 설계값과 비교하여 건축한계를 분석하고 시공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전철화 설계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자료로 제시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는 터널구조물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이의 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