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p injury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2초

두류의 기상재해 (Environmental Stresses During Culture of Food Legumes)

  • 이영호;김석동;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s02호
    • /
    • pp.81-95
    • /
    • 1989
  • Environmental stresses during culture of food legumes can be classified to the three categories; the climatic stresses, pests, and public pollution. Of the researches on the climatic stresses in Korea, drought injury and lodging injury were studied more comparing with excess water injury, cooling injury, wind injury, frost injury and hail injury. Although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e pests, mainly on the control of pests, a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e basic research. Recently public pollution is considered one of major stresses during culture of crops following rapid development of industry in Korea. A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e air pollution and acid rain. Therefore many researches should do on the environmental stresses during culture of food legumes in the future.

  • PDF

Saturn-S 약해발생요인구명에 관한 연구 : 제 2 보 함씨메트린 제초제에 대한 품종간 저항성차이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he Injury Caused by Saturn-S to Rice Plant II. Differential tolerance of rice varieties against herbicides combined with Simetryne)

  • 양환승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3권
    • /
    • pp.93-105
    • /
    • 1973
  • 수도품종 통일과 만경 또는 밀성을 공시하여 전주(전북대학교), 광주(전남농촌진흥원) 이리(전북농촌진흥원) 밀양(영남작물시험장)의 4개지역에서 SaturnS의 (Saturn 7%, G+Simetryne 1.5%G), 약량수준 10a당 2, 3, 4, 5kg에 따르는 저항성 및 그들 품종간 차이를 추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주에서 초기약해의 품종간 저항성차이는 고온하($30^{\circ}C$이상)에서 약량(3kg-5kg)이 높아지면서 현저히 나타났다. 즉 통일은 2kg까지는 안전하나 3kg 이상에서 약해가 나타나기 시작 그 후는 약량에 거의 정비례하여 약해는 증가되었고 만경의 약해는 5kg 수준까지도 인정할 수 없었다. 수량은 비닐하우스의 고온조건에 있어서는 SaturnS, Mamate 모두 3kg 수준까지 통일에 있어서 관행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대기온도 조건에 있어서 통일은 3kg 수준까지 유의차가 없었다. 만경은 5kg 시용수준까지 두 온도조건에서 모두 유의적인 수량감소가 없었다. 2. 광주에서 초기약해는 전주지구와 그 경향이 거의 비슷하나 약제처리 당시 최고온도가 전주지구보다 약 $4^{\circ}C$ 낮은 상태에서 처리되었던 바 약해정도가 다소경미하며 통일의 경우도 3kg 수준까지는 거의 안전하고 4kg-5kg으로 농도가 증대되면서 나타났다. 3. 만경에 있어서는 4kg수준까지 관행구에 대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만경에 있어서는 5kg수준까지도 유의차가 없었다. 4. 이리에서는 2kg에서 4kg수준까지 초기부터 두 푸종 공히 전혀 약해를 인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수량에 있어서도 약해에 의한 영향에서 온 감수는 없었다. 밀양에서는 전북농촌진흥원 포장을 제외한 전주, 광주지역보다 약해는 경미하며 밀성에 있어서는 5kg수준까지도 거의 약해가 없었으며 통일에 대한 약해도 5kg수준까지 매우 경미하다. 수량은 2kg에서 5kg 수준까지 만경 통일 다 같이 관행구에 비하여 수량감소가 없었다.

  • PDF

인삼 차광자재별 미기상 및 고온피해 발생 비교 분석 (Analysis of Microclimate Responses and High-temperature Injury in Ginseng as Affected by Shading)

  • 장인배;문지원;유진;장인복;서수정;전창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78-283
    • /
    • 2019
  • Background: High temperature damage in ginseng is influenced by shading materials related not only to temperature, but also to light intensity and light quality. To address, this green-colored khaki shading sheet is widely used. As they are recently, developed, there is limited research information about their attributes and use. Methods and Results: The four-layered shading net (FLSN), blue-colored shading sheet (BCSS), aluminum-coated shading board (ACSB), and green-colored shading sheet (GCSS) were installed in the wooden A type of sun-block facilities. Two layered black, shading net was additionally used to cover the facilities since the beginning of June. The average temperature at the facility where different shades were tested was in the order of BCSS ($28.9^{\circ}C$) > FLSN ($27.7^{\circ}C$) > GCSS ($27.6^{\circ}C$) > ACSB ($27.1^{\circ}C$). However, high temperature injury rates were in order: FLSN > ACSB > GCSS > BCSS. Root weight vaired and was in the order: ACSB > GCSS > BCSS > FLSN. Conclusions: High temperature damage is possible not only because of temperature increase, but also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light factors. Ginseng high temperature injury was minimal when BCSS or GCSS were used by difference of light quality. Although the root weight was higher in ACSB, it could be vulnerable to high temperature damage. Therefore, we propose using GCSS for ginseng shading.

Curcumin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 (Curcumin Attenuates Chronic Constriction Nerve Injury-Induced Neuropathic Pain in Rats)

  • 김채은;박은성;전영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3-187
    • /
    • 2008
  • Nerve injury can lead to neuropathic pain, which is often resistant to current analgesics and interventional therapeutic methods.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lays important role in the induction of neuropathic pain. We explored the antinociceptive effect of curcumin and its effect on ERK in the spinal cord in the neuropathic pain model of rats induced by chronic constriction injury (CCI) of the sciatic nerve. In injured rats, mechanical allodynia, which is one of characteristics of neuropathic pain developed and the activation of ERK in spinal cord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owever, administration of curcumin (50 mg/kg/day p.o) for 7 days started from one day before the injury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allodynia and increase of ERK phosphory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urcumin can be a new therapeutic agent in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습해지역에서 식방풍과 지황의 생육양상 (Field Survey of Moisture Injury in Peucedanum japonicum Thunberct and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 박상구;강동균;정상환;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2-166
    • /
    • 1999
  • 1998년 $6{\sim}9$월의 강수량이 1,042mm, 강수일수가 60일이나 되어 배수조건이 나쁜 포장의 밭작물에 습해가 심하게 발생되었던 안동지역에서 습해정도에 따른 식방풍과 지황의 생육특성 및 수량을 농가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식방풍은 습해가 심할수륵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육장해가 더 심하였으며, 주근의 신장생장이 비대생장보다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습해 정도별로 ha당 생근수량은 정상생육에 비하여 $21{\sim}80%$ 감소되었다. 지황은 습해 정도별로 고사주율이 52%였으며, 습해에 의하여 근경의 형성 및 발육이 장해를 받아 습해가 심할수록 주당 근경수와 근경의 직경이 크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습해가 심할수록 상품성이 높은 근경의 수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습해 정도별로 ha당 근경의 생체수량은 정상생육에 비하여 $19{\sim}83%$감소되었다.

  • PDF

고추에서 Napropamide 및 Pendimethalin에 대한 약해요인(藥害要因) 구명(究明) (Determination of Factors Affecting Injury of Pepper Cultivars to Napropamide and Pendimethalin)

  • 김만호;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21-328
    • /
    • 1987
  • 토양처리(土壤處理) 제초제(除草劑)인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을 고추재배(栽培)에 사용(使用)할 때 약해(藥害) 발생요인(發生要因)을 구명(究明)하여 약해(藥害)를 감소(減少)시키는데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조사(調査)하고자 근부침지(根部浸漬)에 따른 고추 품종간(品種間) 생장반응(生長反應)과 토성(土性),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 토양온도(土壤溫度) 및 파종심도(播種深度)에 따른 고추 품종간(品種間) 약해정도(藥害程度)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Napropamide는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의 최상위엽(最上位葉) 생장(生長)이 크게 억제(抑制)되지 않았다. 2. Pendimethalin은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최상위엽(最上位葉) 억제(抑制)가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에서 현저히 심했다. 3.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사토(砂土)에서 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피만계통(系統) 품종(品種)에서 더욱 심하였고 양통(壤土)에서 약해(藥害)는 적었다. 4.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적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에서는 그 경향(傾向)이 현저하였다. 5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으면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다소(多少) 적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의 고농도(高濃度)에서 그 경향(傾向)은 더욱 뚜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