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tical surface tension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3초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의 임계투과압력 (Critical Breakthrough Pressure through Porous Polymer Membrane)

  • 이용택;전현수;안효성;이영진;송인호;이형근
    • 멤브레인
    • /
    • 제16권4호
    • /
    • pp.259-267
    • /
    • 2006
  • 다공성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polyvinylidenefluoride) 그리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에 대하여 순수한 물, $0.1M{\sim}4.0M$ NaOH 수용액, 그리고 $0.1M{\sim}3.0M\;NaHSO_3$ 수용액을 사용하여 임계투과압력을 측정하였다. 임계투과압력은 동일한 평균 기공 크기의 PVDF보다 PTFE가 크게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NaOH 수용액의 경우 NaOH의 농도 증가에 따라 임계투과압력은 감소하였으며 1.0 M 농도에서 최소값을 나타낸 후 다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NaOH이 아닌 다른 염을 용해한 수용액인 $NaHSO_3$ 수용액의 경우 농도를 3.0 M까지 증가하여도 임계투과압력이 계속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이론적인 Cantor식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Sorbitan Laurate 계면활성제 합성 및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of Sorbitan Laurate Surfactant)

  • 이슬;김병조;이종기;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22권1호
    • /
    • pp.37-44
    • /
    • 2011
  • 합성한 sorbitan laurate SP 20의 CMC 값은 약 $7.216{\times}10^{-4}mol/L$로서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OPE 10에 비하여 약간 크지만, CMC에서의 표면장력은 26.0 mN/m로 OPE 10에 비하여 작았다. 또한 SP 20의 경우에는 OPE 10 계면활성제와 비교하며 공기와 수용액의 계면이 계면활성제 단분자에 의하여 포화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SP 20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접촉각은 계면활성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동일한 계면활성제 농도에서 OPE 10에 비하여 접촉각이 큼을 알 수 있었다. OPE 10과 SP 20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거품 반감기는 각각 770, 1268 s로서 SP 20 계면활성제가 OPE 10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거품의 안정성이 크며, 이러한 결과는 표면장력 측정 결과와 일치하였다. OPE 10에 비하여 SP 20의 가용화 속도는 매우 낮으며, 이러한 결과는 foam stability, 접촉각 및 CMC 실험 결과와 일치하였다. OPE 10과 SP 20 시스템의 평형에서의 계면장력은 각각 0.659, 0.742 mN/m으로서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OPE 10의 경우에는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계면장력이 평형에 도달하는 것에 비하여 SP 10의 경우에는 계면장력이 평형 값에 도달하는데 약 25 min이 소요되었다.

글리세롤계 계면활성제 합성 및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of Glycerol Surfactant)

  • 임종주;이슬;김병조;이종기;최규용
    • 공업화학
    • /
    • 제22권4호
    • /
    • pp.376-383
    • /
    • 2011
  • 글리시돌과 라우릴 알코올을 반응시켜 합성한 LA와 LA3 비이온계면활성제의 CMC는 각각 $0.97{\times}10^{-3}mol/L$, $1.02{\times}10^{-3}mol/L$이며, 1 wt% 농도에서의 표면장력은 26.99 mN/m과 27.48 mN/m이었다. 동적 표면장력 측정 결과에 의하면 LA와 LA3 비이온 계면활성제 모두, 공기와 수용액의 계면이 계면활성제 단분자에 의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포화되었으며, 1 wt% LA와 LA3 계면활성제 시스템들의 접촉각은 각각 27.8, $20.9^{\circ}$를 나타내었다. 비극성 오일 n-decane과 1 wt% 계면활성제 수용액 사이의 시간에 따른 계면장력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며, LA와 LA3 시스템 모두 2~3 min 이내의 짧은 시간에 평형에 도달하였고, 평형에서의 계면장력 값은 각각 0.1524, 0.1716 mN/n을 나타내었다. $25^{\circ}C$에서의 계면활성제 수용액은 두 시스템 모두 비교적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고, LA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LA3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거품 안정성이 큼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거품 안정성 측정 결과는 표면장력 측정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계면활성제, 물, 비극성 탄화수소 오일로 이루어진 3성분 시스템에 대하여 $25{\sim}60^{\circ}C$의 온도에서 상평형 실험을 수행한 결과, lower phase 마이크로에멀젼 혹은 oil in water (O/W) 마이크로에멀젼이 excess oil 상과 평형을 이루는 2상 영역만이 관찰되었을 뿐, lamellar liquid crystalline phase 혹은 middle-phase 마이크로에멀젼을 포함한 3상 영역은 나타나지 않았다.

생체계면활성제 소포로리피드의 생합성과 계면 특성 (Biosynthesis and Interfacial Properties of Sophorolipids As a Biosurfactant)

  • 강창범;류경임;임경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13-225
    • /
    • 2000
  • Sophorolipids were biosynthesized using a strain of yeast, Torulopsis bombicola ATCC22214. It has been reported that this yeast gives the highest yields for th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sophorolipids. Hence, this yeast was used in this study. One of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yield of the sophorolipid synthesis. To meet this end, basic culture medium was formulat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to-date. When this medium was used, the increase in yield from 15% to 150% was observed compared to using the media in the literature. To examine how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f sophorolipids change with substrate, glucose (the first carbon source) was maintained in the media and after being cultured for three days, the second carbon sources such as alkanes, vegetable oils, alcohols or organic acids were added. The whole broth was extracted twice with ethyl acetate and the extract was analyzed by thin layer chromatograhy(TLC). After qualitative analyses by TLC, surface tensions of sophorolipids were measured by the Wilhelmy plate method an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 was determined using these surface tension data. Also, interfacial tensions were measured by the spinning drop method and emulsions of the three-component water/decane/sophorolipid system were tested. Sophorolipids were effective and efficient in terms of surface tension reduction and CMC, but they were ineffective as emulsifiers because emulsions were separated within 30 minutes.

나프티온산 유도체의 합성 및 계면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ynthesis and Surface Activities of Naphthionic Acid Derivatives)

  • 손주환;박정환;김유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1
    • /
    • 1986
  • Four amphoteric surfactants, 1-(N-alkyl-N,N-dimethyl ammonio)-4-naphthalene sulfonates, were prepared by the alkylation of 1-(N,N-dimethylamino)-4,naphthalene sulfonic acid with chloroalkanes such as 1-decylchloride, 1-tetradecyl chloride and 1-hexadecyl chloride. These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such as 1-(N-decyl-N, N-dimethylammonio)-4-naphthalene sulfonate, 1-(N-dodecyl-N,N-dimethylammonio)-4-naphthalene sulfonate, 1-(N-tetradecyl-N,N-dimethylammonio)-4-naphthalene sulfonate and 1-(N-hexadecyl-N,N-dimethylammonio)-4-naphthalene sulfonate could be separated by means of thin layes chromatography and column chromatography. The surface chemical properties such as surface tension, foaming power, foam stability, wetting efficiency and solubilizing effect for these four compounds were measured. Also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n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HLB) were evaluated. These compounds showed good surface as O/W type emulsifying agent and detergent.

카르복시 베타인 유도체의 합성 및 계면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ynthesis of Carboxybetaine Derivatives and Surface Activities)

  • 김권일;손주환;남기대;김유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7-64
    • /
    • 1986
  • 1-(carboxyalk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s such as 1-(carboxyundec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and 1-(carboxytridecyl) trimethyiammonium chloride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alpha}-bromoalkanoic$ acid with trimethyl amine hydrochloride. In other hand, (carboxymethyl) alkyl dimethyl ammonium chlorides such as (carboxymethyl) do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and (carboxymethyl) tetra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alkyl dimethylamine with sodium chloroacetate. The four kinds of alky carboxy betaine such as 2-(trimethylammonio) dodecanoate, 2-(trimethyl ammonio) tetradecanoate, (dodecyl dimethylammonio) ethanoate and (tetradecyl dimethyl ammonio) ethanoate were prepared from 1-(carboxyalk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s or (carboxymethy1) alkyl dimethyl ammonium chlorides. The surface activities including surface tension, emulsifying power, foaming power, foam stability, deflocculating effect, effectiveness of wettability and solubilizing effect were measured and also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n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HLB) were evaluated. These carboxy betaines show good surface activities as O/W type emulsifing agent and detergent.

Bacillus spp.를 이용한 Biosurfactant 생산공정 (Production of Biosurfactant Using Bacillus spp)

  • 허성호;양지석;홍정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9-393
    • /
    • 2002
  •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 CH-1, Bacillus circul문 K-1과 Bacillus subtilis(natto) N-1 모두 biosurfactant를 생성하며 이 중 Bacillus subtilis CH-1가 가장 큰 생성력을 나타냈다. Biosurfactant를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AM, LM, NB과 TSB 배지중 AM을 기본배지로 선정하여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glucose 2%, soy peptone 0.3%와 무기염을 포함하는 합성배지를 완성하였다. Biosurfactant의 생성은 96시간에 최대를 나타냈으며 이때 배지의 표면장력은 초기값의 약 43% 값을 나타냈다. 한편 배양온도 및 pH는 biosurfactant생산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pH5.0~8.0범위에서 대체적으로 안정한 생성을 유지하였다. 최적조건에서 배양시 crude biosurfactant 수율은 6 g/L를 얻을수 있다.

N-아실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에 관한 연구 (제 4 보) N-아실-N-메틸-β-알라닌 염류의 계면활성 (Studies on the N-Acyl Amino Acid Type Surfactants(4)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N-Acyl-N-Methyl-β-Alanine Salts)

  • 노승호;이승열;김태영;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2권3호
    • /
    • pp.216-221
    • /
    • 1991
  • 4 종의 Potassium N-acyl-N-methyl-${\beta}$-alaninate에 대한 희박한 수용액에서 표면장력, 기포력, 기포의 안정성, 유화력 그리고 분산력 등의 계면활성의 기초적 물성이 각각 검토되었고, 그들의 임계미셀농도가 추정한 바 $6{\times}10^{-4}{\sim}1{\times}10^{-3}mo1/1$ 농도 범위였다. 결론적으로 장쇄아실아미드기를 도입한 이러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좋은 O/W형 유화력을 나타내고, 기포력 및 그의 안정성도 좋았고 그리고 양호한 분산력을 지니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제4보). 미오-이노시톨 에스테르의 합성과 계면활성 (Studies on the Synthesis of Nonionic Surfactants (Ⅳ). Synthesis of myo-inositol Esters and their Surface Activities)

  • 손주환;남기대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7
    • /
    • 1982
  • 미오-이노시톨과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등 5종의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를 디메틸술폭시드 용매내에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행하였다. 에스테르교환반응생성물은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각각의 에스테르를 분리할 수 있고 미오-이노시톨 모노에스테르는 향류분배 방법에 의하여 잘 분리할 수 있다. 모노에스테르의 수용액에 대한 표면장력, 기포력, 유화력등을 측정하고 색소법에 의한 임계미셀농도를 추정하고 HLB값을 산정하였다. 이 결과로 미오-이노시톨모노에스테르는 계면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고분자(高分子)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2 보(報));나트륨 알파 술폰 지방산(脂肪酸) 비닐에스테르 올리고머류(類)의 계면활성(界面活性) (Studies on the Polymeric Surface Active Agent (II);Synthesis Activities of Sodium ${\alpha}-Sulfo$ Fatty Acid Vinyl Ester Oligomers)

  • 정노희;남기대;소부영;소희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57
    • /
    • 1989
  • A series of four sodium ${\alpha}-sulfo$ fatty vinyl ester oligomers including sodium ${\alpha}-sulfo$ lauric acid vinyl ester oligomer, sodium ${\alpha}-sulfo$ myristic acid vinyl ester oligomer, sodium ${\alpha}-sulfo$ palmitic acid vinyl ester oligomer and sodium ${\alpha}-sulfo$ stearic acid vinyl ester oligomer were examined for surface activities such as surface tension, foaming power, foam stability, emulsifying power, dispersion effect, solubilization of orange OT.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 was also evaluated. Consequently, these sodium ${\alpha}-sulfo$ fatty acid vinyl ester oligomers were shown to have a good cohesive power and dispersion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