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tical breaking mome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현장 인발시험을 통한 수목의 한계 전도모멘트 검토 (Investigation of Critical Breaking Moment through Field Tree-Pulling Test)

  • 임동균;김원;최성욱;김용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B호
    • /
    • pp.323-332
    • /
    • 2011
  • 하천에서 수목의 관리를 위해서는 수목이 홍수에 미치는 영향이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수목에 의한 수리학적 영향은 통수능 감소와 유수력에 의한 전도로 인한 하류 하천시설물의 기능 저해이다. 현장 인발시험은 수목이 전도될 때의 최대 저항력을 측정하여, 하천 내의 수목이 외력에 저항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수목의 전도모멘트를 파악하기 위한 인자는 수목의 외형적 특성인 수종, 흉고직경, 수고 등이며, 본 연구에서는 전도모멘트와 흉고 직경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였다. 수목의 한계 전도모멘트는 흉고직경 4.9-32.8 cm의 관목과 교목 100주를 바탕으로 검토되었다. 교목과 관목을 함께 고려할 경우에는 흉고직경과 한계 전도모멘트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교목만을 고려할 경우에는 흉고직경과 한계 전도모멘트 사이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벼 도복 관련형질과 포장도복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Lodging-Related Characteristics and Field Lodging in Rice)

  • 임준택;권병선;정병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9-323
    • /
    • 1991
  • 벼의 도복에 관련하는 형질들의 포장도복과의 관련정도를 밝혀 벼의 이도복성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져 1900년대에서 1980년대에 재배 또는 육성된 10품종을 재배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장도복정도와 관련정도가 높은 형질들은 간장, 단위간하중(W/l), 단위 직경휨모멘트(W1/d), 도복지수(L), 하중비(W1/P), 임계도 복하중지수 (Ws$^2$/l$^4$)등 이었다. 2. 간장은 포장도복과 높은 상관(r=0.7607)을 보이나 간장만으로 품종의 도복정도를 판정하기는 미흡하였다 3. 측정의 난역도와 소모되는 시간을 고찰해 볼 때 도복저항성을 판정하는데 유용할 형질들은 간장, W/l, W1/d, Ws$^2$/l$^4$이었다. 4. 간경, 줄기단면적, 간벽의 두께, 줄기단면의 2차 관성 모멘트는 포장도복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좌절강도(S)는 포장도복과 유의한 부의 상관 (r=-0.3986)을 보였다.

  • PDF

렘 콜하스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밀집과 보이드를 적용한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Methods Utilizing 'Congestion' and 'Void' from Rem Koolhaas's Architecture)

  • 박소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51-59
    • /
    • 2014
  • Rem Koolhaas has pursued new architectural approaches breaking with conventional ones. Around the 1990s when large-scale projects occurred with the union of Europe ahead, Koolhaas recognized the limits to the existing methods for responding to such changes. Accordingly, he came to use design methods based on 'congestion' and 'void' as strategical alternatives, which became the moment for him to leap forward from the previous working sphere based in Europe to becoming an architect who would be commissioned a number of large-scale global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his design methods which utilized congestion and void, and to derive spatial characteristics from the projects based on such methods. First of all, the study looked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definition and process of congestion and the void as design methods, and analyzed his projects to which such methods were applied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1) the void that removes a space of singularity; 2) the void that penetrates space while making a flow; and 3) the void that is formed by vertical extrusion. The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paces made in this way were identified as 1)the single-body appearance made by congestion and the following types of space made by the void: 2) the non-uniformly shaped space that looks like floating; 3) the flexible space with various flows and directions; and 4) the space with virtual possibilities that embrace contingent events. This understanding of Rem Koolhaas's design methods which were attempted in various ways at his critical turning point will be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overall world of his works.

강풍 발생 시 국내 가로수의 취약성 분석 (Wind Fragility for Urban Street Tree in Korea)

  • 심 비리야붓;정우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8-304
    • /
    • 2019
  •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가로수에 대한 바람 취약성을 유도하는 분석 방법을 보여준다.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 방법은 도시 가로수의 파괴 확률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확률 결과는 대구 지역의 가로수를 기반으로 4 가지 유형에 대한 바람 취약성 매개 변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로 인해 풍하중에서 가로수 손상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직경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선택된 4 가지 유형 중에서 높이 7m, 직경 35cm의 가로수는 손상률이 제일 낮은 반면, 높이 8m, 직경 30cm의 가로수는 가장 낮은 풍하중에서 저항하였다. 높이 7m의 가로수의 평균 손상 풍속은 직경 30cm 및 35cm에 대해 각각 43.8m/s 및 50.6m/s로 나타났으며, 높이 8m의 가로수의 평균 손상 풍속은 직경 30cm 및 35cm에 대하여 각각 38.7m/s 및 45.4m/s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