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ne-fl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산 애잠자리각다귀 (파리목: 각다귀과)의 미성숙 단계의 형태 (Immature Stages of Tipula nova (Diptera: Tipulidae) from Korea)

  • Dong Sang Kim;Jong Eun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2호
    • /
    • pp.277-282
    • /
    • 2003
  • Tipula속에 속하는 한국산 애잠자리각다귀 (Tipula nova)의 알, 애벌레, 번데기 단계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종의 미성숙 단계의 형태는 한국에서 처음 기재된다.

한국산 황각다귀(파리목, 각다귀과)의 미성숙 단계의 형태 (Immature Stages of Nephrotoma virgata (Diptera, Tipulidae) from Korea)

  • 김동상;이종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
    • /
    • 2005
  • 한국산 황각다귀(Nephrotoma virgata Coquillett)의 알, 유충, 번데기 단계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형태를 스케치하고 특징을 기재하였다. Nephrotoma속의 미성숙 단계는 한국에서 처음 기재된다.

First Record of Marine Crane Fly Dicranomyia (Idioglochina) (Diptera: Limoniidae) in Korea

  • Kim, Jisoo;Bae, Yeon Ja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7권1호
    • /
    • pp.84-87
    • /
    • 2021
  • The subgenus Idioglochina Alexander, 1921 belongs to the genus Dicranomyia Stephen, 1829 and has a special habitat unlike other congeners. The larval stage inhabits marine algae near the intertidal zones.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s are found in the antennae with inner face of flagellar segments extended to produce a serrate form. A total of 30 species of the subgenus Idioglochina are recorded with the distribution is restricted to the Pacific and Indian Ocean regions. In this study, the subgenus and its species D. (I.) tokara (Nobuchi, 1955) are newly added to the Korean fauna. This species was previously recorded in Japan as an endemic species, but it was collected from Jeju Island. A redescription, period of activity, habitat information, and photographs of diagnostic characters of the species are provided. The female ovipositor is photographed for the first time.

New data on Limoniinae and Limnophilinae crane flies (Diptera: Limoniidae) of Korea

  • Podenas, Sigitas;Park, Sun-Jae;Byun, Hye-Woo;Kim, A-Young;Klein, Terry A.;Kim, Heung-Chul;Aukstikalniene, Rasa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492-531
    • /
    • 2020
  • This study is based on crane fly specimens collected from 1936-2019 and are in collections maintained at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USA; the Snow Entomological Museum, University of Kansas, Lawrence, KS, USA; the Hungarian Natural History Museum in Budapest, Hungary,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South Korea. The genus Dicranophragma Osten Sacken, 1860 with two species D. (Brachylimnophila) transitorium (Alexander, 1941) and D. (Dicranophragma) melaleucum melaleucum (Alexander, 1933), is a new record for the Korean Peninsula. New findings of Dicranomyia (Erostrata) submelas Kato et al., 2018, Dicranoptycha venosa Alexander, 1924a, Austrolimnophila (Archilimnophila) subunicoides(Alexander, 1950b), A. (A.) unica (Osten Sacken, 1869), A. (Austrolimnophila) asiatica (Alexander, 1925), Conosia irrorata (Wiedemann, 1828), Eloeophila persalsa (Alexander, 1940), E. serenensis (Alexander, 1940), E. subaprilina (Alexander, 1919), E. ussuriana ussuriana (Alexander, 1933), E. yezoensis (Alexander, 1924b), Paradelphomyia chosenica Alexander, 1950b, and P. macracantha Alexander, 1957 are discussed. General information on genera and subgenera morphological characters, redescriptions of species based on Korean specimens, illustrations of both sexes, elevation range, period of activity, habitat information, general distribution, and a distribution map for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North Korea) are presented for each species.

실온 사육 조건에서의 애잠자리각다귀(파리목: 각다귀과)의 생활사 (Life Cycle of Tipula nova Alexander (Diptera: Tipulidae) under the Rearing Condition of Room Temperature)

  • 김동상;이종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7-100
    • /
    • 2006
  • 애잠자리각다귀(Tipula nova Alexander)는 실험실에서 실온으로 사육하면, 1년에 3세대를 경과하였다. 4월에 산란된 1세대는 그 기간이 51일에서 117일이 소요되었고, 7월에 산란된 2세대는 57일에서 93일이, 9월에 산란되어 다음 해 봄까지 성장하는 3세대는 79일에서 200일이 소요되었다. 봄에 산란된 알을 실험실에서 부화시켜 봄부터 여름까지 실온에서 사육했을 때, 이 종의 생활사 전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알은 산란된 후 보통 $7{\sim}10$일에 부화되었다. 1령 유충 기간은 $7{\sim}10$일, 2령기 $7{\sim}12$일, 3령기는 $7{\sim}11$일 정도였다. 4령기 유충은 $17{\sim}50$일이 경과하여 용이 되었다. 용은 $3{\sim}6$일이면 우화하여 성충이 될 수 있었다.

한국산 애아이노각다귀, Tipula latemarginata Alexander, (파리목, 각다귀과)의 생활사 (Life Cycle of Tipula latemarginata Alexander (Diptera: Tipulidae) in Korea)

  • 김동상;이종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9-114
    • /
    • 2005
  • 한국산 애아이노각다귀(Tipula latemarginata Alexander)의 생활사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봉화군 내성천 유역의 2개 지점에서 야외 실험을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실험실에서 사육 실험도 병행하였다. 애아이노각다귀는 실험실에서 실온으로 사육하면, 1년에 3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 9월에 산란된 알을 실험실에서 부화시켜 다음 해 3월까지 실온에서 사육했을 때, 이 종의 생활사 전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알은 산란된 후 보통 $4\~10$일에 부화되었으며, 부화한 유충은 3령기까지는 왕성하게 섭식하며 빠르게 자랐고, 1령 유충 기간은 $7\~9$일, 2령기 $5\~7$일, 3령기 $8\~12$일 정도였으나, 4령기는 6주에서 5개월이 소요되었다. 4령 유충 기간은 월동으로 인해 봄과 여름에 사육할 때 보다 그 기간이 훨씬 길게 나타났다. 용 기간은 $6\~10$일 정도였다. 애아이노각다귀는 야생 상태에서도 서식 환경이 좋은 곳에서는 1년에 3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중 학무에 나타난 마임적 요소 - 문헌과 현행의 표출 현상을 중심으로 - (Mime Elements in Court Hagmu ; focusing on literature and expression of current practice)

  • 손선숙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47-72
    • /
    • 2009
  • 본 연구는 궁중 학무의 마임적 요소를 문헌을 통해 살피고, 현행의 학무에서는 어떠한 내용으로 표현되었는지, 그리고 변이된 것과 지속된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학무는 "연못에 핀 연꽃이 신기해 날아 들어와서 춤을 추다가, 연꽃이 신기해 고개를 갸웃거리다 부리로 연꽃을 쪼니 그 꽃이 벌어지면서 사람 [무희]이 나오자 학이 깜짝 놀라 날아 도망간다"는 내용이다. 모두 4단계로 구성되는데, 1단계는 학의 등장이다. 2단계는 지당과 북쪽을 왔다 갔다 하며 춤을 춘다. 3단계는 연통의 궁금증을 유발시키는 내용이다. 4단계는 퇴장이다. 무대 공간적 진행에 제한적 요소가 뒤따르는데, 이동은 동쪽, 서쪽, 남쪽, 북쪽 등으로 한정된다. 이동의 제한성은 내선(內旋)으로 한정되고, 이동 범위도 무진(舞進)과 무퇴(舞退) 두 가지 뿐이다. 방향의 제한성은 북향과 지당(池塘)을 바라보는 것으로 한정되었고, 동작의 제한성은 내족(內足), 외고(外顧), 내고(內顧)이다. 반면 현행에 나타난 학무의 마임적 문화현상은 학의 자연적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드러내어 스토리화 한 데에 있다. 학이라는 동물을 소재로 한 것이기 때문에 학의 생활상을 인간생활과 연계시켜 새로운 내용들이 더해져서 사랑이라는 감정을 관객에게 전달하였다. 문헌에서 현행 학무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변이된 것이 표현의 다양성이라면, 반면 지속된 것은 공간 이동 방향 동작 등의 궁중예법과 관련된 제한적 요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적 제약이 오히려 '사랑'이라는 묘한 감정으로 대신 전달되었고, 무구를 관객에게 노출시키므로 해서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흥미와 신비감을 조성하여 극적효과를 가진다. 결론적으로 궁중 학무에서의 마임이란 관객과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관객과의 소통이 이루어진다는 데에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